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성과 수익성

2014년 10월 7일, 워런 버핏은 포춘의 행사에서 절친 캐럴 루미스와 인터뷰를 가졌다. 그 중에서 내게 특히 인상적인 부분이 있었다. 내가 만든 투자 전략 지도의 두 축, 성장성과 수익성이다.

“캐럴 루미스 : 어쨌든 저는 여러분이 버핏의 기준으로 좋은 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한두 문단 정도 이야기하고, 그다음에 자동차 딜러십 사업(당시 버핏이 인수한 Van Tuyl Group)이 좋은 사업으로 보이는 이유를 말씀해 주셨으면 합니다.

워런 버핏 : 좋은 비즈니스는 유형 자산에서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비즈니스입니다. A good business is the one that earns a high rate of return on tangible assets.

캐럴 루미스 : 정말 심플하네요.

워런 버핏 : 네, 아주 간단합니다. 최고의 비즈니스는 유형 자산에서 높은 수익률을 올리며 성장하는 비즈니스입니다. 하지만 성장하지 않는 사업이라도 유형 자산에서 높은 수익을 올린다면, 그리고 물론 너무 많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다면 좋은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높은 수익률로 인해 시작하기에 좋은 사업이지만, 너무 많은 비용을 지불하면 좋은 사업이 나쁜 투자로 바뀔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대가를 지불한다면 괜찮을 수 있습니다. 초창기에 저지른 가장 큰 실수는 부실 기업을 너무 싼 가격(bad business at a really cheap price)에 인수하려 한 것이었습니다. 그것이 좋은 생각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까지 약 20~30년이 걸렸습니다.”

투자 전략 지도 예

내가 만든 투자 전략 지도에서 성장성과 수익성, 둘 중에서 무엇이 더 중요한가에 대해 살짝 고민한 적이 있었다. 지도에서 좌측 상단의 테슬라와 우측 하단의 2024로 표시된 점을 보면 테슬라처럼 성장성은 뛰어나지만 수익성은 아직 저조한 비즈니스와 2024로 표시된 점처럼 수익성은 뛰어나지만 성장성은 다소 저조한 비즈니스가 있고 투자자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다. 물론 이것은 다소 극단적인 예를 위해서 가져온 것이고 2024로 표시한 기업은 에너지 기업으로 단기간 이익이 급증한 탓에 저 영역에 머물러 있을 뿐, 지속성 여부는 따로 판단해야 한다. 테슬라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 수익성은 낮지만 향후 수익성이 증가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물론 그런 기대때문에 PER도 높다.

이 지도의 활용이 바로 그것이다.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떤 궤적을 보이고 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기업이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지도를 통해 예측해 볼 수도 있다. 내가 내린 답은 투자 전략 지도의 두 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면 난 주저없이 수익성(Total Return)이다. 버핏의 말대로 “최고의 비즈니스는 유형 자산에서 높은 수익률을 올리며 성장하는 비즈니스지만 성장하지 않는 사업이라도 유형 자산에서 높은 수익을 올린다면 (비싸게 사지 않는 한)좋다” 일반적으로 성장성은 수익성을 훼손하지만 수익성은 적절한 자본 배분을 통해 성장성을 만들 수 있다.

애플 투자 전략 지도

물론 자주 예시로 든 애플처럼 아름다운 궤적을 보이면서 성장성과 수익성을 모두 갖춘 훌륭한 기업들도 있다. 그런 좋은 비즈니스를 좋은 가격에 찾으면(버핏은 2014년 작은 점을 봤다. 같은 위치의 테슬라와 비교하면 얼마나 작은가) 황금비가 내리니 양동이를 들고 뛰어 나가면 된다..^^

좋은 기업을 좋은 가격에 사라는…말은 쉽다. 문제는 그런 좋은 비즈니스를 좋은 가격에 찾기 위해선 너무나도 많은 노력을 해야 하고 너무나 오래 인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노력하고 인내했음에도 나쁜 기업을 좋은 가격에 살 수도 있고 좋은 기업을 나쁜 가격에 살 수도 있다.

멍거의 말처럼 나쁜 기업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나서 적당한 기업을 좋은 가격에 사거나(가치 투자 1.0) 좋은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거나(가치 투자 2.0) 위대한 기업을 비싸보이는 가격에도 살 수 있어야 한다(가치 투자 3.0). 그리고 수익성(Total Return)은 그것을 구분하는 좋은 기준이다.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그동안 꽤 많은 구루들의 포트폴리오를 간단하게나마 정리했었는데 정작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를 정리하지 않았었다. 워낙 많은 곳들에서 이미 정리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변방의 나까지 해야 하나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투자 전략 지도 개념은 없었기 때문에 그걸로 한번 보고싶은 마음이 생겼다. 역시 상위 10개 기업만(그래도 포트폴리오 80%를 넘는다) 본다.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거의 50%를 차지하고 있던 애플을 많이 줄여서 이젠 26% 정도 수준까지 내려왔다. 뱅크오브아메리카도 계속 줄여서 12% 수준이다. 섹터로 보면 여전히 금융이 1위고 애플로 인해 IT가 2위, 그리고 필수 소비재이며 OXY와 CVX로 에너지 비중도 높다.

버핏 포트폴리오 섹터

상위 10개 기업을 투자자들이 자주 보는 지표들로 변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가치) 투자자들은 저PER 저PBR 저PSR 고배당 주식을 좋아한다. 워런 버핏은 찰리 멍거와 함께 가치 투자 2.0을 새롭게 연 투자자다. 고GPM 고ROIC 고ROE 저EV/FCF를 좋아한다. 적당한 기업을 훌륭한 가격에 사는 가치 투자 1.0에서 훌륭한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가치 투자 2.0으로 진화했다.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지표

영업이익률 평균이 24%에 가깝고 ROIC 역시 15%로 S&P500 평균인 10.5%보다 높다. ROE는 애플과 다비타(애플과 달리 부채비율이 엄청 높다)의 높은 수치때문에 평균이 거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높다. 마찬가지로 PBR도 자사주매입소각과 높은 무형자산으로 별 의미가 없다. PER 평균 24로 S&P500 평균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과거 버핏의 성향을 볼 땐 높은 편이다. 특히 애플과 무디스의 PER가 높다. 애플 매도는 기업이 나빠서가 아니라 밸류에이션이 높고 포트폴리오에 한 종목 비중이 너무 커져서, 그리고 세금과 후계자에 대한 것들도 고려했을 것이다.

PBR ROE 차트

분석 보고서에서 흔히 보는 그림이다. 당연히 ROE가 크면 PBR도 높기 때문에 난 잘 안본다. 우리나라 코스피 PBR이 낮은 것도 ROE가 작기 때문이고 그만큼 자본 배분이 엉망이라는 소리다.

워런 버핏 투자 전략 지도

내가 좋아하는 투자 전략 지도를 펼쳐 보면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평균 성장률이 8%를 넘는다. 미국 경제 성장률이 3% 내외이고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예상이 대체로 2% 내외다. 앞서 살펴 본 가치 투자 1.0 세스 클라만 포트폴리오도 성장률은 높았다. 다만 수익률이 5%가 안됐는데 버핏 포트폴리오는 9%에 가까운 수익률이다. 현재 미국 국채 10년 수익률이 4.2% 임을 감안할 때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거의 2배 이상이다. 내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로 1분 만에 계산해 보니 10개 기업가운데 6개가 상승 여력이 있다. 특히 OXY CB DVA가 높았고 애플은 마이너스..ㅋ OXY CB는 블로그에서 이미 언급했었고 DVA는 신장 투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최근 5년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S&P500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명불허전^^

버핏 성과

(출처 : investing.com)

주식은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비즈니스

버핏이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를 읽고 깨달은 가장 큰 것은 주식은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비즈니스라는 것이다. 사고파는 종이라면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주식을 비즈니스로 이해하고 오너의 마음가짐으로 비즈니스를 분석하고자 한다면 미스터마켓이 매일매일 기분에 따라 제시하는 가격 움직임에 반응할 필요는 없어진다. 사업의 퀄리티를 판단하고 오직 안전마진을 고려한 내재가치 이하의 가격에만 배트를 휘두르면 된다. 버핏은 주식 투자자의 거의 90%가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거의 매일, 매시간, 매분, 매초 배트를 휘두르고 있다.

워런 버핏


CR: 어떤 점이 가장 마음에 드시나요? 주식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를 고르는 것이죠.

WB: 네, 바로 그거죠. 하지만 11살 때는 주식을 골랐어요.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었죠. 주식에 관심이 많았고 주식은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죠. 차트를 만들었습니다. 기술적 분석에 관한 책도 읽었습니다. 에드워즈와 매기(Edwards and Magee)를 읽었는데, 당시에는 그게 고전이었던 것 같아요.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책을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읽었습니다. 거의 모든 책을 다 읽었죠. 저는 오마하 공공 도서관에 있는 주식 시장에 대한 모든 책을 정말 다 읽었습니다. 처음 8년 동안은 주식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고 주식 시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19살이나 20살 때 벤 그레이엄의 책을 읽고 제가 완전히 잘못된 방식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는 것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라는 책을 읽고 다시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그 이후로는 다른 ‘주식’을 사지 않고 상장된 ‘비즈니스’만 샀습니다. 저는 한 기업의 오너가 되었고 주식이 다음 날, 다음 주, 다음 달, 다음 해에 오르든 내리든 상관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것이 어떻게 될지 전혀 몰랐죠. 주식 시장이 어떻게 될지 몰랐어요. 하지만 저는 비즈니스를 알고 있었습니다. 몇몇 비즈니스를 알고 있었죠.

CR: 무엇이 필요하죠?

WB: 올바른 방향성이 필요합니다. 90%의 사람들은 – 제가 이 수치를 끌어낸 것이지만 – 주식을 사는 사람들의 90%는 주식을 올바른 방식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주식을 다음 주에 오르기를 바라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시장을 상승하기를 바라는 무언가로 생각합니다. 하락하면 기분이 나빠지죠. 저는 [시장이 하락하면 더 많이 살 수 있어서] 기분이 나아지죠.

CR: 어떻게 생각하세요?

WB: 저는 10년, 20년 후 회사의 가치가 어떻게 될지 생각하죠. 그러면 더 많이 사게 될 테니까요.

CR: 경쟁심이 강한 것 같네요.

WB: 네. 그렇죠. 하지만 경쟁 대상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합니다. 체스나 축구 등에는 경쟁심이 없어서 다행이죠. (웃음) 아니요, 저는 관찰자 입장입니다. 저는 그런 것을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길 수 있는 게임에서는 경쟁심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CR: 킬러 본능이 있으신가요?

WB: 아니요, 정확히는 아닙니다. 킬러 본능이라고 부르지는 않겠지만, 제가 뭔가를 하고 싶을 때는 항상 크게 하고 싶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11살 때 이미) 전 재산을 시티즈 서비스 우선주에 넣었습니다.

CR: $120.

WB: $114.75. (웃음) 전 재산을 투자한 그날(1942년 3월 11일) 이후로 저는 단 한 번도 제 돈의 80% 미만을 미국 사업에 투자한 적이 없습니다. 주식이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저는 이를 미국 비즈니스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항상 미국 비즈니스의 지분을 80% 이상 소유하고 있습니다. 저는 다른 것을 소유하고 싶지 않습니다. 집과 가족이 원하는 물건 등을 소유하고 싶지만 한 집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기 때문에 집을 다섯 채 소유하는 것은 저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모든 일에는 어느 정도는 잘못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집이 두 개라면 더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더 많은 행복을 누릴 수 없다는 것을 알아요.

“This country has unleashed human potential like no other country has in the world, It’s been a terrible mistake to bet against the United States ever since 1776 — and I think it will continue to be a mistake.”

“투기로 돈을 잃었다고 해서 투기가 현명하지 못했다고 믿는 것은 큰 실수입니다. 당연한 결론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투기란 불충분한 연구와 잘못된 판단에 근거한 경우에만 현명하지 못합니다. 저는 브리지 플레이어인 여러분에게 브리지 전문가들이 성공적인 플레이보다는 올바른 플레이를 강조하는 것을 기억합니다. 아시다시피, 제대로 플레이하면 돈을 벌고 잘못 플레이하면 장기적으로 돈을 잃게 되니까요.

부부 팀에서 가장 약한 브리지 플레이어였던 남성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그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후 마지막에 아내에게 매우 기쁜 마음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이 항상 내게 표정을 짓는 것을 봤지만, 이번 그랜드 슬램은 내가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내가 해냈어. 그거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겠어?” 그러자 그의 아내는 매우 침울하게 대답했습니다. “제대로 했으면 잃었을 거야.”

월스트리트, 특히 투기 분야에서는 신중한 계산을 통해 투자를 하려고 할 때 그런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어떤 경우에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게임의 일부일 뿐입니다. 제대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면 그것은 투기가 아니며 건전한 투기에는 이익의 기회가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공리적인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 벤저민 그레이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