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루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블로그에 남기는 글 대부분이 검색 많은 키워드가 거의 없는 듣보 블로그인데 최근 검색유입 키워드 상위 리스트를 보니 리루 포트폴리오가 눈에 띈다.

검색유입 키워드

예전에 한번 리루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글을 올렸는데 아마도 그것 때문인가보다. 뭔가 이벤트가 있었나 싶어 리루 포트폴리오를 체크해 봤더니 변경사항이 있어서 짧게 언급한다. 매번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확인하는건 무리..ㅋ

당시 댓글로 애플만 상승여력이 마이너스라고 했었는데 리루가 최근 애플을 매도했다..^^ 구글은 유의미한 매도라기보단 비중조절인것 같고 BAC 역시 지난번 애플처럼 버핏이 이번에 가장 많이 매도한 종목이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해부터 은행주 투자 비중을 꾸준히 낮춰오고 있었다. 리루는 2020년 1분기에 BAC 1,236만 주를 매수하기 시작했고 주당 평균 33.11달러에 매수한 것으로 추산된다.

리루 포트폴리오

리루가 향후 OXY를 추가매수할지가 관전 포인트.

구글…온라인 생태계에서 알파벳의 지배력과 방대한 데이터 네트워크 덕분에 많은 장기 투자자들이 알파벳을 초석으로 삼고 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신규 편입.

구글 투자자 리스트

리스트 하단에 MARKEL(톰 게이너)도 보인다. 제2의 버크셔가 될 가능성이 높은 보험회사 중 하나로 꼽는 기업이다. 최근 마켈 CEO 톰 게이너가 구글에 대해 이야기한 부분이 있어 가져온다.

– 가장 큰 기술 투자는 알파벳입니다. 대형 기술 기업 중 벨류에이션이 가장 낮기 때문인가요?
“따로 떼어 놓고 보면 아닙니다. 현금 흐름이 좋았을 때 매수했습니다. 밸류에이션은 적정 수준이었죠. 비즈니스 전체를 고려한 것이죠.”
– 더 많은 사람들이 구글 검색을 떠나 대신 ChatGPT를 검색에 사용할 수 있다는 위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나요?
“투자를 다각화함으로써요. 이는 리스크입니다. 저희는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른 베팅도 하는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마켈 포트폴리오

구글을 2014년 2Q에 처음 매수했다가 2015년 4Q에 모두 매도했었는데 2019년 2Q부터 2020년 1Q까지 다시 매수후 현재까지 1주도 팔지않고 있다. 매수가 60달러 내외다.

구글의 NotebookLM으로 마켈 오마하 브런치를 요약하게 했더니~ AI의 미래다..ㅎ

리루 포트폴리오

현재 리루 포트폴리오다. 물론 미국 주식만 공개된 것으로 해외 투자에 대해서는 따로 공개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에 투자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는다. 리루가 다른 구루들과 차별화되는 부문이 아시아 투자인데 그 부분을 포트폴리오에서 확인할 수 없어서 안타깝다. 그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BAC, AAPL 그리고 OXY는 BRK-B 포트폴리오기 때문에 4개를 버핏 모방이라고 보면 결국 EWBC와 GOOGL이 남는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BAC, BRK-B, EWBC를 금융부문으로 GOOGL, APPL을 IT로 보면 전통 산업은 석유기업 OXY 뿐이다.

리루 포트폴리오

모니시 파브라이처럼 리루 역시 철저히 버핏과 멍거를 학습하고 따라 배우며 성장한 투자자로서 거기에 VC로서의 사고방식도 가미하고 있다. 그의 투자 철학과 방법을 제대로 분석하려면 아무래도 아시아 투자를 깊이 살펴봐야 한다. 당시에는 버핏의 가치 투자 1.0으로도 아시아에서 훌륭한 수익을 거뒀다. 현재 공개된 포트폴리오는 가치 투자 1.0과 2.0 그리고 3.0(애플과 구글)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싼 기업을 매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통계

이 6개 기업을 평균한 기업으로 보면 S&P500 평균(10×10 박스 끝에 위치하고 있다)보다 수익성과 성장성 면에서 뛰어나고 밸류에이션도 저렴(PER 19)하다.

포트폴리오 투자 전략 지도

정확하게 한 사람의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재 숫자들을 확인할 게 아니라 매수했을 당시의 숫자들을 확인해야 한다. 버핏의 애플 구매를 파악하려면 2015년 애플의 재무제표 숫자들을 확인해야 한다. 물론 이런 작업들은 꽤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봐야 후견지명없이 정확하게 매수한 사람의 의향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다만 리루의 현재 포트폴리오는 구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숫자들을 봐도 괜찮다고 본다. 다만 전통적인 가치투자자 입장에서 현재 PER 23의 구글과 PER 35의 애플을 과연 싸다고 판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리루는 버핏과 멍거의 정통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그야말로 정통 가치투자자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사람이 현재 구글과 애플을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다는 말은 정통 가치투자자의 눈으로 봤을 때 싸다고 판단했다는 말이 된다.

현재 구글을 포트에 담고 있는 투자자의 면면을 보면 그야말로 가치투자자들의 집합이다. 리루, 세스 클라만, 빌 애크먼, 팻 도시, 루안 커니프, 테리 스미스, 가이 스파이어, 톰 루소…가치투자자라고 스스로를 생각하는 투자자들은 구글을 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와 구글을 비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로 나뉜다. 당신이 스스로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투자자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에게 구글은 싼가, 비싼가. 오늘 리루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투자자라면 이 질문을 반드시 스스로에게 해 봐야 한다. 내게 구글은 싸다. 싸다고 대답했다면 왜 싸다고 생각하는가. 그 답 역시 스스로 해야 한다. 리루가 사고 세스 클라만이 구매했다고 싼 건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