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성공의 모든 것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최고의 사람들과 협업하세요.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포기하지 마세요.행운을 기원합니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를 설립하고 엄청난 수익률을 올린 퀀트투자 개척자 짐 사이먼스가 한 말로 역시 사업 성공의 모든 것이 들어 있다. 앞서 내가 언급한 사업의 핵심이자 투자의 핵심과 통하는 말이다. 워드프레스를 만든 매트 뮬렌웨그가 블로그에 올린 글의 일부를 가져 왔다.

1. Do something new.
2. Collaborate with the best people you possibly can.
3. Be guided by beauty.
4. Don’t give up.
5. Hope for some good luck.

들꽃

    “적어도 제게는 제가 해온 거의 모든 일에는 미적 요소가 있었습니다. 이제 채권을 거래하는 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무슨 미학적 요소냐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습니다. 미학적인 것은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 제대로 하는 것이죠. 올바른 사람들과 함께 문제에 접근하여 제대로 해내고, 자신이 처음으로 제대로 해낸 것 같은 기분이 든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것은 대단한 느낌이고 무언가를 제대로 해낸다는 것은 아름다운 일입니다. 수학 문제를 풀면서 사람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수학을 만들어내는 것도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에 ‘아름다움에 이끌려라’는 원칙은 그렇게 나쁜 원칙이 아닙니다.”
    – 짐 사이먼스

    수학자였던 짐 사이먼스다운 말이다. 이렇게 적어 두고 시간 날 때 마다 꼽씹어 볼 말이다.

    사업의 핵심이자 투자의 핵심

    우연히 인용글 하나를 읽고 그 글에 꽂혔다. 광고천재 데이비드 오길비의 말인데 사업의 핵심이자 투자의 핵심을 잘 표현했단 생각이 들어 따로 적어 놓았다. 이 짧은 글을 계속해서 곱씹고 있다. 

    “우리 각자가 우리보다 작은 사람을 고용한다면, 우리는 난쟁이 회사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각자가 우리보다 큰 사람을 고용한다면, 우리는 거인 회사가 될 것입니다.”
    – 데이비드 오길비

    거인회사

    자신보다 나은 사람으로 주위를 채운다면 거인이 된다. 마찬가지로 좋은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채워 놓으면 부자가 된다. 이보다 간단한 사업의 핵심이자 투자의 핵심이 있을까.

    “여러분보다 나은 사람들을 고용하고 그 사람들이 일을 잘 할 수 있게 그냥 냅두세요. 대신 주목할 만한 일에 목표를 두고 있거나,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찾으세요.”
    – 데이비드 오길비

    시장보다 좋은 기업들을 구매하고 그 기업들이 돈을 잘 벌 수 있게 그냥 냅두세요. 대신 그 기업보다 더 뛰어난 기업들을 꾸준히 찾으세요.

    대부분의 기업들은 시장 평균보다 못한 경우가 많다. 인덱스는 결국 시장평균이다. 시장 평균보다 좋은 기업들을 찾을 능력이 없다면 그냥 인덱스를 사면 된다. 대부분 평균은 가운데에 위치하지만 투자에서 평균은 상위 20% 안에 들어간다. 투자 역시 난쟁이를 모아놓으면 난쟁이가 되고 거인을 모아 놓으면 거인이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대부분의 기업들은 평균이나 평균 이하 회사로 수렴한다. 따라서 오랜 기간 시장 평균을 뛰어 넘으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

    “저는 인류의 역사가 무질서, 우연, 혼돈으로 정의된 세상에 질서, 확실성, 합리성을 강요하려는 끝없는 하지만 무익한 투쟁일 뿐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 Brian Klass

    엔 환율과 일본여행

    일본 엔 환율이 160을 넘었다. 달러를 쓰는 나라 사람들이 평소 느꼈을 110 언저리에 비해 거의 50% 가까이 떨어졌으니 반값 할인이라고 느낄 만하다. 일본여행이 크게 늘었다. 반대로 일본 국민들이 해외여행을 나가기엔 부담스럽다. 일본이나 우리나라처럼 수출위주 국가에서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기업들은 미소를 짓는다. 아래 엔 환율 그림과 니케이 주가 그래프를 겹쳐 놓고 비교해 보면 보인다. 이젠 170을 넘길 거라는 예상들도 들린다. 나처럼 평균회귀에 길들여진 사람 입장에서 여기서 더 떨어진다에 베팅하기엔 부담스러운 자리지만 추세추종자들 눈에는 달리 보일 것.

    엔화

    원 엔 환율도 아래 그림과 같이 최저를 향해 내려가고 있다. 100엔 기준 745원 언저리가 20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최저였다. 현재 857원 내외. 머릿속에 100엔은 1,000원으로 입력되어 있었으니 15% 정도 할인된 셈이다. 앞서 본대로 달러 사용권에서는 거의 50%에 가까운 바겐세일을 감안하면 미흡하지만 그래도 일본 여행을 계획해 보고 싶은 가격대다.

    원엔환율

    “한국인 일본서 6.7조 원 썼다. 2023년 일본 여행 700만 명 육박” 같은 기간 방한 일본인은 230만 명이었다고 한다. 올 1월에 나온 기사를 보면 올 해에는 약 1,000만 명이 일본에 가지 않을까 추측했었는데 환율이 계속 이런 상태면 불가능하지도 않는 숫자다. 1~5월 방일 한국인은 373만8,700명으로 단순 계산할 경우 연간 900만명에는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덕분에 일본의 관광수지가 엄청난 흑자를 기록중이고 일본을 찾는 해외 관광객의 급증으로 인해 일본인들이 “오버 투어리즘” 으로 불편하다는 기사도 보인다.

    (출처 : 일본 관광청, 블룸버그, Apollo)

    달러 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와 비교한 상대가치)를 보면 현재 105 수준이다. 1973년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은지 낮은지로 달러의 가치를 가늠한다. 정확하지 않은 눈대중으로 아래 그림을 보면 대충 90 언저리가 평균으로 보인다. 달러 강세 국면이다. 왜 달러가 강세인지는 여러 전문가들의 이야기들을 들으면 되니까 백면서생인 나까지 덧붙일 필요는 없겠고.

    달러인덱스

    방금 읽은 글 한 토막.
    “USD/JPY 환율을 예측하는 간단한 계량경제학 모델에 따르면 현재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를 고려할 때 USD/JPY 환율은 현재 140이 되어야 합니다(아래 차트 참조). 즉, 미국 수익률에 비해 일본 수익률이 상승하면 엔화가 절상되어야 하지만 현재 상황은 정반대입니다.”

    (출처 : 블룸버그, Apollo)

    팁 하나를 남기면, 향후 일본 여행을 계획중이라면 환전은 트래블 월넷을 이용해 보길(나랑 전혀 관계 없다)~ 엔이 쌀 때 미리미리 조금씩 환전해 두면 좋다. 굳이 은행에 가지 않아도 클릭 한 번으로 편하게 환전 할 수 있고 우대 환율도 받고, 수수료도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