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평균 PER와 평균 PBR은 얼마일까?

문득 정확한 코스피 평균 PER와 평균 PBR이 궁금해졌다. 현재 숫자야 언제든지 조회가능하지만 과거 평균을 알면 현재 수준을 과거 수준과 즉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 평균 숫자는 평상시에도 머릿속에 넣고 있어야 한다.

KRX 사이트에 들어가면 조회가능하지만 연도별로 한번에 조회하기에는 KOSIS 국가통계포탈이 좋다. 2004년부터 연도별 숫자들이 나온다. 20년 평균이다. 간단하게 그래프로 그려보니 아래 그림이 나온다.

코스피 평균 PER


코스피 20년 평균 PER는 15.04로 그냥 15로 기억해도 되겠다(2009 금융위기, 2020 코로나 시기에 급등한 두 번을 제외하면 대략 13 중반대가 된다). 코스피 PBR 평균은 1.18 인데 이것도 그냥 1.2로 기억해도 되겠다. 따라서 코스피 ROE 평균은 8% 정도 된다. 그림처럼 코스피 PBR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이 20년 평균 숫자들을 가지고 2023년 9월 숫자들을 보면 현재 코스피 PER는 평균보다 높고 PBR은 0.89로 바닥권에 있으며 ROE는 거의 반토막난 4.8% 수준이다. 물론 이 숫자들은 KOSIS 국가통계포탈의 23년 9월 자료 기준으로 11월 현재 숫자와는 차이가 있다. 아이투자의 마켓 밸류에이션을 보니 오늘 현재 코스피 PER 17, PBR 0.89, ROE 5.2%로 나온다.

현재 코스피 시가총액은 약 1,930조로 조회된다. PER 17이라면 코스피 이익이 대략 113조라는 얘기다. 올해 2023년 코스피 순이익 예상치 컨센서스는 대략 120~130조원 정도이고 내년 2024년 코스피 순이익 컨센서스는 대략 180~190조원 정도다. 내년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한 Fwd PER는 10배 내외가 된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고금리 환경이 지속된다면 코스피의 추가적인 멀티플 상승 여력은 낮다고 한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PER, PBR과 함께 주식투자자라면 다 알고 있는 개념이 ROE 자기자본이익률이다.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한 재무 성과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자기자본은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과 같기 때문에 ROE는 순자산 수익률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자기자본 조달을 통해 수익과 성장을 창출하고 있으므로 더 효율적으로 경영이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산할 때 분모인 자기자본은 순이익이 발생한 기간 동안 시작과 끝의 평균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ROE는 수익과 성장, 두 가지를 함께 볼 수 있고 계산도 쉽기 때문에 그만큼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 특히 버핏이 좋아하는 지표다. 기업이 주주의 돈을 이용해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다. 다만 일시적인 이유로 순이익이 급증해서 ROE가 좋아질 수 있으니 과거 5년 평균, 10년 평균 값과 비교해서 현재 ROE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분자가 순이익이기 때문에 시클리컬한 기업일수록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감안해서 살펴 봐야 한다.

또 ROE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부채비율이다. 순이익/자기자본 식이기 때문에 분모에 포함되지 않는 부채를 많이 사용해서 순이익이 늘어나면 ROE가 좋아지게 된다. 이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ROE를 순이익률×자산회전율×재무레버리지로 분해한 듀폰공식으로 봐야 한다. ROE 증가가 순이익률이 높아져서인지, 자산회전율이 늘어서인지, 아니면 부채가 증가해서인지를 과거 지표와 함께 꼼꼼히 살펴 봐야 한다.

그렇게 ROE를 뜯어서 자세히 분석하다 보면 기업의 경영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자본을 배치하고 있는지, 사업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ROE를 분석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바로 이것이다. 경영자의 자본배치와 경영자의 의도를 알아채는 것!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경영되고 있는지를 보는 점수표가 바로 ROE인 것이다.

그럼 우리나라 코스피의 ROE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먼저 구글검색에서 찾아본 매일경제신문 기사의 그림이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ROE추세를 나타내는 그림인데 2011년 14%였던 코스피 ROE가 2020년 6월 전망은 7.5%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2020년 ROE는 3.94%로 급락했다가 다음해인 2021년에 8.96%로 회복했다.

(출처 : 매일경제신문)

위에서 표시한 선행 ROE보다 최근 10년동안 정확한 코스피 후행 ROE가 궁금해서 국가통계포털 KOSIS에 들어가서 직접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 그래프로 그려 봤다.

최근 10년 코스피 ROE 평균은 7.29%, PBR 평균은 1.03이고 PER 평균 15.10(비정상적으로 높았던 2020년을 제외하면 13.66)이었다. ROE가 조금씩 내려가면서 PBR도 함께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5% 내외인 걸 감안해 보면 7% 조금 넘는 ROE가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주식투자를 해야할 지 의문을 품을 정도의 수준이다. 미국 S&P 500의 현재 ROE는 16.75% 내외로 국내 코스피 ROE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코스피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주식위험프리미엄을 포함한 ROE가 10% 수준으로 올라가야 한다. 워런 버핏은 ROE의 하한선을 대략 15% 정도로 보고 기업을 찾는다.

ROE를 끌어 올릴 수 있는 방법중 하나는 배당이나 자사주매입 소각을 하는 방법도 있다. 특히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낮은 배당수익률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코스피 시장을 외면하는 큰 이유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