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내재가치 계산하기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 하나가 내재가치 계산이다. 내가 읽은 투자관련 책 중에서 기업의 내재가치 계산에 대해 제일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 모니시 파브라이가 쓴 “단도투자”다. 이 책은 절판되었다가 얼마 전에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로 다시 재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내재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모든 사업에는 내재가치가 있고 내재가치는 간단한 공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존 버 윌리엄스는 1938년 출판한 “투자가치이론”에서 내재가치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규정했다. 윌리엄스에 따르면 모든 사업의 내재가치는 남은 사업기간 동안 유입 및 유출 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적절한 이자율로 할인하여 산출한다. 내재가치의 정의는 이처럼 매우 간단하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2006년 말 인근의 주유소 한 곳이 매물로 나왔다고 하자. 주유소 주인이 제시한 매각가격은 50만 달러다. 10년 뒤 이 주유소를 40만 달러에 팔 수 있다고 가정하자. 앞으로 10년 동안 주유소에서 창출할 수 있는 잉여현금흐름은 매년 10만 달러로 추정된다. 한편 50만 달러를 다른 저위험자산에 투자할 경우 연평균 10퍼센트 수익률이 가능하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주유소를 인수하는 편이 나을까, 아니면 사실상 보장된 것이나 마찬가지인 10퍼센트 수익률을 택하는 편이 나을까?

나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BA-35 계산기를 이용해 현금흐름할인법(DCF)으로 내재가치를 추정했다.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표 7.1>에서 보듯 주유소의 내재가치는 약 77만 달러다. 따라서 주유소 인수가격 50만 달러는 내재가치의 약 3분의2 수준에 해당한다. 한편 10퍼센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저위험 투자를 현금흐름할인법으로 분석하면 <표 7.2>와 같다. 저위험자산에 투자한 50만 달러의 현재가치는 정확히 50만 달러다. 따라서 현금흐름과 훗날 매각가격이 예상과 같다고 가정하면 주유소를 인수하는 것이 같은 금액으로 10퍼센트 금리 채권을 사는 것보다 더 유리한 투자다.”

재무계산기


책을 읽어 보면 실제 엑셀프로그램을 이용해 어떻게 계산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윗 글에서는 주유소의 내재가치를 재무계산기로 알려진 BA-35를 이용해 계산한 내재가치 77만 달러 정도로 추산했다.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는 이런 DCF 계산을 10초 이내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숫자 감각과 계산능력이 뛰어나다. 버핏과 멍거처럼 좋은 IQ를 가지지 못했다고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그들이 강조한 대로 투자에는 초등학교 산수 정도의 계산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리고 파브라이가 말했듯 요즘은 핸드폰에도 계산기가 들어 있고,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 같은 훌륭한 프로그램도 많이 나와 있다.

“The stock market is filled with individuals who know the price of everything, but the value of nothing.” — Philip Fisher

버핏과 멍거는 천재라서 10초만에 저 복잡한 DCF계산을 할 수 있는가? 한 때 내 화두가 이것이었는데 오래 고민하고 연구하니 결국 그 비밀을 아주 조금은 알아낸 것 같다. 내 방법으로 방금 10초 만에 계산한 저 주유소의 내재가치는 75만 달러다. 파브라이가 계산기로 찾은 내재가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10초도 안걸려 계산한 것이니 나름 의미는 있지 않을까 싶다. 누군가 이 글을 보고 내게 어떻게 10초도 안걸려 75만 달러라는 숫자가 나왔는지 가르쳐 달라고 하면 내가 순순히 가르쳐 주겠는가? 당신이라면 이 방법을 유튜브를 찍어서 알려 주겠는가? 전자책을 써서 알려 주겠는가?

기업의 내재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어려울 수도 있고, 간단하고 쉬울 수도 있다. 사실 10초만에 DCF를 하는 방법을 안다고 투자를 잘한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세상엔 자신만 아는 비법들을 가르쳐 주지 못해 안달난, 그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놀라울 따름이다..^^

“너무 좋아서 믿어지지 않는다면, 믿으면 안 된다.”

인공지능 시장 성장률

2030년까지 인공지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얼마나될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료들을 찾아보니 인공지능 시장의 2030년까지 성장률은 대략 35%를 조금 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엄청난 성장률이다.

인공지능 성장률

가장 먼저 나온 검색결과 (출처 : https://www.marketsandmarkets.com/Market-Reports/artificial-intelligence-market-74851580.html)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 퍼시픽은 2030년까지 37%를 조금 넘는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ChatGPT에게 물었더니 자신은 21년 9월 정보까지 업데이트되어 정확한 성장률을 알 수 없다고 하면서 CAGR 계산하는 공식을 넌즈시 알려 준다. 구글 BARD에게 질문했더니 정확하게 위에 있는 숫자를 제시한다.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인공지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36.8%로 전망됩니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산업에서의 인공지능 도입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7년동안 연평균 35% 성장이 거의 확실시되는 기업이 하나 있다고 하자. 이런 성장률이 예상된다면 시장에서 이미 높은 가격으로 인정을 받고 있을 확률이 아주 높다. 이 기업의 적정가격은 얼마일까? 나는 얼마를 적정가격으로 판단할 것인가?

내재가치란 결국 기업이 평생 벌어들을 돈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로 엑셀을 열고 DCF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7년동안의 성장률을 알 수 있으니 할인율만 결정되면 쉽게 내재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아니면 피터 린치가 애용했다는 PEG개념을 사용할 수도 있다. 35% 성장이기 때문에 PEG 1 이하가 되려면 PER 35 정도는 용인할 수도 있다. 간단하고 쉽지만 뭔가 아쉽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

버핏과 멍거는 세상에 마법과 같은 공식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