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서 안하고 있던 일

주말에 그동안 귀찮아서 안하고 있던 일 하나를 해치웠다. 블로그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하나 생성하고 워드프레스 관리자 이메일을 만든 이메일로 변경하고 지메일에 새로 등록한 이메일을 추가하고 SMTP와 POP3를 제대로 설정해서(이 부분이 생각보다 좀..시간이 지체됐다) 지메일에서 만든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는 일이다. 알면 간단한 일이지만 꽤나 귀찮고 성가신 일이다. 그리고 굳이 블로그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만들어서 많이 사용하지도 않을 것 같아서 그동안 미뤄뒀었던 일이었다.

투자자들이 귀찮아서 안하고 있는 일에는 어떤 게 있을까 잠깐 생각해 봤다. 모르긴 몰라도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투자아이디어 훼손 여부를 복기하는 게 들어가지 않을까.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존 아이디어를 주기적으로 같은 저울에 올려 놓고 저울질 하는 일은 꽤나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다. 어쩌면 자신을 스스로 부정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꺼릴 수도 있고, 특히 요즘과 같이 거래가 편리해진 세상에 뇌가 거래를 하라고 끊임없이 유혹하는 상황에서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비교하면서 투자에서 “장기적” 관점을 취한다는 게 가능은 할까? 과연 이런 종류의 일을 귀찮아서 안할까, 필요 없어서 안할까.

일상에서 귀찮아서 안하고 있는 것은 운동이 생각난다. 엘리베이터를 두고 계단으로만 올라가도 충분한 운동이 되는데 귀찮아서 안하게 된다. 버스나 지하철 한 정거장 먼저 내려서 걸어가면 운동이 되는데 역시 귀찮아서 안한다. 이 글에 사진이라도 하나 같이 올려야 하는데 그것도 귀찮아서 안한다..ㅋ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 2분 넘김

어제 기록으로 내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이 2분 50초가 됐다. 블로그 운영에서 또 하나의 의미있는 마일스톤인지라 짧게 기록을 남긴다. 항상 체류시간이 2분 미만이라 내 목표 중 하나가 2분을 넘기는 거라고 말했었는데 8월에 글을 좀 열심히 올렸더니 가볍게 넘었다. 체류시간이 글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중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단기 목표로 언급했었다.

그렇다면 이제 3분을 목표로 해야 하나? 그럴 생각이 없다. 그냥 가볍게 생각했던 목표였기에 그걸 3분으로 늘렸다가 또 3분을 넘어가면 5분으로 늘리고… 한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이 넓은 인터넷에서 오다 가다 이렇게 만나 잠시 머물다 가는 것도 인연이겠지,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를 재는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집을 나서면 거리 곳곳에 있는 CCTV를 통해 내 행동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기록되는 것처럼 인터넷에서 활동은 거의 모든 게 측정되고 기록된다.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고 클릭했는지, 어떤 사이트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좋아요를 누른 글들은 어떤 종류의 글인지, 이웃이나 친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심지어 정치성향이나 종교까지도 마음만 먹으면 모두 알 수 있다. SNS 활동 기록만으로도 자신조차 몰랐던 자신의 성향을 샅샅이 알아낼 수 있다고도 한다. 조지 오웰이 말한 빅브라더가 더이상 먼 미래의 일도 아니다.

내 블로그는 현재 하루 평균 20명 정도가 방문하는 아주 작은 블로그다. 20명이 평균 3분을 머문다고 하면 60분의 시간이다. 누군가에게 그토록 소중한 60분이라는 시간이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고 있단 말이 된다. 그러므로 무작정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늘리는 데 목표를 두기보단 남들의 그 소중한 시간 가치만큼 의미있는 글을 쓰고 있는지를 먼저 되돌아 봐야 한다. 이제 100개 조금 넘는 글을 올린 내 입장에서 질을 논하는 것도 좀 그렇긴 하지만 지나치게 양을 추구하다보면 질이 훼손되기 때문에 당연히 양과 질 두 가지 모두를 추구해야 하지만 둘 중 우선은 질이다.

양은 재미에서 나오고 질은 경험에서 나온다. 글의 양이 많아지면 재미있다는 반증이고 질 높은 글이 올라오면 직간접 경험을 통해 사고의 깊이가 깊어졌다는 반증이다. 남이 머무르는 시간에 집중하지 말고 내 사고의 깊이에 신경써야 한다.

이제 워드프레스 글쓰기 창이 더이상 낯설지 않다. 하지만 익숙함이 마냥 좋은 것도 아니다..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9월 13일부터 새로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하다가 주말을 건너 뛰고 9월 18일부터 한 달동안 연속해서 글을 써보려고 다짐했었다. 중간에 긴 추석 연휴가 끼어 있어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 예약 글 기능을 통해 어찌 어찌 채워 갔는데.. 아뿔싸, 10월 초에 감기몸살로 이틀을 비웠다. 이 글이 올라가는 18일이면 그 이틀을 빼고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썼다.

블로그 캘린더


이틀을 뺀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예상대로(?) 수익은 거의 없었지만 글은 남았다! 세네카가 현대인에게 해주는 충고에도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세요. 세네카는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일기를 쓰면 우리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라고 일기와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블로그로 공개된 일기를 쓰다보니 내 감정과 생각이 더 잘 이해되고 정리된다. 바로 이 점이 애드센스 수익보다 더 가치있는 일이다.

가끔 내 블로그에 어떤 광고들이 게시되는지 살펴 보는데 잡블로그에 가까운 내 블로그를 구글이 아직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광고로 뜨는 업종을 보니 아직 중구난방이다.

연필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뭔가를 꾸준히 하는 거다.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마음 속에 서 ‘블로그를 1년 동안 쓸 수 있을까?’ 라는 새로운 욕심이 생긴다. 물론 한 달처럼 일 년을 모두 파란색으로 채울 수는 없겠지만 틈틈이 글을 쓰면서 내년 9월까지 파란색이 부분적으로라도 채워지도록 노력해 볼 셈이다. 주말은 힘들더라도 평일은 채우도록 애써 봐야겠다.

그럴려면 내 생각이 먼저 무르익어야 하는데…그게 제일 걱정이다. 차가 있어도 갈 곳이 없으면 아무 소용없듯 블로그가 있어도 쓸 거리가 없으면 아무 소용없다. 불쑥 내 삶으로 들어 온 감기처럼 내 삶의 돌발적인 변수들도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