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한가로이 뉴스를 보고 있는데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뉴스가 눈에 들어왔다. 버핏의 애플 AAPL 매도 뉴스다. 지난 분기엔 조금만 매도했었는데 이번엔 보유 주식의 거의 절반을 매도했다. 애플의 내재가치를 계산해 보면 이번 매도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토요일에 발표된 회사의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2분기에 애플의 지분을 1분기 7억 8,900만 주에서 약 4억 주로 50% 가까이 줄였습니다. 버크셔는 현재 Apple의 지분 약 2.6%를 보유하고 있으며 금요일 종가인 219.86달러를 기준으로 약 880억 달러의 가치가 있습니다. Apple 지분의 감소는 놀라운 일은 아니었지만 그 규모는 예상치 못한 것이었습니다.” (출처: 배런스)
“버크셔의 현금은 880억 달러나 증가했는데, 이 중 대부분은 애플 매각 수익금이었습니다. 또한 회사는 자체 운영에서도 상당한 현금을 창출했으며, 버크셔는 2분기에 116억 달러의 영업 이익을 보고했는데,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1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입니다.”
AI 버블로 인해 가치보다 가격이 더 높이 올라간 애플을 매도해서 현금 비중이 최고로 높아진 버핏이 추가로 주식을 매수할 지, 아니면 높은 가격의 시장을 그저 바라만 보고 있을지 궁금해지는 순간이다. 참고로 버핏은 올해 초에 회사가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버크셔의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가 거의 없으며 다른 곳에서는 “기본적으로 후보가 없다”며 “상황이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했었다.
“애플 주식을 매수해야 할까?” 라는 제목의 오늘자 The Motley Fool 기사도 보인다. 그럼 내 10초 내재가치 계산으로는 어떨까. 역시 예상대로다~
1년도 전에 반도체 산업, 그 중에 특히 우리나라 대표 주식인 삼성전자가 싸보여서 분석도 안하고 아주 조금 정찰병 수준으로 담았던 적이 있었다. 오로지 그냥 이정도 가격수준이면 싸다는 감으로만 샀다. 정확한 분석이 아닌 감이기 때문에 많이 담을 수도 없었다. 나 같은 개미가 삼성전자와 같은 사업분야도 많고 여러 분야가 얽히고 설킨 대기업을 분석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
1년 동안 20% 내외로 올랐다. 1년 수익치곤 꽤 좋은 수익이다. 소로스가 드러켄밀러에게 그렇게 확신이 있는데 왜 이것 밖에 담지 않았냐고 꾸짖으며 왕창 더 담았다는 일화가 생각났다. 아니 그렇게 싸보였으면 왕창 담았어야 하지 않았나?
반도체 3배 ETF인 SOXL의 1년 주가 차트다.
1년 수익률 23.2%, 삼성전자와 거의 비슷한 1년 수익률이지만 변동성은 어마어마하다. 일례로 어젯밤 SOXL은 단 하룻만에 -21%가 빠졌다.
이런 변동성을 투자자가 감당할 수 있을까? 이런 ETF를 사 놓고 밤에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을까? 강한 확신이 들 때 레버리지를 써서 더 많이 사라거나, 확신이 들 때 1배짜리 보다 2배, 3배짜리를 사서 빨리 부자가 되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그래서 그런지 최근 1개월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산 주식 1위가 SOXL이다. TESLA와 NVIDIA가 2, 3위고 테슬라 2배, 엔비디아 2배가 역시 4위와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부디 밤 새 편안하셨길 빈다.
“세상은 어리석은 도박꾼들로 가득 차 있고, 그들은 인내심 있는 투자자만큼 잘 해내지 못할 것입니다.”
“자신이 이성적인지 아닌지 신경 쓰지 않는다면, 이성적이 되려고 노력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비이성적으로 남게 되고, 형편없는 결과를 얻게 됩니다.”
“투자에서 100%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레버리지 사용은 위험합니다. 아무리 연달아 훌륭한 성과를 올렸다고 해도, 거기에 0을 곱하면 0이 되기 마련입니다. 두 번 부자가 되리라고 기대하면 안 됩니다.”
“훌륭한 투자자가 되고 싶다면 계속 배워야 합니다. 세상이 변하면, 우리도 변해야 합니다. 워런과 저는 수십 년 동안 철도 주식을 싫어했지만, 세상이 바뀌었고 마침내 미국은 경제에 매우 중요한 네 개의 철도를 갖게 됐습니다. 우리는 변화를 깨닫는 데 느렸지만, 깨닫지 못한 것보다 늦은 것이 더 낫습니다.”
1년 전 넷플릭스 NFLX 10초 내재가치 계산을 한 적이 있었다. 당시 뉴스에는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일부 국가)로 인해 가입자가 6백만명 가까이 늘었고 매출 3%, 순이익도 6% 증가했다.
1년전 수행했던 내재가치 모델에 대해 굳이 변명을 하자면 당시 넷플릭스 매출 성장률이 과거와 달리 감소 추세에 있었기 때문에 매출 성장률을 아주 보수적으로 추정했었다. 최근 5년 넷플릭스 매출 성장률을 보면 한 자릿수 성장으로 수렴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두 자릿수 성장은 힘들다고 봤었다.
하지만 내가 간과한 점은 매출 성장률 둔화와 달리 넷플릭스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오히려 급증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2019년 영업이익률 12.9%에서 2023년 20.6%로 2019년 순이익률 9.3%에서 2023년 16%로 올랐다. 회사가 비용통제를 잘 하면서 이익을 올리고 있는데 특히 넷플릭스는 장부상 이익뿐만 아니라 FCF도 급증하고 있었는데 이는 CAPEX도 잘 통제하고 있다는 말이다.
(야후파이낸스)
이익의 증가로 주가역시 올해에만 35% 가까이 상승하고 있고 PER(TTM) 39.53 수준, Forward PER 34.6 이다. 전문가들은 넷플릭스 향후 5년 성장률을 20~25%로 예상하고 있다.
(야후파이낸스)
얼마전 발표된 올 2분기 실적 역시 전문가들의 예상을 비트했다. 넷플릭스 가입자도 급증했다는 뉴스와 함께 전문가들의 목표주가도 상향조정되고 있다. StreetAccount에 따르면 예상 2억 7,440만 명 대비 전 세계 유료 회원 수는 2억 7,765만 명이고, 광고 지원 멤버십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고 한다.
현재 성장하고 있는 스트리밍 부문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라면 넷플릭스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좋은 회사임에는 틀림없지만 과연 좋거나 적당한 가격인 걸까? 넷플릭스의 적정 내재가치는 얼마일까?
전문가들의 성장 예상치를 가지고 넷플릭스 적정 내재가치를 10초만에 다시 계산해 봤다. 과거처럼 매출이 아닌 이익 성장치로 계산한 결과다. 성장률과 타임라인을 얼마나 둘 지에 따라 결과는 당연히 달라진다. 넷플릭스와 같은 성장주의 경우 실적이 성장 예상치를 하회하거나 성장률이 감소되는 경우 주가는 예상치 하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감소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성장주 투자가 훨씬 더 어렵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추정은 더욱 보수적으로 해야 하고 언제든지 내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초보자가 처음 수영을 한다고 생각해 보자. 처음 수영을 하는 초보자가 아무런 안전장구도 없이 수심이 깊은 곳으로 들어가 수영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더구나 수영을 못하는 초보자가 높은 파도가 치는 바다로 바로 나가지도 않는다. 하지만 주식 투자에선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 내 눈에 성장주 투자는 수심이 깊고 높은 파도가 치는 곳이다.
면책 조항: 이 블로그에서 나누는 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소스를 사용하지만 그 정확성은 보장할 수 없으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됩니다. 직접 조사하거나 독립적인 재무 전문가와 상담하기 바랍니다. 저는 공인 투자 자문사가 아니며, 이 글의 모든 주장은 전적으로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사전 통보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오직 정보 공유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주식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것이 아닙니다.금융 상품이나 기타 상품에 대한 투자는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며, 여기에는 투자한 원금의 전액 손실 가능성도 포함됩니다. 과거 실적은 미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며, 예측은 미래 성과를 보여주는 믿을 수 있는 지표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