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투자 지도

추석연휴를 이용해 그간 머리속에 맴돌기만 했던 간단한 투자 지도를 하나 만들었다(보기엔 간단하지만 사실 만든 과정을 보면 그리 간단하진 않았다). S&P500 기업을 입력하면 그 기업의 현재 위치를 아래와 같이 2차원 평면으로 보여주는 지도다. 사실 원의 크기까지 고려하면 3차원에 가까운 3D 지도인 셈이다. 투자란 결국 500개의 유니버스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자신만의 답이다. 500개 중에서 PER가 낮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배당이 높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조엘 그린블라트처럼 마법공식으로 고를 것인가, 피터린치처럼 PEG가 낮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만의 방식을 찾아 선택할 것인가.

코스트코 COST 지도

11_11로 표시된 것은 수익률과 성장률이 좋은 기업을 고르는 나만의 방식이다. 11_11_11은 그중에서 다시 한번 필터링을 해서 고른 기업 그룹이다. 현재 13개 기업만 포함된 그룹이다. 내재가치는 역시 내가 계산한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 그룹 20개 묶음이다. 신기하게도 피터린치의 방법과 거의 유사한 결과다. 이렇게 몇 개의 그룹을 지도에 자동으로 표시해 놓으면 관심있는 개별기업의 위치를 그룹과 비교하며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보니 고배당 그룹과 S&P500은 거의 같이 붙어있다.

멍거가 좋아하는 코스트코(COST)를 입력했더니 S&P500 평균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진다. 코스트코는 이익률을 낮게 가져가는 전략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다.

테슬라 TSLA 지도

이번에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특히 좋아하는 테슬라 TSLA 를 입력했더니 이런 그림이 나온다. 성장률이 대단함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성장률이 좋은만큼 역시 비싸다. 일반적으로 지도의 위 칸으로 올라갈수록 풍선의 크기는 커진다. 내가 찾는 것은 수익률과 성장률이 좋으면서도 풍선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은 것이다. 저PEG과 내재가치 그룹에서 찾아보면 되겠다.

여행 레스토랑 예약서비스 부킹홀딩스 숫자들이 괜찮아 보여서 한번 함께 입력해봤다. 좋은 위치에 들어갔다. 하나씩 입력해 보니 마치 사격의 표적지처럼 입력값들이 잘 표시된다. 세 개를 같이 모아 보니 테슬라와 코스트코 풍선크기가 거의 같다. 따로 표시는 안했지만 엊그제 아지트 자인이 200주를 팔았다던 BRK-A 말고 우리같은 서민들이 접근할 수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 BRK-B를 넣어봤더니 코스트코 오른쪽 옆에 딱 붙었다. 크기는 MF2와 거의 같다.

히트맵

국내 기업도 한번 넣어봤다. 모르긴 몰라도 국내기업 대부분은 제일 왼쪽 아래 칸에 들어갈 것이다. 좋은 기업으로 소문난, 특히 요즘 6만전자라고 난리도 아닌 삼성전자를 입력했다(나중에 보니 이 그림은 실수가 있었다. 삼성전자는 다른 국내기업처럼 성장률이 3%대 아래로 내려왔다). 그리고 매력적인 가격대로 내려온 구글도. 이렇게 보니 구글이 좋은 기업인 게 한눈에 보인다. 내가 좋은 기업 그룹으로 꼽은 11_11_11 그룹과 풍선크기도 비슷하면서 거의 붙었다. 그렇다면 엔비디아 NVDA는 어디에 위치할까? 예상대로 오른쪽을 몇 칸 더 만들면서(50% 수익률) 제일 위 칸(40%에 가까운 성장률)이다.

투자지도

이번 추석연휴엔 간단한 투자 지도 만들면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며 놀아야겠다. 블로그 글도 연휴동안엔 쉴 예정이다. 주인이 없는 연휴동안 이 곳을 우연히 찾은 모든 분들도 즐거운 한가위 되시길~~

한가위

2024 미국 대선 토론 트럼프 대 해리스

2024 미국 대선 토론후 해리스가 생각보다 잘했다는 여론이 많았었는데 Polymarket 베팅에서도 해리스가 근소한 차이로 역전에 성공했다. 이번 토론은 방송과 케이블을 통해 약 5,780만 명의 시청자가 봤는데 이는 지난 6월 트럼프 바이든 토론때 4,790만 명보다 많은 수치다.

트럼프 해리스 지지율

미국 대선이 늘 그래왔듯 스윙 스테이트라 불리는 회색(펜실베니아와 네바다)과 연한색 주의 투표결과가 대선을 좌우할 것이다. 미국은 승자 독식이다. 트럼프와 해리스 추세는 다음과 같다. 해리스가 많이 끌어 올려 현재는 거의 박빙이다. 앞으로 54일이라는 긴 시간이 남아 있으니 어떤 돌발 변수가 발생할지 아무도 모를일이다.

지지율 변화

토론 후 해리스 측에서 다시 한번 토론을 하자고 제안했다는 뉴스를 봤는데 내가 만일 해리스 쪽이라면 글쎄다. 대부분 토론에서 트럼프 우위를 점쳤는데 해리스가 선방한 것은 맞지만 똑같은 방식으로 다시 토론한다면 트럼프도 분명 반격을 준비할 것이다. 이번 대선 토론 주관사가 ABC 방송인데 트럼프는 3:1로 싸웠다고 했을 정도로 자신에게 불리했다고 말했다. 토론 방법이나 진행자의 역할에 따라 우위가 바뀔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다. 트럼프는 이민자 문제와 경제 실정을 주로 강조했고 해리스는 트럼프 개인 공격과 사회적약자와 소수자에 집중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은 유권자로 구성된 소규모 여론 조사 집단의 70%가 트럼프에게 투표하거나 그를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개종자들은 그가 사람으로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있어서는 그를 더 신뢰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가 2017-2021년 대통령이었을 때 개인의 재정 상황이 더 좋았다고 말했다.”

토론 직후 미국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적으로 해리스 지지를 발표했다. 그녀는 이 플랫폼에서 2억 8,300만 명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다. “저는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카말라 해리스와 팀 왈츠에게 투표할 것입니다. 카말라 해리스 후보에게 투표하는 이유는 그녀가 권리와 대의를 위해 싸우는 전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녀가 안정적이고 재능 있는 리더라고 생각하며, 혼란이 아닌 차분함으로 이 나라를 이끌면 훨씬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트럼프 미디어(DJT) 주가는 토론 후 급락.

트럼프 미디어 주가

구글을 매수할 때인가?

최근 구글 GOOGL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분자인 주가가 하락하면서 PER도 내려갔는데 12개월 포워드PER로 계산했을 때 구글(17.5)이 S&P500(20.8)에 비해서도 낮아졌다. 반독점 재판의 영향때문인지 AI시대에 다른 기업과의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다는 두려움(OpenAI가 SearchGPT라는 웹 검색 제품을 개발 중이라는 보도 이후 최근 하락)때문인지 모르겠지만 구글 PER 17이라면 솔깃해지는 가격대다.

구글 GOOGL

어젯밤 조금 올라 다시 150을 회복했다.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평균 201이다.

구글 주가

구글에는 내가 좋아하는 구루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찰리 멍거의 후계자 리루는 GOOG와 GOOGL을 합해 포트폴리오 40%를 구글로 담고 있다. 이런 집중투자도 없다. 최근에 옥시를 추가했다. 리틀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빌 애크먼도 포트의 20%가 구글이다. 최근에 나이키를 추가했다. 테리 스미스도 포트의 5%를 구글로 채웠다. 현재 10%를 넘는 종목은 단 두 개,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다. 나이키도 1.9% 가지고 있다.

전체 검색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괴물 기업이면서 클라우드와 유튜브도 가지고 있다. 검색에서 14% 성장, 유튜브에서 21% 성장, 클라우드에서 28% 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동안 전체적으로 20%이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글 5년 성장률

그럼에도 11.8% 성장이 예상되는 S&P500보다 PER가 낮다?! 그래서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로 계산했다. 한달 전에도 간단밸류에이션을 했었는데 그때와 차이가 나는 것은 가정을 조금 보수적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구글 내재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