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과연 좋은 기업인가?

추석연휴 시작할 때 그냥 간단한 아이디어 상태에 있었는데 추석연휴 동안에 역시 생각만 하고 있었던 기능들을 조금 더 추가해서 간단한 투자 지도를 업데이트했다. 투자 지도 이야기하면서 6만전자가 된 삼성전자를 언급했었는데 데이터를 잘못 입력해서 틀린 그림을 그렸던 게 마음에 걸려 삼성전자부터 업데이트된 투자 지도에 넣어 봤다. 세계적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는 과연 좋은 기업인가? 새롭게 추가된 기능은 10년 전, 5년 전, 그리고 현재를 한 지도에서 비교해 보는 것이다. 다른 기업과 비교도 좋지만 무엇보다 과거의 나와 비교해 보는 것이 투자에서 필수적이다.

삼성전자 투자지도

투자 지도를 처음 그렸을 때 아마도 국내 기업 대부분은 10%와 10% 사이인 제일 왼쪽 아래칸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삼성전자도 10년 전이나 5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 칸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기업인 삼성전자가 수익률이나 성장률 면에서 모두 S&P500 평균이나 다우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그럼 핸드폰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애플(AAPL)은 어떨까?

애플 투자지도

투자 지도에서 10년 전 애플이 바로 워런 버핏이 투자를 검토할 때 애플이다. 그 1년 후 버핏은 애플을 매수하기 시작했다. 높은 성장률(지금의 테슬라와 비슷한 성장률)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싼 수준이었다. 물론 그 후 우려대로 성장률은 꾸준히 하락했지만 수익률은 오히려 상승하면서 현재는 성장률과 수익률이 뛰어난 11_11 클럽에도 들어있다. 지금의 애플은 11_11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다. 애플이 걸어온 길은 테슬라를 포함한 모든 성장 기업들이 가고 싶어 하는 길이다. 애플은 역시 좋은 기업임에 틀림없다.

이번에는 삼성전자와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대만의 TSMC를 한번 보자.

TSMC 투자지도

업의 특성상 시클리컬하게 성장률은 오르락 거리지만 수익률은 일정하게 10%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비교해서 보니 삼성전자와 수익률 차이가 꽤 커보인다. 성장률과 수익률이 우수한 그룹인 11_11_11과 겹칠 정도로 좋은 위치에 있다. 역시 좋은 기업이다.

투자 지도로 몇 개 기업의 점을 테스트로 찍어 보면서 제일 인상적인 기업은 바로 엔비디아(NVDA)였다. 다른 기업들을 그야말로 압살하는 궤적이었다. 5년 전 지금의 구글 옆에 있었을 때가 PER 20근방으로 PEG 1 수준이었다. 투자지도를 그리면서 10년전 지금의 삼성전자 위치에 있었던 그저그런 기업에서 5년전 엔비디아로 퀀텀 점프했을 때, 바로 그때 이 기업을 알아채지 못했음이 아쉬웠다. 하지만 그때라도 지금의 엔비디아 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보면 확신할 수 없다. 지금 엔비디아처럼 이렇게 TSLA에서 FTNT를 거쳐 MA로 떨어지는 무형의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은 능력과 운과 시대정신이 맞물린 그야말로 초초초 대박 사건이다.

엔비디아 투자지도

하지만 지금의 위치를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 해도 5년전 위치의 엔비디아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아쉽다. 지금처럼 이렇게 높은 수익률과 성장률은 곧 치열한 경쟁을 불러들일 것이다. 그것을 얼마나 지켜낼 수 있을지는 오롯이 엔비디아의 해자에 달려있다.

또 하나 인상적인 기업은 비자카드. 옆에 있는 마스터카드와 비교하려고 한번 넣어봤더니 이런 행보를 보인다. 일정한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수익률을 계속해서 올려가고 있다.

비자 투자지도

지금까지 내가 써보고 경험했던 국내외 그 어떤 재무제표 분석 서비스에서도 이런 종류의 그림들을 본 적이 없다. 과거 재무제표 숫자들을 표로 제공하긴 하지만 이렇게 시각적으로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것은 못봤다. 그럼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이렇게 세세한 기능이 담긴 그림까지 다 공개해도 될까? 수익률과 성장률을 정확하게 어떤 지표를 사용하는지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투자지도 개념을 차용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본다(출처: buddy.pe.kr 만 남겨주시면^^). 수익률과 성장률도 대부분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허나 간단하지만 쉽지도 않다. 그리고 이 그림 역시 간단 내재가치 계산기처럼 입력하면 10초 이내에 결과가 나온다. 속력보다 방향이라지만 역시 속력도 중요하다~

추가) 과거 기업분석 사례로도 언급했었던 삼양식품 투자 지도는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서 한번 추가해봤다. 대략 5년전 삼양식품이 내가 분석 사례로 분석했을 즈음이다. 10년 전 성장률 -0.54%였던 기업이 환골탈퇴했다. 5년 뒤 삼양식품은 어디에 있을까?

삼양식품 투자지도

확신이 들 때

1년도 전에 반도체 산업, 그 중에 특히 우리나라 대표 주식인 삼성전자가 싸보여서 분석도 안하고 아주 조금 정찰병 수준으로 담았던 적이 있었다. 오로지 그냥 이정도 가격수준이면 싸다는 감으로만 샀다. 정확한 분석이 아닌 감이기 때문에 많이 담을 수도 없었다. 나 같은 개미가 삼성전자와 같은 사업분야도 많고 여러 분야가 얽히고 설킨 대기업을 분석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

삼성전자 주가

1년 동안 20% 내외로 올랐다. 1년 수익치곤 꽤 좋은 수익이다. 소로스가 드러켄밀러에게 그렇게 확신이 있는데 왜 이것 밖에 담지 않았냐고 꾸짖으며 왕창 더 담았다는 일화가 생각났다. 아니 그렇게 싸보였으면 왕창 담았어야 하지 않았나?

반도체 3배 ETF인 SOXL의 1년 주가 차트다.

SOXL

1년 수익률 23.2%, 삼성전자와 거의 비슷한 1년 수익률이지만 변동성은 어마어마하다. 일례로 어젯밤 SOXL은 단 하룻만에 -21%가 빠졌다.

SOXL 20240802

이런 변동성을 투자자가 감당할 수 있을까? 이런 ETF를 사 놓고 밤에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을까? 강한 확신이 들 때 레버리지를 써서 더 많이 사라거나, 확신이 들 때 1배짜리 보다 2배, 3배짜리를 사서 빨리 부자가 되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해외주식 순매수 순위

그래서 그런지 최근 1개월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산 주식 1위가 SOXL이다. TESLA와 NVIDIA가 2, 3위고 테슬라 2배, 엔비디아 2배가 역시 4위와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부디 밤 새 편안하셨길 빈다.

“세상은 어리석은 도박꾼들로 가득 차 있고, 그들은 인내심 있는 투자자만큼 잘 해내지 못할 것입니다.”

“자신이 이성적인지 아닌지 신경 쓰지 않는다면, 이성적이 되려고 노력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비이성적으로 남게 되고, 형편없는 결과를 얻게 됩니다.”

“투자에서 100%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레버리지 사용은 위험합니다. 아무리 연달아 훌륭한 성과를 올렸다고 해도, 거기에 0을 곱하면 0이 되기 마련입니다. 두 번 부자가 되리라고 기대하면 안 됩니다.”

“훌륭한 투자자가 되고 싶다면 계속 배워야 합니다. 세상이 변하면, 우리도 변해야 합니다. 워런과 저는 수십 년 동안 철도 주식을 싫어했지만, 세상이 바뀌었고 마침내 미국은 경제에 매우 중요한 네 개의 철도를 갖게 됐습니다. 우리는 변화를 깨닫는 데 느렸지만, 깨닫지 못한 것보다 늦은 것이 더 낫습니다.”

– 찰리 멍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