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초 내재가치 계산기에 새로운 기능 추가

역시 영원한 보유가 가장 어렵다

혼자 보는 10초 내재가치 계산기에 새로운 기능을 하나 추가했다. 지난 주말 구루들의 포트폴리오를 보다가 발견한 기업 하나가 숫자들은 너무 좋은데 가격이 조금 비싼 게 흠이라 주저하다가 내 고민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불현듯 떠올랐다. 떠오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그린 그림(가칭 성장 활주로)이다. 초록색 선이 현재 가격이고 빨간색 선이 내재가치선이다. 내재가치선 위 아래로 적당한 마진을 두고 점선으로 그렸다. 당연히 벗어나기도 하겠지만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개와 주인으로 비유했듯이 대략 가격이 그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한다고 보면 된다. 아래 빨간 점선은 좋은 기업인지 아닌지를 비교하기 위한 벤치마크쯤 된다.

미스터리 기업 성장 활주로

기업 내재가치선의 기울기를 벤치마크와 비교해보면 훌륭한 기업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별로인 기업일수록 벤치마크와 가깝거나 심할 경우 아래로 떨어진다. 하지만 지금 현재(D) 가격은 내재가치선 상단 붉은 점선을 넘어서 있는 고평가 상태다. 내가 고민하고 있는 바로 그 상황이다..^^ 좋은 건 대체로 비싸다. 가격을 나타내는 초록색 수평선이 흰색 점선 아래에 있을 때가 버핏이 말하는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다. 양동이를 들고 뛰어나가야 할 때. 이 훌륭한 기업을 지금 가격대에 매수한다면 자칫 최대 3년(D+3에서 가격선과 만난다)을 마이너스로 지내야 할 수도 있음을 그림이 알려 준다. 달리 말하면 가정대로 성장하기만 하면, 지금 가격에 구매하더라도 3년 이상만 보유하면 플러스 수익이 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주 높은 기업이다.

물론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제일 상단 붉은 점선을 타고 상승할 가능성(20% 이상 수익률)도 있고 중간의 내재가치선을 따라 상승할 가능성(10% 중반 수익률)도 있고 아래 흰 점선을 타고 갈 가능성(5년 이내 10% 수익률, 10년 이상 15% 수익률)도 있다. 마찬가지로 경쟁 심화나 소비자 선호 변화 같은 이유들로 기대했던 성장률보다 훨씬 낮은 기울기로 바뀌거나 음의 기울기가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과거 실적과 상관없이 향후 10년 동안 이렇게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은 아주 드물다. 모든 것은 확률의 문제이자 얼마나 길게 내다 볼 수 있느냐 역시 투자자의 역량에 달렸다.

미스터리 기업 투자 전략 지도

포워드PER 24(PEG 1)에 투자 전략 지도를 보면 정말 구미가 당길 정도로 훌륭한 모습이다. 일단 와치 리스트에 올려 놓고 정찰병만 투입하고 째려 보기로 했다. 정찰병이 대승하면 우울하고 정찰병이 대패하면 즐거워진다. 간만에 미국시장 바라보며 정찰병 넣자마자 -3% ㅍㅎㅎ 하락하던 OXY 5% 상승이 눈에 띈다.

성장 활주로 만든 김에 좋아하는 기업 구글(GOOGL)도 궁금해서 한번 그려봤다. 훌륭한 기업이지만 내재가치보다 조금 비싼 상태로 나온다. 애플도 그려봤더니 버핏 옹이 파는 이유가 한 눈에 보인다..ㅋ

GOOGL 성장 활주로

내가 사용하는 양적 기업 분석의 툴이 점점 단순해진다. 좋은가는 ‘투자 전략 지도’로 싼가는 ‘성장 활주로’로 수렴되고 있다.

“주식투자란 간단하다. 당신이 할 일이란 최고의 정직함과 능력을 지닌 경영진을 두고 있는 훌륭한 회사의 주식을 그 회사의 내재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사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 그 주식을 영원히 소유하면 된다.”
– 워런 버핏

버핏의 뛰어난 투자아이디어는 단 12개?

버핏이 버크셔를 인수 후 약 60년 동안 기업을 운영하면서 본업 외에 대략 3~400개의 주식 투자를 했는데 큰 수익을 얻은 정말 뛰어난 투자아이디어는 단 12개였다고 한다. 총 투자 횟수를 400개라고 치면 12/400로 단 3% 적중율이다. 세계에서 가장 투자를 잘 하는 구루조차 5년에 한 번 꼴로 제대로 홈런을 치는 빅아이디어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버핏의 투자 수익 대부분은 12개의 빅아이디어에서 발생했다.

여기에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블루칩스템프, 씨즈캔디, 코카콜라, 가이코, 워싱턴포스트, Cap Cities/ABC, 애플 같은 기업들이 들어갈 것이다. 모니시 파브라이의 말에 의하면 이 리스트에 아지트 자인의 채용도 들어간다고 했다. 버핏이 헤드헌터에 지불한 비용에 비하면 아지트 자인이 버크셔 보험사업에서 거둬 들인 수익은 그야말로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투자아이디어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주식 투자를 잘하는 투자 구루 버핏조차 투자의 95~97%는 그저 그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투자자가 보내는 시간의 거의 대부분은 그저 그런 투자 아이디어를 만지작 거리고 있음을 알아 차려야 한다. 그저 그런 아이디어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정확한 기회가 찾아 오면 주저하지 않고 큰 베팅을 할 수도 있어야 한다. 투자란 인내와 용기의 다소 기이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임이기 때문이다. 인내 후 큰 베팅, 그리고 또 인내. 버핏은 버크셔에서만 60년 동안 이런 일을 했고 11살 부터 따지면 무려 80년이 넘는 시간동안 이런 종류의 인내심을 요구하는 일을 하고 있다.

언젠가 버핏은 구멍을 20개 밖에 뚫을 수 없는 펀치 카드처럼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었고, 멍거도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했었던 적이 있다. 인생에서 단 20번의 투자 기회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사람들의 투자 행위가 많이 바뀔 것이다.

버핏과 멍거의 저런 태도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자 그럼 이제 한번 뒤집어 생각해 보자. 질은 양에서 나온다고도 한다. 버핏이 말한 12개의 빅아이디어도 388개의 그저 그런 아이디어들이 있었기 때문에 식별 가능했다. 인생에서 단 20번의 투자밖에 할 수 없다면 대부분의 아이디어에 대해 NO라고 해야 하기 때문에 실패를 통해 경험을 쌓지 못한다. 실패와 성공은 안과 밖과 같아서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공진화한다. 빅아이디어라는 게 하루 아침에 뚝딱 떨어지는 건 아니다. 실패를 아예 하지 않는다면 빅아이디어 근처에도 가지 못할 가능성도 커진다. 심지어 빅아이디어가 와도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투자에서는 모의로 하는 투자와 실제 내 돈이 들어가는 투자와의 차이가 하늘과 땅만큼 간극이 크다.

빅아이디어는 단순하다. 하지만 진지하게 받아 들여야 한다. 복리라는 빅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결코 빨리 부자가 되는 길을 선택하지 않는다. 좋은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라는 빅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좋은 기업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다. 마찬가지로 적당한 가격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한다. 싼 기업만 사겠다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싸다는 건 무얼 의미하는지 깊이 생각하기 마련이다. 뭔가를 깊이 파고들면 단순해 진다. 아직 복잡하다면 충분히 깊히 파고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빅아이디어 역시 단순하다.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은 꽤 쉽습니다. 하지만 빨리 부자가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워런 버핏

“빨리 부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은 매우 위험합니다.”
– 찰리 멍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