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내재가치

삼성전자 (본주)시총 300조 밑으로 한번 찍을 거 같아서 사진하나 찍어 둔다. 4만전자 한번 찍을거 같아서. 삼성전자가 우리나라 대표기업이긴 하지만 비즈니스모델이나 기업 분석을 해보면 내가 선호하는 기업은 아니다. 다만 이런식으로 과도하게 한방향으로 쏠린다면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면서 한번 살펴 보고 싶어진다.

삼성전자 주가


현재 PBR 0.93 수준. 수익률 관점에서 내 기준에 미치지 않아서 일견 수긍이 가는 밸류기도 하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대표기업인데 싶은 아쉬운(?) 마음도 든다.

삼성전자 PER PBR 밴드


오랜만에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를 돌려 봤다. 내가 삼성전자를 별로로 보는 이유는 아래 그래프처럼 CAPEX때문에 FCF와 당기순이익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내 10초 계산기로는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아래에 있는 저평가로 나온다. 물론 10초만에 나온 결과지만 여기엔 많은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삼성전자 10초 내재가치


기 보유자들은 멘탈이 나갈 수준의 가격하락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본 것처럼 외국인들이 8월부터 줄기차게 비중을 줄여나가고 있는데(거의 월 1%p씩) 삼성전자의 주가 움직임과 정확히 일치하는 모습니다.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를 부각시키는지 개별기업의 문제로 보는지도 잘 모르겠다.1

삼성전자 외국인 매도


어쨌든 AI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과 함께 트럼프 당선후 칩스법 폐기 우려에 모두들 던지고 있다. 외국인 매도가 언제까지 계속될까? 난 모른다. 다만 내 계산으론 삼성전자가 저평가 국면에 들어와 있다는 것만 알겠다. 만일 삼성전자의 비즈니스모델이 내 기준에 맞았다면 분할 매수에 들어갔을 가격이다. 나같은 일개 개인이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을 제대로 분석할 수나 있을까 싶지만 삼성전자를 충분히 공부한 기보유자라면 지금 가격이 두려움에 떨 때일까, 용기를 가질 때일까.

국민연금 투자종목


방금 조회해 보니 국민연금이 7.68% 가지고 있다. 만약 국내 주식에 100조를 투자한다면 비중대로 삼성전자는 대략 20~25조를 담아야 한다. 국민연금이 가지고 있는 비중으로 계산해보니 본주만 약 23조 이상이다.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자산이 녹아 내리고 있다. 작년말에 비해 삼성전자에서만 거의 10조 가까이 손실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그리 허약한 기업인가?


블룸버그 자료에 의하면 올해 우리나라 GDP성장(2.2%)의 거의 반(1.1%)을 삼성전자가 기여할 것으로 봤다.

삼성전자 GDP 성장 기여도
  1. “믿었던 너마저…” 삼성전자 기초ELS, 첫 ‘녹인 상품’ 등장…이런 것들도 분명히 영향을 주고 받았으리라. ↩︎

국민연금 계산식

1년 전 과거의 오늘에서 국민연금에 대한 글을 봤는데 공교롭게도 오늘 기사에서 월 소득 299만원을 버는 직장인이 올해 1월 국민연금에 가입해 40년 동안 소득의 9%를 납부하면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는가(계산기 바로가기)에 대한 글을 봤다. 월 120만원을 국민연금으로 받는다고 한다. 사실 이게 복잡한 게 아니라 국민연금 계산식이 그렇다. 하지만 사람들은 국민연금 계산식을 자세히 모른다.

현행 소득대체율이 대략 40년(!)을 납부했을 때 40%로 정해졌기에 월 소득 299만원(그냥 300이라고 하자)에 40%를 곱해주면 120만원이 나온다. 하지만 가입 기간 40년을 채우려면, 스무 살에 국민연금에 가입해 예순 살까지(이것도 더 늘어날 수 있다)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그래서 소득대체율 40%는 20대 후반에 사회생활을 시작한 나같은 사람에겐 공허하게 들린다. 아래 표처럼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이면 30만원, 20년이면 60만원, 30년이면 90만원으로 가입기간이 길수록 연금 수령액은 올라간다. 2024년 5월 기준으로 노령연금 월 평균 수령액은 64만 3,377원이다.

노령연금 예상연금 월액표


이는 국민연금 계산식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A값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이라고 보면 된다. 연금 수급 이전 3년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해서 구한다. 물가상승률이 반영되는 이유다. 2024년 현재, A 값은 월 2,989,237원이다. B값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보험료를 납입하는 기간 동안의 소득을 평균한 것이다. 이때 과거 소득은 연금 개시 전년도 가치로 재평가(역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다)한 다음에 평균한다. 여기에 20년을 초과하면 1년에 5%씩 증가해서 40년이 되면 n=240이 되어 1+(0.05*240/12) = 2가 된다. 만일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A값)이 300만원, 본인 평균소득(B값)도 3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1.2 * (300+300) * 2 = 1440만원이 되고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월 120만원을 받게 된다.

국민연금 계산식

이렇게 자신의 소득 평균 B값으로만 계산하지 않고 전체 평균 A값과 본인 평균 B값을 합해서 계산하는 이유는 세대 내 소득재분배 효과를 얻기 위해서다. A값보다 B값이 큰 가입자는 상대적으로 연금을 덜 받고, A값보다 B값이 작은 가입자는 연금을 더 받게 된다. 이는 앞에서 본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를 보면 알 수 있다. 소득 100만원인 사람이 9만원을 40년 납부 후 월 80만원을 받지만 소득 400만원인 사람은 4배나 많은 36만원을 40년 동안 납부하면 월 140만원을 받는다. 보험료는 4배 더 내지만 받는 금액은 2배가 되지 않는다. 이는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효과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연금을 많이 받으려면 첫 번째는 B값인 평균 소득을 늘려야 한다. 기본적으로 많이 내면 많이 받는 구조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가입 기간을 늘리는 것이다. 20년 가입 후 가입 기간이 1년씩 늘어날 때마다 연금액이 5%씩 늘어나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국민연금 초창기 높은 비례상수일 때 가입하면 가장 좋았겠지만 그건 소득대체율이 40%로 거의 고정된 지금 납부를 시작하는 개인이 절대로 선택할 수 없는 방법이다. 부모님 세대가 높은 소득대체율의 혜택을 보고 있다.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효과와 더불어 젊은 세대가 노후 세대를 부양하는 세대간 연대 효과도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새로 가입하는 세대는 지금 제도가 지속된다면 후세대에게 기대하기 어려운 효과면서 이참에 국민연금을 아예 폐지하자는 말이 나오는 이유기도 하다.

지금 정부가 새로 내놓은 안은 현행 9%인 보험료율을 13%로 인상하고 40%인 소득대체율을 42%로 올리는 모수개혁안이다. 여기에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고 세대별 보험료율 인상 차등화도 들어 있다. 지난 공론화 위원회 합의안(시민대표단 492명의 숙의 결과, 보험료율을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50%까지 상향하는 방안(1안)이 56.0%의 지지를 얻어 보험료율 12%, 소득대체율 40% 방안(2안·42.6%)보다 지지율이 높았다)을 국민의힘은 현재 9%인 보험료율을 13%로 올리고 40%(2028년 기준)인 소득대체율을 43%로 올리는 방안을, 더불어민주당은 보험료율을 13%로, 소득대체율을 45%로 올리는 방안을 제시해서 단 2%p 차이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전례로 볼 때, 역시 합의에 이르기 쉽지 않아 보인다. 항상 있어왔던 재정 안정과 노후 소득보장이라는 두 가지 개념의 충돌이다.

보험료율은 어찌됐든 인상이 될텐데 그럴경우 가장 타격을 받는 사람은 직장인보다 인상분 전액을 본인이 납부해야 하는 지역가입자와 역시 인상분의 반(13%로 인상한다면 2%)을 부담해야 하는 사업자다. 공론화 위원회에서 보험료율 15% 인상안을 검토할 때도 가장 격렬하게 반대한 쪽은 사업자측이었다는 이야길 들었다.

재밌게 읽은 책, ‘국민을 위한 국민연금은 없다’에서 제시하는 3115안(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2%로 ‘3%’포인트 인상하고, GDP의 ‘1%’ 규모의 재정을 선제적으로 연금에 투입하고 연평균 기금수익률 전망치 4.5%를 6%까지 ‘1.5%’포인트 개선하자는 안)도 검토해 볼 만한데 재정 투입때문인지 모두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호미로 막을 수 있을 때 호미로 막아야 할텐데 인기없고 멀리서 닥칠 일에는 무심하다.

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5%다. 10명 중 4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여기에 노인 고용률은 37.3%다. 퇴직 후에도 일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이야기지만 내용을 살펴 보면 대부분 단순 노무직과 1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비슷한 숫자로 혼자 사는 노인이 37.8%로 214만 가구(2023년 기준)에 이른다. 노인의 반 정도가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다고 답했고, 18%는 주위에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고 답했다. 노인 자살률은 10만 명당 48.6명이다. 2010년 81.9명에서 기초노령연금과 같은 제도 개선으로 많이 낮아진 숫자지만 여전히 불명예스럽게도 OECE 1위다. 자살이유로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2025년에는 65세 인구가 전체에서 약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고 한다. 2050년이면 노인인구가 4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그때가 되면 국민 5명 중 2명이 노인이 된다. 옆나라 일본에서는 ‘노후 파산’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노인들때문에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기대수명 그래프

기대수명이란 0세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2년 82.7세로 약 20년 늘어났다. 기대수명은 여성이 남성보다 길다. 2022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5.6세로 남성의 79.9세에 비해 5.7년이나 길다. 2024년 1월 기준으로는 여성이 90.7세, 남성이 86.3세로 차이가 조금 줄었다. 일반적으로 건강 수명은 기대 수명보다 약 10년 정도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 수명으로 대략 여성은 80세, 남성은 76세 전후로 보면 될 것이다. 통계청 데이터는 이 숫자보다 훨씬 낮아서 대략 65세까지를 건강 수명으로 본다.

건강수명 그래프

WHO자료를 보면 건강 수명은 대략 72세 전후까지다.

WHO 건강수명

평범하게(?) 60세 전후에 은퇴한다고 가정하면 아프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대략 10년 내외 남짓 남았다는 얘기다. 그 기간을 지금 노인들은 또 어쩔수 없이 먹고 살기위해 일하면서 보내고 있다. 1988년 시작된 국민연금에서 그야말로 꿀 빠는 세대 소리를 듣는 세대지만 현재 노인 빈곤율은 처참한 수준이다. 2024년 3월 기준 노령연금 전체 신규수급자의 경우 평균가입기간은 20년이 채 안되는 237개월에 불과하다. 소득대체율을 약속받은대로 모두 받으려면 40년 이상 가입해야 하는데 가입기간 20년이 안된다면 소득대체율도 반이상 줄어 든다. 만약 소득대체율이 50%라면 25%가 되고 40%라면 20%가 되는 것이다. 2024년 1월 기준 국민연금 수령액 평균은 62만 원으로, 수급자의 절반은 월 40만 원 미만을 받고 있으니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다. 더구나 노인 2명 중 1명은 국민연금이 전혀 없이 기초노령연금에만 의지하고 있다.

노인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늘어날 게 확정적이고, 지금과 같은 노후 대비가 계속되면 빈곤 노인이 계속해서 양산되는 것도 거의 확정적이다. 또한 경제적 문제로 인한 노인 자살도 계속 증가한다고 예측해도 무리는 아니다.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한 투자, 노후 대비를 위한 투자가 사회전체적으로든, 개인 영역에서든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내연금 홈페이지 (csa.nps.or.kr)‘에 접속,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한 후 [국민연금 알아보기-가입내역조회]에서 납입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국민연금 모바일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다운로드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납입내역과 미래에 내가 받을 예상 연금수령액도 바로 조회할 수 있다. 연금3총사로 불리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중에서 국민연금은 가장 기초적인 연금이니 꼼꼼히 확인하고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가입기간을 늘리는 게 제일 중요하다. 젊을 때 국민연금 우습게 알다가 나이들어 후회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