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도 밥 달라고 하네

어제 저녁에 문자 하나를 받았다. 카페24에서 온 문자다.
“하드디스크 91% 사용중”
관리 페이지 들어가서 확인해 보니 아무리봐도 80% 정도로 보이는데 91% 사용중이라니.

하드디스크 사용량


내가 설정한 알람도 확인해 보니 정확히 하드디스크 90% 넘을 때 문자 달라고 했는데 왜 80%일 때 알람이 왔을까? 이런건 자동으로 체크되고 발송될텐데 오류가 생기는 건 무슨 이유일까 쓸데없이 궁금해진다. 보이는 사용량 말고 내가 보지 못하는 다른 추가 사용량이 있는 건가? CDN도 쓰지 않는데..

한때 급증했던 웹트래픽(이건 80% 넘을 때 문자가 오도록 설정)은 다시 예전으로 돌아와서 기본 사용량을 초과할 일은 당분간 없을 것 같지만 아무래도 하드디스크 용량때문에 조만간 최하 버전에서 한단계 위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야겠다. 어느새 200개 글이 쌓이고 그만큼 블로그가 성장하고 있다는 말이 되니 내겐 즐거운 업그레이드다.

200개 글


글을 쓰면 아무래도 용량이라는게 사진이 대부분일텐데 요즘은 사진 용량 줄이려 구글에서 만든 WebP1 포맷으로 변환해서 올리거나 자동 변환하는 플러그인을 많이들 사용하는 추세인것 같은데 나야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다. 편리나 효율을 추구하면 끝이 없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해야지.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지 못하고 주말내내 접근성 점수 100점을 받기 위해서 이것저것 손을 보고 수정을 해서 결국 마지막까지 해냈다..ㅋ 성능을 100으로 올리는 일은 할 일이 너무 많아서 포기하기로 했다. 내 시간은 소중하다.

페이지스피드 검사
  1. 카페24 웹호스팅은 WebP 포맷을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

플러그인 유료화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플러그인 유료화 안내메일을 받았다. 블로그에 있는 Tech 디렉토리는 기술을 다룬다기 보다는 주로 블로그를 새로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것들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가치 투자 3.0에 속한 기업들이 주로 IT쪽인지라 가끔 글을 올릴 뿐, 테크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한다. 디렉토리를 Blog로 바꾸긴 너무 좁아서 그냥 두기로 했다.

젯팩 통계 안내문

오늘 아침에 젯팩 통계 플러그인 유료 안내 메일을 한 통 받았다. 워드프레스를 만들고 운영하는 오토매틱의 사업모델 중 하나가 이런 워드프레스 핵심 플러그인을 무료로 제공하고 차차 유료로 과금도 하는 구조다. 최근 블로그 트래픽이 급증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때 무료 기준을 넘었나 보다. 이 메일을 받고 알았지만, 젯팩 통계 무료 사용기준이 한 달 1,000조회수 미만에 애드센스 같은 광고를 사이트에 달지 않아야 한다. 광고를 달면 무조건 상업사이트로 분류된단다. 젯팩 검색 플러그인을 설치할 때 5,000개 포스트까지는 무료라고해서 그럴 일은 없겠다 싶었는데 통계를 이런 식으로 유료화 할 줄이야.

안내문 링크(한글은 아직 제공하지 않는다)를 읽어 보니 모두 다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니고 앞으로는 한 달치 통계를 보지 못하고 7일이나 당일은 부분적으로 조회가 가능한 것 같다. 나야 그정도도 충분하다. 사실 블로그 통계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킷으로도 충분하다. 게다가 구글 애널리틱스랑 연동해 놓으면 보고 싶은 데이터를 마음껏 가지고 놀 수도 있다. 이러니 내가 구글을 사랑하지..ㅋ

블로그든 웹사이트든 무언가를 운영한다면 목표가 있어야 한다. 흔히들 OKR(Objective Key Results), KPI(Key Performance Index) 같은 다소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결국 비즈니스의 최종 목표, 그리고 그 목표를 잘 달성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숫자로 치환가능한 성과 지표로 보면 된다.

만일 내 블로그 목표가 독자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라는 다소 막연한 목표라고 한다면 KPI는 그 목표를 대표할 수 있는 숫자로 된 재방문율(현재 10%), 체류시간(현재 2분 40초), 1인당 읽은 페이지 수(현재 1.76) 같은 아주 구체적인 숫자들이 될 수 있다. 만약 내 블로그 목표가 광고수익 극대화라면 KPI는 광고 클릭률(페이지 CTR)이나 클릭당 광고 단가(혹은 페이지 RPM) 또는 기간별 광고 수입 같은 숫자들이 될 수 있겠다. 만일 독자들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 목표라면 인사이트가 담긴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블로그를 통한 광고 수익이 목표라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찾는 키워드 중심의 짜집기 글을 양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투자 역시 마찬가지다. 짧은 기간 최대 수익이 목표라면 그에 따른 리스크와 비용은 충분히 감수해야 한다. 목표에 따른 KPI도 달라진다. 버핏이나 멍거를 따르기로 했다면 평생 학습은 기본에다 KPI의 기간 단위가 달라진다. 최소 3~5년 단위로 측정 가능하다. 그레이엄을 따르기로 하면 KPI는 또 달라진다. 다만 공통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 하나를 떠올려 보면 ‘편안한 잠’ 정도 되겠다. 필립 피셔의 책 제목대로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그래서 시장이 요동을 치고 거시 경제가 난리를 쳐도 잠을 잘 잔다. 그래서 가치 투자자들이 장수하나?!

“향후 5년 동안 순이익을 기대한다면 그 기간 동안 주식 시장의 상승을 기대해야 할까요, 아니면 하락을 기대해야 할까요? 많은 투자자들이 이 점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주가가 상승하면 기뻐하고 하락하면 우울해합니다. 이런 반응은 말이 안 됩니다. 가까운 장래에 주식을 매도할 사람들만 주가 상승을 기뻐해야 합니다. 잠재적 구매자는 가격 하락을 훨씬 더 선호할 것입니다.”
– 워런 버핏

가급적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비용은 최소화하려고 하고 있다. SNS의 단점들을 피해 온 것이라 무료로 사용하는 SNS(실제는 눈에 안보이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처럼 블로그 비용만 광고로 충당하는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래픽이 늘면 당연히 이런 저런 비용들도 함께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러니 찍히는 수입에만 관심가지지 말고 그 뒤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볼 줄 알아야 한다. 난 그냥 편하게 잠깐 들렀다 가는 내 쉼터. 그거면 됐다.

카페24 스팸SHIELD가 RSS 리더를 스팸으로 인식

이상하게 내 블로그를 내가 사용하고 있는 RSS 리더로 불러오면 제대로 불러오질 못한다는 것을 최근에야 알았다. 내 글을 내가 받아와서 읽을 일이 없었으니까. 확인해 보면 RSS는 잘 동작하고 있는데 RSS 리더에서 불러오질 못하는거다. 이걸 알고 나서도 ‘그런갑다~’ 하고 그냥 두고 있었는데 방금 그래도 혹시나 싶어서 검색해 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나같은 고민을 이미 하고 있던 사람들이 있었다. 카페24 스팸SHIELD가 RSS 리더를 스팸으로 인식한다.

카페24 웹호스팅을 사용하면서 이런 현상이 나오면 카페24에서 제공하는 스팸 SHIELD 기능을 적용하지 않으면 해결된다. 이게 RSS 리더의 접근을 스팸으로 오인해서 아예 접속차단을 해버려서 생기는 일이다. 방금 스팸 SHIELD 기능을 끄고 RSS 리더로 블로그 불러 오니 잘 된다.

스팸 쉴드

물론 카페24에서 제공하는 다년간의 노하우와 기술로 만든, 스팸을 미리 차단해 주는 기능을 껐기 때문에 블로그에 스팸이 몰려올수도 있겠지만 나야 댓글 자체를 내가 승인해야 보이는 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나 한 사람을 위해 스패머나 봇들이 에너지를 낭비할 것 같지는 않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에도 스팸 차단하는 게 몇 개 보이던데 굳이 필요없을 것 같아 아직 사용해 보진 않았다.

뭔가 기능을 적용하면 생각하지도 않은 에러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걸 섬세하게 하나하나 미리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게 사실 말이 안되기도 하다. 뭔가를 만들어 보면 하나가 좋으면 반대로 그것 때문에 안좋은 경우도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안좋은 경우를 무시하는 건 좋은 경우의 효용이 훨씬 더 크기 때문이겠지만 나처럼 안좋은 경우 하나가 더 중요한 고객들도 존재한다.

만약 카페24의 스팸쉴드 기능에서 고객이 화이트IP를 등록해서 스팸쉴드 기능도 제공하면서 불필요한 차단도 방지하도록 자율권을 줬으면 어땠을까. 아니면 많은 고객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는 RSS 리더 같은 공적기능의 IP는 미리 DB를 확보해서 허용했으면 어땠을까. 그렇게 하지 않는 뭔가 내가 모르는 이유가 있을지도.

스팸쉴드를 끄고 블로그 스피드 체크했더니..ㅋ

블로그 스피드 체크


평소 RSS를 가장 잘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내 블로그를 RSS로 받아보는 사람들을 위해 요약글이 아닌 전문을 볼 수 있도록 설정했다. 구독자 역시 요약글이 아닌 전문을 볼 수 있게 설정해 두었다. 와서 보나 받아 보나 뭐 다를 게 있을까. 블로그 트래픽 조금 늘리겠다고 요약만 보내는 건 일단 내가 싫다..ㅋ

추가) 스팸쉴드 적용하지 않은 뒤에 댓글 폭탄이..

댓글 폭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