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AI가 검색을 먹을거란 우려와 라인사태, 쇼핑에서의 시장점유율 우려가 중첩되면서 우리나라 NAVER 같은 기업의 미래가 불투명해 졌다는 게 그대로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코로나때 45만원을 넘었던 주가는 지금 176,000 수준이다. PER 17.46

NAVER 가격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 평균 24~25만원 수준.

NAVER 목표주가
NAVER 국내 목표주가


네이버가 좋은 회사인가? 네이버 주가가 싼가? 혹은 적당한가? 며칠 전부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 네이버에 대해서 조사 좀 해볼까 생각(만 하다가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ㅎ)을 하고 사진 찍어 뒀었는데 어제 AI에 대한 네이버 비전을 발표했는지 모르겠지만 애널리스트 분석 보고서가 쏟아져 나오면서 주가는 모처럼 상승중..ㅋ


우리나라 대표기업이자 제조업의 상징 삼성전자, 그리고 우리나라 IT의 상징 NAVER의 주가하락…우리나라 사람들의 해외 주식(대부분 미국이겠지) 보유액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는 뉴스와 무관치 않다.

해외주식 보유액


지난 1년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비중을 찾아 보니(솔직히 이렇게 찾는 것도 귀찮ㅋ) 대충 다음과 같은 그림이다. 왼쪽이 최근. 올 7월까지 32%가 넘었던 외국인 비중이 최근 세 달동안 29%로 하락. 외국인 투자자 팔고, 국내 투자자 해외로 나가고~ 주가하락에도 마의 시가총액 2,500조를 유지하는 건 IPO때문?!

국내 주식시장 외국인 비중


이런 움직임은 역시 트럼프 당선과 무관하지 않다. 미중 무역전쟁 시즌2가 시작되고 관세를 높이면 중국뿐만 아니라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 시장도 큰 타격을 입는다. 물론 NAVER는 내수주다.

관세후 주가 움직임


남들이 열광할 때 한 발짝 물러서고 남들이 낙담할 때 뒤져 본다. 뒤져서 명확한 이유를 찾았을 때 반대로 갈 수 있다. 대체로 군중은 옳지만 아주 가끔씩 틀리기도 한다. 군중이 틀리고 나만 옳은 경우는 아주 드물지만 있다. 고집스럽지만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투자는 어렵다.

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

예전에 구글 검토하면서 경쟁사 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도 함께 본 적이 있었는데 따로 기록은 하지 않았었다. 그래도 우리나라 인터넷 제1 기업인데 코로나 기간동안 급등했지만 5년을 놓고 보면 주가가 거의 제자리에 있다. 최근에 4000억 자사주 소각을 발표했지만 주가는 별 반응이 없다.

네이버 주가

밸류에이션 밴드를 봐도 거의 바닥권이다. 검색에서 구글에게 쫓기고 AI에게 위협받고 쇼핑에선 중국에게 쫓기고 그래도 그렇지 네이버가 PBR 1로 떨어진건 의외다.

내 눈엔 성장과 수익을 바꿨는지 모르겠지만 중요하게 보는 수익률이 바닥권(아직 국내 기업의 데이터 정확성은 해외 기업만큼 보장할 수 없으니 참고만…수동으로 계산하니 수익률이 조금 더 오른쪽으로 이동)이다. 외국인 소유 비중이 약 43%라고 하는데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주식의 매운 맛을 톡톡히 보고 있겠다. 누가 내게 구글 살래 네이버 살래 하면 구글이 더 좋아보인다.

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

네이버가 좋은 기업인가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내 기준으로는 절대 나쁘지 않은 기업 정도로 나와 10초 내재가치 계산기(81053)로 돌렸더니 아래와 같이 나온다.

네이버 내재가치

네이버에서 검색유입이 들어왔다

블로그에 맘 먹고 하나씩 글을 쓰기 시작한지 곧 한 달이 다 되어 가는데 드디어 구글 검색유입이 아니고 네이버에서 검색유입이 들어왔다. 다음이나 워드프레스를 통해서도 들어오긴 했지만 네이버 검색유입은 하나도 없었는데 엊그제 처음으로 들어 왔다.

레퍼러

중간에 추석연휴가 끼어 있어서 제대로 된 추세는 아니지만 어쨌든 꾸준히 글을 쓰니 방문자와 조회수도 덩달아 늘어 나긴 한다. 하지만 여전히 돈은 되지 않는다. 돈이 되는 키워드를 골라 전략적으로 글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전략적으로 황금 키워드를 찾고, 롱테일 키워드를 공략한다 하더라도 거의 신생 블로그인 내 블로그에 트래픽이 몰려 들지는 않는다. 주식투자와 마찬가지로 블로그 운영 역시 긴 호흡으로 봐야 한다.

블로그 방문자

사람들은 블로그에 글을 쓰면 바로 트래픽이 터지는 줄 안다. 오프에 식당을 차리면 손님들이 몰려드는 장면을 상상한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스마트 스토어를 개설하기만 하면 불티나게 팔리는 줄 안다. 주식을 사면 상한가로 직행할 줄 안다. 로또에 당첨되는 걸 꿈꾸기도 한다. 로또를 사지도 않으면서,

마찬가지로 블로그를 만들고 구글 서치콘솔이나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도 하지 않고 구글이나 네이버를 통해 트래픽이 터지길 바란다. 구글, 네이버, 다음, 빙에는 사이트 등록을 기본으로 하고 블로그를 시작해야 한다. 등록하고도 일정 기간동안 기다려야 반영된다. 아무리 급해도 시간이 걸리는 일들도 있다. 현재 평균 구글 순위가 27번째 정도에 있다. 누가 검색할 때 거기까지 내려갈까..^^

이제 남은 건 내 블로그를 구독하는 첫번째 구독자가 생기는 것과 새로운 댓글, 그리고 페이스북에서는 너무도 흔한 좋아요를 하나 받아 보는 것 정도가 남았다. 끝으로 검색유입을 보면 신기하게도 한글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미국과 대만에서 많이 들어오고 있다. 사람인가 봇인가?

어쨌든 힘내라 대한민국!!

국가별 검색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