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유료화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플러그인 유료화 안내메일을 받았다. 블로그에 있는 Tech 디렉토리는 기술을 다룬다기 보다는 주로 블로그를 새로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것들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가치 투자 3.0에 속한 기업들이 주로 IT쪽인지라 가끔 글을 올릴 뿐, 테크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한다. 디렉토리를 Blog로 바꾸긴 너무 좁아서 그냥 두기로 했다.

젯팩 통계 안내문

오늘 아침에 젯팩 통계 플러그인 유료 안내 메일을 한 통 받았다. 워드프레스를 만들고 운영하는 오토매틱의 사업모델 중 하나가 이런 워드프레스 핵심 플러그인을 무료로 제공하고 차차 유료로 과금도 하는 구조다. 최근 블로그 트래픽이 급증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때 무료 기준을 넘었나 보다. 이 메일을 받고 알았지만, 젯팩 통계 무료 사용기준이 한 달 1,000조회수 미만에 애드센스 같은 광고를 사이트에 달지 않아야 한다. 광고를 달면 무조건 상업사이트로 분류된단다. 젯팩 검색 플러그인을 설치할 때 5,000개 포스트까지는 무료라고해서 그럴 일은 없겠다 싶었는데 통계를 이런 식으로 유료화 할 줄이야.

안내문 링크(한글은 아직 제공하지 않는다)를 읽어 보니 모두 다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니고 앞으로는 한 달치 통계를 보지 못하고 7일이나 당일은 부분적으로 조회가 가능한 것 같다. 나야 그정도도 충분하다. 사실 블로그 통계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킷으로도 충분하다. 게다가 구글 애널리틱스랑 연동해 놓으면 보고 싶은 데이터를 마음껏 가지고 놀 수도 있다. 이러니 내가 구글을 사랑하지..ㅋ

블로그든 웹사이트든 무언가를 운영한다면 목표가 있어야 한다. 흔히들 OKR(Objective Key Results), KPI(Key Performance Index) 같은 다소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결국 비즈니스의 최종 목표, 그리고 그 목표를 잘 달성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숫자로 치환가능한 성과 지표로 보면 된다.

만일 내 블로그 목표가 독자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라는 다소 막연한 목표라고 한다면 KPI는 그 목표를 대표할 수 있는 숫자로 된 재방문율(현재 10%), 체류시간(현재 2분 40초), 1인당 읽은 페이지 수(현재 1.76) 같은 아주 구체적인 숫자들이 될 수 있다. 만약 내 블로그 목표가 광고수익 극대화라면 KPI는 광고 클릭률(페이지 CTR)이나 클릭당 광고 단가(혹은 페이지 RPM) 또는 기간별 광고 수입 같은 숫자들이 될 수 있겠다. 만일 독자들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 목표라면 인사이트가 담긴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블로그를 통한 광고 수익이 목표라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찾는 키워드 중심의 짜집기 글을 양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투자 역시 마찬가지다. 짧은 기간 최대 수익이 목표라면 그에 따른 리스크와 비용은 충분히 감수해야 한다. 목표에 따른 KPI도 달라진다. 버핏이나 멍거를 따르기로 했다면 평생 학습은 기본에다 KPI의 기간 단위가 달라진다. 최소 3~5년 단위로 측정 가능하다. 그레이엄을 따르기로 하면 KPI는 또 달라진다. 다만 공통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 하나를 떠올려 보면 ‘편안한 잠’ 정도 되겠다. 필립 피셔의 책 제목대로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그래서 시장이 요동을 치고 거시 경제가 난리를 쳐도 잠을 잘 잔다. 그래서 가치 투자자들이 장수하나?!

가급적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비용은 최소화하려고 하고 있다. SNS의 단점들을 피해 온 것이라 무료로 사용하는 SNS(실제는 눈에 안보이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처럼 블로그 비용만 광고로 충당하는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래픽이 늘면 당연히 이런 저런 비용들도 함께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러니 찍히는 수입에만 관심가지지 말고 그 뒤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볼 줄 알아야 한다. 난 그냥 편하게 잠깐 들렀다 가는 내 쉼터. 그거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