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주식 투자 전략 지도

명품 주식으로 구글에서 뉴스검색하니 제일 위에 “명품주는 불황이 없다…명품백 대신 샀더라면”이라는 기사가 올 4월에 나왔고, 바로 그 밑에 “버버리에 LVMH도…콧대 높던 유럽 명품, 시총 321조 증발”이라는 기사가 올 9월에 나왔다. 주요 소비자인 중국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유럽의 럭셔리 명품 주식들이 힘을 쓰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몇 개 명품 주식 투자 전략 지도를 살펴 봤다.

LVMH

LVMH 투자 전략 지도

“LVMH가 지금까지 이룬 것만큼 무언가를 잘한다면 평생 그 일을 하는게 옳습니다. 평생이 아니라 서너 번 환생하더라도 계속해야죠. 다른 럭셔리 브랜드가 언제든 등장하겠지만, LVMH를 뛰어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 찰리 멍거

HERMES

에르메스 투자 전략 지도

“에르메스를 아주 낮은 가격에 살 수 있다면 구미가 당기겠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그런 스타일 회사에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 찰리 멍거

PRADA

프라다 투자 전략 지도

KERING

KERING 투자 전략 지도

BURBERRY

BURBERRY 투자 전략 지도

KODEX 유럽명품 TOP10 STOXX ETF(456250) 수익률

유럽명품 ETF 수익률

“훌륭한 브랜드를 갖춘 기업이 좋은 후보이다. 이들의 가격이 아주 저렴해지는 몹시 드문 상황, 곧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찰리 멍거

투자 포르노(Investment Porn.)

투자 판타지는 약과

투자 판타지라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과거의 오늘에 있는 글을 보다 투자 포르노(Investment Porn.)란 단어를 봤다. 무려 2년 전에 킵해 놓은 글인데 마치 처음보는 글처럼 생경하다. 책 속에 투자 판타지가 많다면 언론에는 투자 포르노(Investment Porn.)가 즐비하다. 그렇게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그렇게 고수익을 확신하고 그렇게 빨리 부자되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왜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 주지 못해 안달일까? 그냥 조용히 자기만 그 방법으로 돈 벌면 되는데.

과학자들이 유사 과학자(사이비 과학자가 더 적당할듯)를 가려내는 방법 중 하나가 ‘의심을 권유하면 과학, 믿음을 강요하면 유사 과학’이다. ‘이건 확실하니까 믿어’라고 하면 일단 유사 과학으로 보면 된다. 투자도 마찬가지다. 믿음이나 확신을 강요하면 투자 사이비고 투자 판타지고 투자 포르노다. 자신의 방법이 확실하다고 강요하면 일단 의심부터 해야 한다. 무엇보다 단기간의 고수익이나 빠르고 쉽게 부자가 되는 방법은 없다는 걸 투자자가 먼저 깨달아야 한다.

“투자 포르노(Investment Porn.)란 무엇입니까? 투자자들이 작은 자본으로도 누구나 단기간에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고 믿게 만드는 미디어 진술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빨리 부자가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모두들 빨리 부자가 되기 위해 높은 위험을 감수하고 많은 행운을 빕니다. 투자자들이 돈을 잃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금융 매체의 터무니없는 서커스에 의해 강화되는 비현실적인 기대입니다. 실제로 증권 시장에 관한 언론 매체의 의미있는 정보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은 투자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제품에 대한 판매나 거래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최신 기회, 메가트렌드, 가격 목표 등이 지속적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투자는 지루합니다. 반복해서 반복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과를 보기 시작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고전적인 투자 기준에 맞지 않는 주식을 멀리하고 적합한 주식을 추가합니다. 연례 보고서를 읽고 비즈니스를 분석하는 데는 재미가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흥미로운” 방법을 선택하고 결국에는 잃습니다. 분기마다 대부분의 회사는 결과를 보고하고 경영진은 다음 분기에 기대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들은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이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게임에 직접 자신의 돈을 걸지 않는 전문가의 말을 들을 필요가 없습니다.”

어제 찰리 멍거의 2015년 데일리 저널 연례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주고 받은 문답을 다시 읽었다. 사람들이 투자에서 빨리 부자가 되려고 하기 때문에 실수를 한다고 강조했다. 기억에 남는 말은 설령 그렇게 빨리 부자가 된들, 결국 직원들만 일을 하게 되고 요트에 시간을 뺏길 뿐이라고 한 말이다. 빨리 부자가 되면 부자가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또는 해야 하는, 재밌고 즐거운 일(기억하는가 버핏은 일이 즐거워서 탭댄스를 추면서 출근한다..ㅋ)을 모두 남에게 시킬 뿐이라는 얘기.

노인과 바다


다시 한번 이야기 하지만 버핏과 멍거는 수많은 기업들의 사업 보고서와 분기 보고서를 읽고 기업의 경쟁 우위를 가늠하고 기업의 미래를 그려보는 일들을 정말 재밌고 즐겁게 하고 있는 이상한(?) 사람들이다. 일반인들이 재미없어 하는 일들을 흥미로워하고 일반인들이 흥미로워 하는 일들을 재미없어 하는 특이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다. 그들의 삶엔 모두가 꿈꾸는 평화로운 은퇴는 없다. 매일 요트타고 낚시하고 여행하는 그런 은퇴는 없다. 죽을 때까지 게임에 직접 자신의 돈을 건(Skin in the game) 현역일 뿐이다. 그러니 빨리 부자가 돼 빨리 은퇴하고 싶은 사람들은 어설프게 버핏과 멍거를 따라하는 어리석은 일은 하지 말길.

월스트리트를 설명합니다: “…선의의 정도는 다르지만 수천 명의 실수투성이 인간들이 예측할 수 없는 것을 예측하는 사업에 엄숙히 종사하고 있습니다.”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인간은 자신이 듣고 싶은 말만 듣고 나머지는 흘려 버리죠”
– 사이먼 앤 가펑클, 더 복서

“세상에는 두 부류의 예측가가 있다. 미래를 모르는 자들과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자들.”
– 갤브레이스

“제아무리 꼼꼼하게 따져물어도 우리가 지닌 지식은 전부 과거를 다루고, 우리가 내리는 결정은 미래를 다룬다는 사실은 흔들 수 없다.”
– 이언 E. 윌슨, 전 GE 회장

부의 창출을 주도한 기업은 전체 상장 기업의 4%에 불과

최근 접한 논문에 따르면 1926년 이후 미국 주식 시장에서 부의 창출을 주도한 기업은 전체 상장 기업의 4%에 불과했다. 나머지 모든 회사(96%)의 합산 수익률은 해당 기간 동안 1개월 국고채 수익률과 거의 비슷했을뿐이다. 논문에서 발췌한 아래 그림을 보면 1926년에서 2016년까지 90년 동안 상장 기업 25,332개 중 상위 1,100개 기업만이 초과 수익을 창출했고 상위 100개 기업이 초과 수익의 50% 이상, 상위 500개 기업이 초과 수익의 85% 이상을 창출했다.

미국 주식 수익

4%라는 숫자를 어디서 본 것 같지 않은가? 버핏의 뛰어난 아이디어는 단 12개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버핏이 버크셔해서웨이를 인수한 후 약 60년 동안 본업 외에 대략 3~400개의 주식 투자를 했는데 큰 수익을 얻은 정말 뛰어난 투자 아이디어는 단 12개였다. 12/300 하면 4%가 된다. 물론 12/400 하면 3%가 된다. 주식 투자를 세계에서 제일 잘하는 버핏도 투자 아이디어의 단 4%가 뛰어난 수익을 거뒀다. 멍거는 1년에 단 하나의 투자 아이디어를 얻어도 대성공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버핏이 가져오는 아이디어의 대부분을 NO라고 했다.

직접 투자자라면 멍거와 버핏이 말했듯 인생에 단 20번의 투자 기회가 있는 것처럼 투자해야 한다. 그리고 저 복리 기계 4%를 고를 안목이 없다면 S&P500 인덱스를 구매하는 거다. 버핏과 멍거처럼 4%를 고를 자신이 있으면 직접 투자하면 된다. 정보(대부분은 소음이다)가 많고 사고 팔기 편하다는 이유만으로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아무런 준비없이 직접 주식 투자에 뛰어 들고 너무 많은 매매를 하고 있다.

저 논문을 주마간산으로 읽으면서 내 머리속에서는 이 그래프가 떠올랐다. 부의 불평등. 미국 상위 5%가 전체 부의 2/3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위 1%는 주식과 뮤추얼 펀드에 투자된 국가 부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사람이나 기업이나 똑같다. S&P500지수 500개 기업 중에 상위 20개 기업(이것 역시 4%) 시가총액 비중이 얼마일까. 거의 절반에 육박하는 47%.

상위 5%

상위 1%


추가) 그리고 방금 본 그림 하나. 2013년 설립된 미국 기업의 1/3만 살아남았다. 자본주의는 이렇게나 치열하다. 물론 별로 치열하지 않은 코스닥 시장 같은 곳도 있긴 하다..

기업 생존율

“제가 어렸을 때 제너럴 모터스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자동차 회사였습니다. 주주들을 몰살시켰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자동차 회사, 2위도 근접하지 않는 회사에서 어떻게 주주들을 몰살시킬 수 있을까요? 그것은 매우 다윈주의적입니다. 세상은 힘듭니다. 어떤 사업은 항상 죽고 새로운 사업이 생겨납니다.”
– 찰리 멍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