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검색어, ‘토드 콤스’를 검색한 당신에게

구글 트렌드에 아래 이미지처럼 저렇게 삐쭉 올라오고 바로 사라지는 검색어는 블로그 주제로 적합하지 않다. 핫한 키워드도 아니고 롱테일 키워드도 아닌 희귀 검색어라서 아무리 블로그 글을 공들여 잘 썼다 할지라도 아무도 읽지 않기 때문이다. 글을 아무도 읽지 않으면 트래픽도 없고 돈도 없고 좋아요도 없고 댓글도 없다. 그래서 모든 블로그 교육에서 키워드를 그토록 강조하는 것이다. 글을 쓰기 전에 미리 키워드를 찾아 보고 검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바로 그 키워드에 맞는 글을 쓰라고 교육한다(아닐수도 있지만 내 추측이다). 당신이 쓰고 싶은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검색엔진에서 검색을 많이 하거나 자주 할 이야기를 쓰라고 한다. 검색 빈도가 낮은 희귀 검색어는 절대로 피해야 한다.

구글트렌드

돈을 벌기 위해 블로그를 만든 바로 그 목적에 충실하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내 블로그는 이렇게 삐쭉 올라오거나 검색이 아예 없는 희귀 키워드들이 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아주 소수의 사람들이 내 블로그에 들어와 내 글을 읽고 그저 빙그레 웃음 한 번 날려 주면 좋겠다. 사실 주식투자자 중에 ‘토드 콤스’나 ‘테드 웨슬러’에 대해 관심있는 투자자들이 몇이나 될까? 아니 그 이름을 들어 본 사람이 몇 이나 될까? 구글 애널리틱스를 보다 보면 아주 가끔씩 ‘토드 콤스’를 검색해서 내 블로그로 들어오는 트래픽이 보인다. 그럴 때면 괜시리 기분이 좋아 진다. 나도 빙그레~

‘토드 콤스’를 검색했다는 것은 그에게 관심이 있고 더 알아 보고 싶다는 말이다. 현재까지 한글로 된 인터넷 정보 중에 ‘토드 콤스’나 ‘테드 웨슬러’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려 주는 곳은 거의 없고 영어로 검색하면 정말 많은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있다. 관심이 있다면 한글보단 영어로 한번 검색해 보시라. 정말 많은 자료와 대담집이 널려 있을 것이다. 몇 달 전 파이낸스타임스에서 쓴 기사도 원문과 그래프를 보시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00만 명이 이 일을 하려고 노력하는 세상에서 0.1%의 사람이 이 일을 정말 열정적으로 사랑해서 내기를 걸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하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하면서 잠에서 깨어나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하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하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하고, 이 일에 대해 생각할 정도로 열정적으로 사랑한다면, 여러분이 이 일을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과 경쟁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내러티브를 찾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와서, 부자가 되고 싶거나 유명해지고 싶거나 찬사를 받고 싶거나 이런 것들을 찾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옵니다. 그것은 완전히 단기적이고 일시적이며 일시적인 것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은 스스로를 속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더 선형적입니다. 로그 스케일을 정말,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과 경쟁할 수 있는 로그 스케일은 절대 얻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열정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 맥락에서 어렸을 때 많은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명하게 말씀드리자면 저는 잃을 것이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 정말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가장 어려운 일은 특권층 출신이거나 훨씬 더 높은 기반을 가지고 있을 때 위험을 감수하도록 스스로를 강요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을 때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하방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이에 잃을 것도 없고, 위험을 감수하고 크게 망칠 수 있으며, 사기나 그런 것이 아니라면 아무도 당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능적인 위험을 감수하고 어리석은 위험을 감수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전문가 대 제너럴리스트의 문제로 다시 돌아와서, 사회는 누구에게도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모두 안전한 길로 가기를 원하고, 이는 다시 GPLP 문제입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찰리와 저는 워런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살면서 백만 번의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어제와 같은 실수를 모두 어제로 당겨서 19살, 20살, 21살이 되었을 때 모두 해결하고 이론적으로는 다시는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처음에는 조리개를 크게 넓혀야 합니다. 그런 다음 배우면서 점점 더 넓혀야 합니다. 그게 제 생각입니다. 그런데 우연찮게도 그 과정에서 열정을 찾을 수 있는 좋은 방법도 있었습니다. 저는 항상 Geico 직원들에게 직소 퍼즐을 가지고 무엇을 하냐고 말합니다. 모든 조각을 버리고 모서리의 가장자리부터 시작하죠. 가운데에서 시작해서 밖으로 나가는 길을 만들지 않죠. 그렇게 생각해 보세요.”

– 토드 콤스

이러니 내 블로그가 구글 검색엔진에서 노출되고 클릭되는 숫자들이 낮고, 또 트래픽이 적으니 그에 비례한(최근 구글이 검색광고 애드센스의 로직을 클릭에서 트래픽으로 바꿨다. 하지만 나같은 극소형 블로그의 경우 영향은 거의 없다..ㅋ) 광고 수입도 없을 수 밖에 없다. 다 내가 자초한 일이다..^^

버크셔 13F에 추가된 주식 Ulta Beauty ULTA

버크셔가 엊그제 14일 공개한 분기보고서(13F-미국은 1억 달러 이상 운용하는 투자자는 반드시 분기가 종료된 45일 안에 공시를 통해 보유 종목을 보고해야 한다)에서 Ulta Beauty (ULTA)와 Heico (HEIA)에 대한 포지션을 취했다고 밝혔다. 전체 버크셔 포트폴리오에서 각각 0.1% 와 0.07% 정도 비중이다. 비중으로만 봐선 버핏이 직접 매수를 결정했다고 보기보단 그의 후계자(토드 콤스, 테드 웨슬러) 중 한 명의 결정이 아닐까 정도로 추측하고 있다.

그 중 울타뷰티 ULTA가 관심이 가서 기업 정보를 살짝 봤더니 우리나라 올리브영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1,300개가 넘는 매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뷰티 전문 소매업체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화장품, 향수, 헤어케어, 스킨케어, 목욕 및 바디 제품, 전문 헤어 제품, 살롱 스타일링 도구 등 브랜드 및 자체 브랜드 뷰티 제품을 Ulta Beauty 매장, 숍인숍, Ulta.com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합니다.”

ULTA 주가

최근 5년 주가 추이를 보니 -3.5%다. 이 정도면 문제있는 회사가 아닌가 싶어 잠깐 살펴 본 바로는 경쟁업체의 공격적인 확장으로 약간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사가 보였다. 올 상반기부터 지금까지 깊은 주가하락이 눈에 띈다. 좋은 기업인지 아닌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지만 최근의 주가 하락과 그로인한 PER 12.84는 싸 보인다. 내가 파악한 버핏과 멍거의 심리적 상한선은 PER 15 주변이었다. 통과!

ULTA 목표주가

8월 22일에 실적 발표 예정이다.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는 464 달러. 현재 주가는 목표 주가 밴드의 거의 바닥권이다. 역시 좋은 징조.

버크셔처럼 이번 분기보고서에 ULTA를 처음으로 구매한 헤지펀드나 투자회사들이 몇 개 보였다. 매수가도 버크셔와 거의 비슷한 가격(385 달러)이니 비슷한 시기에 구매한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제일 첨 눈에 띈 회사 하나를 검색해 봤다. Courant Investment Management 라는 헤지펀드인데 펀드매니저는 단 한사람 Claude Leveille이라는 사람이다. 이 사람에 대해 살펴 보니, 역시 가치투자자. “Claude는 Courant를 설립하기 전에 개인 투자자였으며 @Home Network와 The Boston Consulting Group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HEC Montreal에서 회계학 학사 학위를, The University of Chicago Graduate School of Business에서 MBA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Courant가 휘두른 대박 투자 중 하나는 걸프만 유류 유출 사고 이후 평균 가격이 31달러인 BP(BP)에 10% 포지션을 취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현재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회사로 보험사 프로그레시브를 보유하고 있고 ULTA는 4% 정도 담고 있다. 프로그레시브와 BP를 보니 토드 콤스의 향기가 나기도. 더구나 울타뷰티가 약 4,200만명의 고객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하니 데이터를 좋아하는..아님 말고.

ULTA 성장률

울타뷰티 매장수

과거 5년 동안 거의 30% 성장을 했었는데 향후 5년 예상 성장률이 5%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낮은 PER의 이유다. 관건은 전문가들의 예상처럼 낮은 성장을 할 것인가, 아니면 치열한 경쟁을 물리치고 두 자릿수 성장을 할 수 있는가. 당연한 말이지만 향후 성장 기대치가 충족되지 않으면 멀티플이 축소될 것이고 성장 기대치가 초과되면 멀티플이 확장 될 수 있다. 최근 자사주매입을 꾸준히 하고 있는 것은 역시 좋은 징조다.

“하지만 저희는 특정 유형의 비즈니스에 대해 높은 수준의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필터는 우리가 이러한 종류의 비즈니스에 속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장기 무위험 국채 금리를 사용하여 할인해야 할 가격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이것이 바로 투자라는 게임의 본질입니다. 투자는 자산에서 나중에 더 많은 돈을 돌려받기 위해 돈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파는 것이 아니라 그 자산 자체가 만들어낼 결과물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자자는 자산이 무엇을 할 것인지, 즉 자산이 무엇을 할 것인지, 우리의 경우에는 비즈니스를 보는 것입니다. 투기꾼이라면 주로 비즈니스와 무관하게 대상의 가격이 어떻게 될지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사업에 대해 옳다면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업에 대해 틀렸다면, 우리는 아무런 희망도 갖지 않고 돈을 벌기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
– 워런 버핏, 1997

ULTA 분기별 매출 추이

최근 3년 동안 분기별 매출과 이익 추이다. 버핏 또는 그의 후계자들이 본 것은 무엇일까. 버핏의 체크리스트로는 거의 선호하는 주식들의 숫자에 가까워 보인다. ULTA의 최근 3년 분기별 실적만 바탕으로 ULTA 10초 간단 내재가치를 계산해 봤다. 한번 씹고 뜯고 맛 볼 가치는 있어 보인다~

ULTA 내재가치
뷰티 10년 성장률

후계자가 된 토드 콤스를 만난 찰리 멍거가 한 첫 질문

지금은 후계자가 된 토드 콤스를 만난 찰리 멍거가 한 첫 질문은 이것이다. “What percentage of S&P 500 businesses would be a “better business” in five years.” 이 질문에 콤스는 5%미만이라고 생각했지만 멍거는 2%미만이라고 말했다. 콤스는 500개 기업중에 25개 정도로 생각했고 멍거는 10개도 채 안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콤스가 버크셔에 합류해서 멍거와 버핏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은 향후 5년 동안의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대략 7/10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는데 나중에 보니 대략 1/10 정도 예측이 맞았다고 한다. 세상의 본질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좋은 비즈니스를 알아보는 성과지표가 있는지, 그리고 버크셔는 양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콤스는 일반적으로 매일 한 가지 질문을 지속적으로 묻는 방법과 비즈니스에서 해자가 더 넓은지 좁은지 여부를 설명했다. 버핏과 콤스가 기업에 대해 토론하는 것의 98%는 정성적(품질)인 부분이다.

만일 한 기업의 계산한 PER가 30이라면 그것이 정당화 되려면 어떤 일들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것들을 살펴봐야 한다. 최악의 비즈니스는 성장하면서 수익은 감소하는 무한대의 자본이 필요하고(아쉽게도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이 여기에 속한다) 최고의 비즈니스는 자본없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버크셔는 보고된 이익이 아니라 owner’s earnings(FCF에 가깝다, 순이익+감가상각비-유무형자산투자-운전자본변동)에 집중한다. 보고된 이익과 owner’s earnings이 비슷하면 아주 좋은 사인이다.

애플 실적


콤스는 매주 토요일마다 버핏의 집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는데(지난 주에도 몇 시간동안 얘기를 나누었는데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30초도 얘기하지 않았다고^^) 그들이 자주 사용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는 바로 이것이다.

“How many names in the S&P are going to be 15x earnings in the next 12 months? How many are going to earn more in five years (using a 90% confidence interval), and how many will compound at 7% (using a 50% confidence interval)?”

당시 이 시험지를 활용한 대화에서 동일한 3~5개의 이름이 계속나왔기 때문에 애플을 찾는데 이 채점기준표가 사용되었다고 밝혔다. 애플의 투자에 콤스가 어느정도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다른 후계자 테드 웨슬러가 아닐까 추측했었는데…과거 테드 웨슬러의 2016년 독일 잡지와의 인터뷰를 보면 아이폰의 높은 충성도와 애플 생태계에 대한 언급이 있다.

테드 웨슬러 애플


처음에 내가 틀렸다고 적었었는데 아직 틀렸다고 단정짓기엔 이른것 같다. 둘 다 기여했을 수도 있고. 버핏도 이전에 그의 젊은 투자 대리인인 Todd Combs와 Tedd Weschler 중 “한 명 이상” 이 그 투자 배후에 있다고 암시했었고 구체적으로 밝히길 꺼려했다.

토드 콤스는 본인이 직접 버크셔에 전화해서 찰리 멍거와 만나게 됐고 테드 웨슬러는 버핏과의 점심식사를 2년 연속으로 낙찰되어 버핏과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