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

예전에 구글 검토하면서 경쟁사 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도 함께 본 적이 있었는데 따로 기록은 하지 않았었다. 그래도 우리나라 인터넷 제1 기업인데 코로나 기간동안 급등했지만 5년을 놓고 보면 주가가 거의 제자리에 있다. 최근에 4000억 자사주 소각을 발표했지만 주가는 별 반응이 없다.

네이버 주가

밸류에이션 밴드를 봐도 거의 바닥권이다. 검색에서 구글에게 쫓기고 AI에게 위협받고 쇼핑에선 중국에게 쫓기고 그래도 그렇지 네이버가 PBR 1로 떨어진건 의외다.

내 눈엔 성장과 수익을 바꿨는지 모르겠지만 중요하게 보는 수익률이 바닥권(아직 국내 기업의 데이터 정확성은 해외 기업만큼 보장할 수 없으니 참고만…수동으로 계산하니 수익률이 조금 더 오른쪽으로 이동)이다. 외국인 소유 비중이 약 43%라고 하는데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주식의 매운 맛을 톡톡히 보고 있겠다. 누가 내게 구글 살래 네이버 살래 하면 구글이 더 좋아보인다.

네이버 투자 전략 지도

네이버가 좋은 기업인가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내 기준으로는 절대 나쁘지 않은 기업 정도로 나와 10초 내재가치 계산기(81053)로 돌렸더니 아래와 같이 나온다.

네이버 내재가치

네이버에서 검색유입이 들어왔다

블로그에 맘 먹고 하나씩 글을 쓰기 시작한지 곧 한 달이 다 되어 가는데 드디어 구글 검색유입이 아니고 네이버에서 검색유입이 들어왔다. 다음이나 워드프레스를 통해서도 들어오긴 했지만 네이버 검색유입은 하나도 없었는데 엊그제 처음으로 들어 왔다.

레퍼러

중간에 추석연휴가 끼어 있어서 제대로 된 추세는 아니지만 어쨌든 꾸준히 글을 쓰니 방문자와 조회수도 덩달아 늘어 나긴 한다. 하지만 여전히 돈은 되지 않는다. 돈이 되는 키워드를 골라 전략적으로 글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전략적으로 황금 키워드를 찾고, 롱테일 키워드를 공략한다 하더라도 거의 신생 블로그인 내 블로그에 트래픽이 몰려 들지는 않는다. 주식투자와 마찬가지로 블로그 운영 역시 긴 호흡으로 봐야 한다.

블로그 방문자

사람들은 블로그에 글을 쓰면 바로 트래픽이 터지는 줄 안다. 오프에 식당을 차리면 손님들이 몰려드는 장면을 상상한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스마트 스토어를 개설하기만 하면 불티나게 팔리는 줄 안다. 주식을 사면 상한가로 직행할 줄 안다. 로또에 당첨되는 걸 꿈꾸기도 한다. 로또를 사지도 않으면서,

마찬가지로 블로그를 만들고 구글 서치콘솔이나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도 하지 않고 구글이나 네이버를 통해 트래픽이 터지길 바란다. 구글, 네이버, 다음, 빙에는 사이트 등록을 기본으로 하고 블로그를 시작해야 한다. 등록하고도 일정 기간동안 기다려야 반영된다. 아무리 급해도 시간이 걸리는 일들도 있다. 현재 평균 구글 순위가 27번째 정도에 있다. 누가 검색할 때 거기까지 내려갈까..^^

이제 남은 건 내 블로그를 구독하는 첫번째 구독자가 생기는 것과 새로운 댓글, 그리고 페이스북에서는 너무도 흔한 좋아요를 하나 받아 보는 것 정도가 남았다. 끝으로 검색유입을 보면 신기하게도 한글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미국과 대만에서 많이 들어오고 있다. 사람인가 봇인가?

어쨌든 힘내라 대한민국!!

국가별 검색유입

네이버의 초기화면 개편

네이버가 새해를 맞아 홈페이지 디자인을 바꾸었다.

새해가 되면 신문이나 방송마다 새해에 달라지는 것들이라는 제목으로 각종법안을 위시해 제도의 변경사항을 쭉 나열하곤 하는데 피부로 느끼도록 제일 크게 달라진 점은 역시 네이버의 초기화면이다..ㅋㅋ 네이버야 따로 이야기가 필요없을 정도로 인터넷업계의 강자이며 명실상부한 포털(관문)이다. 컴퓨터를 켜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네이버부터 거쳐간다.
먼저, 간결해졌다. 스크롤이 그만큼 필요없어 졌으면서 직관적으로 좀 더 심플해졌다는 느낌을 받는다. 검색에 충실하다는 표현인진 몰라도 검색을 돋보이게 했지만 기존 디자인에 비해 배너광고의 크기가 더 커졌다. 다른 메뉴들이 심플해진 효과로 배너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체감적으로 더 커져 보인다. 따라서 심플해졌다는 평가가 배너로 인해 퇴색되어 버렸다.
그리고, 개인화다. 포털사이트의 개인화의 역사는 꽤나 오래된 것으로 알고 있다. 한때 인터넷의 강자로 대접받았던 야후 에서 꽤나 진지하게 개인화에 대해서 접근을 했었지만 시기상조로 결말이 났었던 기억이 있다. 최근에 개인화를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곳은 구글 정도가 아닐런지. 구글의 초기화면은 심플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면에  사용자의 설정을 통해 igoogle로 들어가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초기화면을 디자인 할 수 있다.(개인적으로 초기화면으로 사용중) 상단메뉴탭에 5가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데 증권(마이스탁), 책(내서재), 영화, 가계부(내가계부)등등 네이버 밑단의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겐 제법 편리한 부분이다. 하지만 밑단의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이들에겐 거기서 거기인 셈.(내 경우엔 이부분이 유용^^)
뉴스부분은 포털의 편집권이란 이유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부분인데 일단은 7개까지 개인이 선택할 수있도록하여 클릭할 경우 언론사의 홈페이지로 바로 넘어가도록 했다. 준비가 안된 언론사의 경우엔 갑자기 급증한 트래픽을 서버가 감당하지 못해 한동안 다운되기도 하고, 사용자의 입장에선 걸러지지 않은(?) 언론사의 광고들에 그대로 노출되게 됨으로써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예전에는 초기화면만 봐도 어떤 이슈가 있는지, 사람들이 어떤 곳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따라갈 수 있었지만 이젠 조금 더 수고를 해야 한다. 온라인상 이슈가 되는 뉴스나 정보를 따라 추적해야 하는 수고가 더해졌다고나 할까. 시간이 많은 사용자일 경우 큰 불편이 없겠지만 짬짬이 뉴스를 훑어보는 유저들에겐 조금 짜증나는 일일수도 있다.
오픈캐스트의 경우는 아직 정식으로 서비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뭐라 말할수가 없지만 메타블로그나 다음의 블로그 뉴스등과 비교해 볼 때 글쎄다..성공하기 보다는 넘어야 할 산들이 훨씬 많아 보인다.
대체적으로 네이버를 충실히 사용하고 있는 헤비유저들에겐 이번 개편이 반가울수도 있겠지만 관문으로서 거쳐가는 일반적인 유저들에겐 반갑지 않은 개편일 수 있겠다. 네이버의 고민은 일반유저들을 훌륭하게(?) 잘 설계한 각각의 서비스들에 어떻게 끌어들일 것인가? 이지 않을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