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들어왔을 때 제일 기분 좋은 일은 무엇일까. 들어와서 제일 먼저 보이는 블로그 방문자 그래프를 보면 아래 그림 오른쪽 두 번째 처럼 방문자(짙은 녹색)에 비해 조회수가 많은 날이 있다. 현재 블로그 방문자당 평균적으로 보는 페이지 수는 1.7 정도인데 저렇게 조회수가 급등한 날은 우연히 블로그 방문한 사람이 한번에 15~20 페이지(또는 글)를 봤다는 얘기다. 지나고 보니 이런 경우가 거의 한달에 한번 꼴로 발생한다.

내 경우에도 우연히 검색이나 서핑을 통해 방문한 블로그에서 좋은 글을 발견하게 되면(요즘은 이런 일이 거의 없다 ㅠ.ㅠ) 그 사람의 지난 글 몇 개를 읽어 본다. 거기서 마음에 들면 대부분의 과거 글까지 함께 읽어 보고 역시 마음에 들면 친구(내 블로그의 경우 구독)를 맺는다.
이럴때 친구 개념은 즐겨찾기와 같은 뜻이다. 마찬가지로 내 블로그에서도 저런 식으로 조회수가 급등한 이후에는 거의 대부분 구독자가 한 명 늘어난다. 블로그 조회수나 구독자 수에 목매지 않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진 않고 있지만 그래도 구독자(플랫폼의 친구 개념^^)가 느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다. 1년에 10명씩만 늘어도 10년이면 100명의 buddy가 생기게 된다. 물론 10년 동안 블로그를 유지하느냐는 다른 문제지만.
블로그에 구글 광고를 게재하고 있긴 하지만 이는 콘텐츠 생산자에게 아무런 보상을 하지 않고 거져 먹고 있는 네이버나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에 대한 반감일 뿐 광고를 통해 돈을 벌 생각은 애시당초 안하고 있다. 이미 지적했듯 블로그 광고를 통해 제대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트래픽을 영혼까지 끌어 모아야 하는데 그럴려면 자극적인 콘텐츠나 급등 검색어를 끊임없이 쫓아 다녀야 하는 디지털 노가다를 반드시 해야 한다. 이런 한적한 오두막 집을 지어서는 할 수도 없는 일..ㅋ 더구나 트래픽이 급증하면 불편해지는 내 성정상..
엊그제 읽은 글에서 “시장”과 “자연”을 예로 들며 결국 좋은 것은 비록 시간이 걸릴지라도 자연히 드러나게 된다는 글을 읽었다.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면 진짜 좋은 것이 아니거나 아직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엊그제 읽은 다른 책(일본 책)에서는 어떻게 하면 자신의 것을 알리는지에 대한 방법을 단계적으로 세밀하게 가르쳐주는 글을 읽었다. 그런 책을 읽어도 ‘굳이 알려야 하나’ 싶은 생각이 먼저 드는 나같은 사람은 그저 한 달에 한 명 정도의 속도가 편안하다…다 생긴대로 사는 법이다.
작년 10월 내내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썼으니 이번 10월에는 단 하나의 글도 쓰지 말까 란 생각을 잠깐 했었다. ‘과거의 오늘’에 매일 지난 글이 올라올테니 그냥 가만히 블로그를 지켜 보자 싶다가 아니 그것도 말고 한달간 아예 들어오지도 말까…싶은 생각까지 잠깐 들었다가 곧 굳이 그럴 필요가 뭐 있을까로 끝났다.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잡지 않듯 쓰고 싶으면 쓰고 쓰기 싫으면 안쓰면 그만이지. 누칼협…누가 글쓰라고 칼들고 협박하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란 녀석은 한시도 날 가만두지 않는다.
10일을 쉬면 장장 10일의 연휴가 시작되는 시간이다. 경험상 긴 연휴 직전 지금이 가장 기분이 좋은 때다. 1년 중 가장 기분 좋은 날~ 얼마 안되는 친구들(buddy)이지만 블로그 구독자님 모두 즐겁고 행복한 연휴 되시길~ 아울러 연휴 동안에도 이 구석진 블로그까지 방문해 주신 모든 방문자님 역시 즐겁고 행복한 한가위 연휴 되시길.
난 그저 AI가 그려준 이 그림처럼 “빈 배”가 되는 연휴로 만들어야.

人能虛己以遊世 其孰能害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