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유료화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플러그인 유료화 안내메일을 받았다. 블로그에 있는 Tech 디렉토리는 기술을 다룬다기 보다는 주로 블로그를 새로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것들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가치 투자 3.0에 속한 기업들이 주로 IT쪽인지라 가끔 글을 올릴 뿐, 테크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한다. 디렉토리를 Blog로 바꾸긴 너무 좁아서 그냥 두기로 했다.

젯팩 통계 안내문

오늘 아침에 젯팩 통계 플러그인 유료 안내 메일을 한 통 받았다. 워드프레스를 만들고 운영하는 오토매틱의 사업모델 중 하나가 이런 워드프레스 핵심 플러그인을 무료로 제공하고 차차 유료로 과금도 하는 구조다. 최근 블로그 트래픽이 급증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때 무료 기준을 넘었나 보다. 이 메일을 받고 알았지만, 젯팩 통계 무료 사용기준이 한 달 1,000조회수 미만에 애드센스 같은 광고를 사이트에 달지 않아야 한다. 광고를 달면 무조건 상업사이트로 분류된단다. 젯팩 검색 플러그인을 설치할 때 5,000개 포스트까지는 무료라고해서 그럴 일은 없겠다 싶었는데 통계를 이런 식으로 유료화 할 줄이야.

안내문 링크(한글은 아직 제공하지 않는다)를 읽어 보니 모두 다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니고 앞으로는 한 달치 통계를 보지 못하고 7일이나 당일은 부분적으로 조회가 가능한 것 같다. 나야 그정도도 충분하다. 사실 블로그 통계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킷으로도 충분하다. 게다가 구글 애널리틱스랑 연동해 놓으면 보고 싶은 데이터를 마음껏 가지고 놀 수도 있다. 이러니 내가 구글을 사랑하지..ㅋ

블로그든 웹사이트든 무언가를 운영한다면 목표가 있어야 한다. 흔히들 OKR(Objective Key Results), KPI(Key Performance Index) 같은 다소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결국 비즈니스의 최종 목표, 그리고 그 목표를 잘 달성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숫자로 치환가능한 성과 지표로 보면 된다.

만일 내 블로그 목표가 독자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라는 다소 막연한 목표라고 한다면 KPI는 그 목표를 대표할 수 있는 숫자로 된 재방문율(현재 10%), 체류시간(현재 2분 40초), 1인당 읽은 페이지 수(현재 1.76) 같은 아주 구체적인 숫자들이 될 수 있다. 만약 내 블로그 목표가 광고수익 극대화라면 KPI는 광고 클릭률(페이지 CTR)이나 클릭당 광고 단가(혹은 페이지 RPM) 또는 기간별 광고 수입 같은 숫자들이 될 수 있겠다. 만일 독자들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 목표라면 인사이트가 담긴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블로그를 통한 광고 수익이 목표라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찾는 키워드 중심의 짜집기 글을 양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투자 역시 마찬가지다. 짧은 기간 최대 수익이 목표라면 그에 따른 리스크와 비용은 충분히 감수해야 한다. 목표에 따른 KPI도 달라진다. 버핏이나 멍거를 따르기로 했다면 평생 학습은 기본에다 KPI의 기간 단위가 달라진다. 최소 3~5년 단위로 측정 가능하다. 그레이엄을 따르기로 하면 KPI는 또 달라진다. 다만 공통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 하나를 떠올려 보면 ‘편안한 잠’ 정도 되겠다. 필립 피셔의 책 제목대로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그래서 시장이 요동을 치고 거시 경제가 난리를 쳐도 잠을 잘 잔다. 그래서 가치 투자자들이 장수하나?!

“향후 5년 동안 순이익을 기대한다면 그 기간 동안 주식 시장의 상승을 기대해야 할까요, 아니면 하락을 기대해야 할까요? 많은 투자자들이 이 점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주가가 상승하면 기뻐하고 하락하면 우울해합니다. 이런 반응은 말이 안 됩니다. 가까운 장래에 주식을 매도할 사람들만 주가 상승을 기뻐해야 합니다. 잠재적 구매자는 가격 하락을 훨씬 더 선호할 것입니다.”
– 워런 버핏

가급적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비용은 최소화하려고 하고 있다. SNS의 단점들을 피해 온 것이라 무료로 사용하는 SNS(실제는 눈에 안보이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처럼 블로그 비용만 광고로 충당하는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래픽이 늘면 당연히 이런 저런 비용들도 함께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러니 찍히는 수입에만 관심가지지 말고 그 뒤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볼 줄 알아야 한다. 난 그냥 편하게 잠깐 들렀다 가는 내 쉼터. 그거면 됐다.

워드프레스 유료화, 스트라이프 페이팔

스트라이프(비상장)는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알게 된 회사다. 많은 해외 블로거들은 이미 워드프레스를 이용하면서 유료화를 하고 있었다. 물론 정보를 유료로 제공한다는 게 일반 블로거로서 쉬운 일은 결코 아니지만 방법이 아예 없는 것과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찰리 멍거는 간단한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훌륭한 말을 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이 운영하는 사업의] 핵심 아이디어를 충분히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Stripe의 아이디어는 비용을 낮추고 더 쉽게 만들면 인터넷 상거래가 더 많아지고 더 성공적인 인터넷 회사가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 핵심 아이디어를 정말, 정말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 존 콜리슨, Stripe 공동 창업자

스트라이프 공동 창업자도 찰리 멍거의 이야기를 듣고 비즈니스에 활용하고 있나보다. 아쉽게도 아직 국내에선 스트라이프 같은 방법을 해볼 수도 없다. 워드프레스는 이미 유료화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공하지만 우리나라에선 현재 거의 불가능하다. 우버도 에어비앤비도 구글지도도…다른 것들도 해외에선 자유롭지만 국내에선 많은 규제가 있다. 하물며 애플페이도 국내로 들어온 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결제는 되지만 아직 교통카드 기능은 안된다. 일본에서 애플페이로 대중교통 이용하면서 얼마나 편했는지..

워드프레스 수익 창출

스트라이프 수수료가 일반은 10%나 하는구나^^

결제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비용은 낮추는 것이다. 국내에선 토스가 이런 방식으로 잘 접근하면서 국내 금융 앱 1위를 하고 있다. “토스의 2023년 12월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1,910만 명으로, 2022년 말 1,520만 명 대비 26% 이상 증가했습니다. 토스 사용자는 월 평균 270번 토스 앱을 열어 총 100분 이상 이용하는 등, 국내 금융 앱 중에서도 높은 인게이지먼트를 보입니다.” 토스 역시 현재 비상장이고 내년 상장을 목표로 하는 것 같다. 올 2분기 연결 영업이익 약 28억으로 사상 첫 분기 흑자를 달성했고 현재 약 20조 내외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

워드프레스 페이팔

언제부터 스트라이프 뿐만 아니라 페이팔도 워드프레스에 붙어 있다. 전세계 웹사이트의 거의 40% 이상이 워드프레스를 이용해서 만들어졌으니 결제서비스 회사는 웨드프레스와 협력하는 게 가장 사업을 넓혀 나가는 현명한 방법이겠다. 국내에선 여전히 그림의 떡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하는 두 업체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재웅씨가 투자했다고 언론에 알려졌던 얼룩소는 파산했고 퍼블리(최근 5년간 매출 약 110억에 적자 약 140억)는 쪼개져서 매각됐다. 아무리 큰 자본이 들어가고 아무리 훌륭한 콘텐츠를 확보하더라도 의미있는 유료가입자 1만명을 확보하기조차 힘든 게 우리나라 시장이다.

콘텐츠 유료화를 생각한다면 조직을 슬림하게 만들어 놓고 무엇보다 영어 콘텐츠를 가지거나 병행하면서 세계시장으로 나가는 게 맞다고 본다. 무엇보다 한글이든 영어든 콘텐츠 자체에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독자들이 한번 읽고 다시 재방문해서 읽고 싶은 콘텐츠여야 한다. 그런 콘텐츠를 꾸준히 발행한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나야 이제 겨우 100개 조금 넘는 글을 올릴 정도로 시작단계에 있고, 또 언제 중단하거나 그만둘 지 모르는 의지부족 초보 블로거지만 블로그 운영하면서 중요하게 보는 숫자가 2개 있다. 방문자 체류시간과 재방문율이다. 현재 체류시간은 단기 목표로 했던 2분을 넘기긴 했고 재방문율(DAU/MAU)은 아직 6%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별볼일 없는 수준이지만 뭐 그러거나 말거나긴 하다. 애초 나를 알리거나 돈 벌 목적으로 하는 일이 아니니까..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