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크롬을 주로 쓰는데 문득 자주 사용하지 않던 브라우저를 띄웠더니 이렇게 깜찍하게 날 반긴다. 여름처럼 더웠던 5월의 하루였는데 지금도 22도…기어이(?)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먹었더랬다. 벌써부터 이렇게 더우면 올 여름은 어떨까 싶은 마음에 걱정이 앞선다.

오늘 하루는…으로 시작하는 이런 짧은 문구 하나, 사진 하나에 미소를 짓게 된다. 나 역시 누군가의 얼굴에 미소를 짓게 했는가 되돌아 본다.
좋아하는 주제를 다루는 해외 블로거의 글을 읽다가 또 한번 미소를 지었다.
“뱀이 주로 한 종류의 도마뱀을 먹으면 그 도마뱀의 생물학에 맞게 저격용 소총처럼 독이 진화합니다. 따라서 복잡성을 위한 복잡성은 진화가 작동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간결하고, 잔인하고, 집중적입니다. 다양한 먹이가 넘쳐나는 섬에서 뱀들은 넓게 퍼지지 않고 매우 깊이 파고들었습니다. 전문가가 되는 것이 생화학적 투자에 대한 수익률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마뱀만 먹는다면 새를 죽이는 독소를 만들지 마십시오. 이를 생태학에서는 적응적 간소화라고 부릅니다. 사업에서는 집중이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에서는 자신의 우위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뱀의 입장에서 일견 최대한 먹이로 활용하고 싶은 다양한 종들을 목표로 삼고, 마주치는 모든 것을 처치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럴려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도구를 갖춰야 하고 그것이 진화적 생존에 유리하겠다 생각하겠지만…아니다. 자연은 그보다 더 나은 투자 수익률을 원한다. 활용할 수 있는 틈새 시장만 있다면, 자연은 그렇게 한다.
여기서 핵심 아이디어는 모든 전략이 일종의 독과 같다는 것이다. 특정한 비효율성을 악용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다. 많은 사람들이 모든 종류의 독을 다 소유하려 드는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데 무엇보다 자신의 강점(시간 지평, 도메인 전문성, 정보, 기질, 분석적 관점)이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정의해야 한다. 그리고 그 독을 자신의 생태적 틈새시장에 맞춰야 한다. 도마뱀을 잡아먹는 투자자라면, 새를 사냥하려 하면 안된다.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사람으로서 하나의 글로 또는 사진으로 누군가를 미소짓게 하는 것도 참 보람된 일이다. 나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더운 날씨에도 기대했던 신간이 나와 버선발(?)로 교보문고로 달려갔었던 하루. 예전 같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온라인으로 구매했겠지만 하도 당해서 이젠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한다. 나도 진화했다..ㅋ

추가)
물론 뱀의 독에 대한 저 짧은 이야기에도 많은 빈틈이 있고 반론을 말할 수 있다. 이야기는 논증이나 논변과 달리 그리 치밀하지 않고 빈틈이 많기 때문이다. 그 빈틈들은 상대가 반론을 들고 끼어들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야기가 전하는 핵심은 뒤로 한채 그 빈틈만을 쥐고 흔들면서 이야기가 건네는 통찰을 쓸모없게 만들고, 이를 자랑하는 이들이 참 많다.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지도 못하면서.
“앞에서 장자가 부인의 주검을 앞에 두고 질그릇 두드리며 노래 부른 이야기 했지요? 이 모습을 본 혜자(혜시)가 말하죠. “아내의 죽음 앞에서 곡도 하지 않으니 무정하다 할 수 있겠는데, 거기다가 주검 앞에서 질그릇을 두드리면서 노래를 하다니, 이건 너무 심하지 않은가!” 그러자 장자가 우주의 원리를 잘 알고 보니 아내의 죽음도 우주가 움직이는 한 모습일 뿐이라서 울지 않았다고 말하죠.
논증에 빠진 보통 사람들은 이제 갈라져서 말들을 시작합니다. 부인이 죽었을 때 우는 것이 바른 태도냐, 노래를 부르는 것이 바른 태도냐. 두 태도 가운데 어느 쪽을 취해야 더 정의로운지를 놓고 다투다 결국에는 죽어라 싸우게 됩니다. 우는 것을 바른 태도라고 믿는 사람은 노래 부르는 것이 바른 태도라고 믿는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도 않을 것입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고요.”
– 삶의 실력, 장자
대선 토론을 보다가 그만 두면서 맴돌았던 생각. 우리 사회는 이야기의 빈틈을 환대할 겸손과 똘레랑스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