위워크를 다룬 드라마 우린 폭망했다

1년 전, 애플TV에 가입해서 파친코를 보고 다른 거 뭐 볼거 없나 하다가 봤던 드라마다. 내용도 모르고 출연배우도 모르는(앤 해서웨이는 알았다) 상태로 보기 시작했는데 공유오피스 스타트업 위워크를 다룬 드라마였다. 지금은 파산여부가 관심일 정도로 무너졌지만 위워크는 한때 기업가치 470억 달러(약 60조원)를 인정받았던 대표 유니콘 기업이었다. 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이 유니콘이니 100억 달러 이상인 데카콘이 맞겠다.

우린 폭망했다 영화포스터

성장주에 투자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도 보며 재밌을 장면들이 꽤 많았다. 비전펀드로 전세계 성장주 투자를 좌지우지했던 손정의(김의성 분)도 볼 수 있어 좋았다. 단 10분 내외의 만남으로 20조 투자를 결정하면서 손정의가 CEO인 아담 뉴먼에게 한 질문은, “미친 사람과 똑똑한 사람이 싸우면 과연 누가 이길까.” 였다. 뉴먼은 “미친 사람”이라고 대답했고 손정의는 흡족해하며 “더 미쳐라”라고 말한다. 드라마를 보면 미친(?) CEO가 기업에서 어떤 일들을 할 수 있는지 잘 볼 수 있다.

WeWork 주가

야후에서 현재 주가를 조회해 보니 현재 시가총액이 1억불이 조금 넘는다. IPO 얘기나올 때 470억불 가치를 받던 회사가 불과 몇 년후에 1억불로 작아졌다. 손정의 회장 최고의 투자 실패로 남게 됐다. 이처럼 투자 세계는 1억 기업이 470억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가 훨씬 더 많은 곳이다. 실적은 더하기가 아니라 곱하기이기 때문에 과거에 아무리 투자를 잘했더라도 0을 곱하면 0이 된다. 그래서 분산이 중요하다.

위워크를 검색하다 기업은 폭망했지만 지분 매각과 황금낙하산(Golden Parachute) 제도로 조단위 돈을 번 창업자 뉴먼의 최근 인터뷰를 봤다. 새로운 부동산 임대사업을 모색하고 있는 것 같다. 플로(Flow)는 위워크처럼 상업용이 아닌 주거용 임대를 주로 하는 기업으로 이미 3,000개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고 벤처캐피털 회사 a16z로부터 3억5000만 달러를 투자 받았다고 하니 인물은 인물이다.

위워크의 IPO 신청 당시 제기됐던 비판, 즉 회사의 실제는 부동산 사업인데 위워크를 기술 회사로 묘사해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은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최고의 투자업체들이 계산한 밸류에이션은 실제로 돈을 투자하고 싶은 사람들이 부여하는 것이라고.

디즈니플러스 가입

인기드라마 무빙을 보기 위해 디즈니플러스에 가입을 했다. 1년 구독에 6만원이 안되는 할인행사를 9월 21까지 하고 있는데 난 무빙만 볼 목적이므로 한 달만 가입했다. 무빙도 이번 주나 늦어도 다음 주에 끝날 예정이니 내겐 한 달이면 충분하다. 카지노는 예전에 봤고, 형사록도 잠깐 봤지만 그리 끌리지 않는 내용이다.

디즈니플러스 할인

아주 오래전 CGV의 경쟁상대는 스포츠라는 글을 봤었다. 넷플릭스의 경쟁사는 나이키란다. OTT업체들은 고객의 시간을 두고 경쟁한다. 누가 더 많이, 더 오래 시청자의 눈을 사로잡을 것이냐가 성공의 관건이다. 나처럼 한 달만 보겠다고 들어 온 사람들이 볼거리가 늘어나 두 달, 세 달… 점점 가입기간을 늘려 나가다가 궁극에는 통신비처럼 매달 고정비로 나가게 하는 것.

일론 머스크는 사업마다 핵심지표를 관리한다고 한다. 스페이스X 같은 경우는 대기권으로 올려 보내는데 들어가는 톤당 비용, 테슬라는 주당 생산대수 같은. 그 관점에서 보자면 OTT는 유료가입자 수, 고객 당 체류 시간 이나 연장율 같은 지표가 되려나?

구글검색에 ‘넷플릭스 영화추천’ 으로 검색하니 12,900,000개 문서가 검색된다. ‘디즈니플러스 영화추천’으로 검색하니 4,070,000개가 나온다. 3배 차이다. 넷플릭스의 월간 활성자수(MAU)는 7월 현재 약 1,170만명 수준이고 디즈니플러스는 약 193만명 수준이다. 그래도 무빙 덕분에 최근 디즈니플러스 앱 설치 수가 140% 증가했다 하니 관건은 무빙 같은 좋은 컨텐츠를 확보하는 게 우선이다. 넷플릭스나 다른 경쟁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 드라마 제작사들에겐 좋은 상황이다.

디즈니플러스에서 볼만한 영화가 있을까요?

영화 바람

이성한 감독은 전작인 ‘스페어’를 통해 알았다. 스페어란 영화…참 재기발랄하게 만든 기억에 남았던 영화인지라 이 영화 바람도 기대를 갖고 관람. 스페어처럼 우리 음악을 적절하게 배경음악으로 깔고, 당시 주연급이었던 배우 정우씨를 이번 영화에도 주연으로 발탁했다. 액션이라는 공통분모(?)가 있었지만 전작에선 나름 날것 그대로의 멋진 액션을 보여줬다면 이 영화에선 액션을 보여 줄 것처럼 해놓고는 액션, 정확히는 싸움의 실체를 그대로 보여주는 쪽을 선택했다. 폭력적인 자들의 두려움과 어설픔을 노출시키는 전략.

이 영화는 부산의 한 공업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주인공인 짱구가 성장해가는 성장영화다. 영화 ‘친구’의 고등학교 버전이란 홍보문구를 봤는데 그건 아닌듯하고 폭력을 나름 공들여서 보여준 ‘말죽거리 잔혹사’의 냉정한 현실버전 정도. 정우라는 배우의 특징이기도 한것 같은데 구석구석 유머러스한 부분이 있어 내내 웃음소리가 들린다. 다만 끝부분의 다소 성급했던 변화는 좀 생경스러웠단..

공교롭게도 이 영화의 말미부분을 채우는 ‘아버지’란 존재에 대해 생각을 정리하고 있는데 EBS에서 간만에 본 영화 ‘가을의 전설’에서의 세아들의 ‘아버지’를 만나고 축구팀 인천유나이티드를 다룬 ‘비상’에서 수비수 임중용 선수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또 만났다. 모두 공통적으론 지금의 아버지들과는 조금 다른 옛날의 전형적인 아버지들의 모습이다. ‘지금 난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는 아버지일까?’란 생각이 요즘 특히나 많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