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일에 UNH를 언급만 했던 글이 있다. 이번에 발표된 2분기 버핏 포트폴리오(정확히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투자하고 있는 기업들)에 UNH가 포함되었나보다. 그때 내가 UNH를 간단하게라도 분석하려고 했던 이유는 누가봐도 좋은 기업이 단기간에 -50%나 하락했기 때문이었다. 바둑에서 싸우든 안싸우든 일단 무조건 끊어 두어야 할 자리가 있듯 좋은 기업이 단기간에 이렇게 하락하면 투자를 하든 안하든 일단 한번은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로 앞 글(구글을 이야기한)에서도 말했듯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50% 하락은 시장에서 드물지만(?) 흔히 있는 일이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기존 주주들에겐 지옥같은 일이겠지만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외부 투자자들에겐 그 기업을 살펴 볼 좋은 기회가 된다. 버핏이든 후계자들의 판단이든 선수들 역시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더구나 과거에 매수했었던 기업이라면.

현재 가격은 5월말 6월초 UNH를 살펴봐야지 생각했던 가격이다. 최근 5년 동안 300달러에서 600달러까지 차곡차곡 올라갔다가(CAGR 15%) 올 4월 초부터 7월 말까지 고점에서 무려 -50%로 무지막지하게 하락했다. 이 주식을 장기 투자로 생각하고 5년 동안 가지고 있었던 투자자라면 배당금 외엔 수익이 없는 상태다. 아니면 최근 하락에 놀라 손절했거나…그나마 최근 버핏이 매수했다는 호재성 뉴스로 300달러를 회복했지만 최근 5년 내 이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라면 거의 대부분은 손실 구간에 있다.
특히 3월말~4월초에 이런 가격 하락이라면 굳이 재무제표를 보지 않더라도 2024년 4/4분기를 포함한 연간 실적이 기대보다 나쁘게 나왔을거라고 추측할 수 있어야 한다. 살펴 보니 두 자릿수를 달리던 매출성장률이 2024년 7.7%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매출 성장률 감소보다 더 큰 문제는 이익률 감소다. 2024년의 저 빨간색 당기순이익의 감소..투자자들은 성장률과 함께 수익률이 무너진 건 아닌가 의심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TTM으로 보면(2024 2분기와 올 상반기 합) 조금씩 회복되고 있는 게…일시적인 문제로 볼 수도 있다. 물론 자세한건 분석을 해봐야 한다. 나야 이렇게 주마간산으로만 훑고 있으니…내 시간은 소중하다^^

버크셔쪽은 최근에 UNH에 닥친 이런저런 메디케어에 대한 악재들을 일시적인 이슈들로 보고 있는 것 같다. 그러니 투자했겠지. UNH 저점 가격이 230달러 내외였을 때 대충 계산해 보 PER 10 내외 수준(현재 PER 13.16)인데 그 정도면 좋은 기업이 충분히 적당한 가격대에 들어왔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발표후 주가 상승으로 보면 대략 25~30% 정도가 버핏 프리미엄으로 보면 될까?!

내가 만든 투자 전략 지도를 보면 건강보험 산업이 수익률이 큰 산업은 아니지만 꾸준히 증가하던 수익률이 최근 크게 떨어진 게 보인다. 거의 10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 부분을 다시 끌어 올릴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는 현재 가격보다 내재가치가 더 큰 것으로 나온다. 당연히(?) 원의 크기도 현재가 가장 적어져 제일 싼 상태~~
“버크셔 해서웨이가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주식을 500만 주 매수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는데, 주가가 상당히 낮은 수준일 때 매수했다는 뜻입니다. 지난 몇 년간 상당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 어제 종가 기준으로 연초 대비 46%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버크셔 투자 덕분에 오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업계 거시경제적 요인의 압박을 받는 가운데, 비용, 의료비 등 여러 가지 변화가 회사에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말 임원 총격 사건과 올해 초 발생한 사이버 공격도 겪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이 헬스케어 대기업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CEO가 바뀌고 있습니다. 앤드류 우디가 사임하고 스티븐 헴슬리가 다시 CEO로 복귀했습니다. 참고로, 헴슬리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마지막으로 회사 지분을 보유했을 때도 CEO를 맡았었습니다. 그건 2006년에서 2017년 사이였습니다. 그 사이에 버크셔 해서웨이가 약 100만 주를 보유했던 주식을 처분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그걸 보면, 버크셔 해서웨이와 워런 버핏이 스티븐 헴슬리의 복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헴슬리는 7월에 있었던 2분기 실적 발표에서 회사가 실수를 저질렀다고 말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것처럼 환경적 요인 외에도, 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 특히 가격 책정 및 운영상의 실수가 있었고, 다른 회사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보고된 평균 매수 가격은 311달러. 그동안 매도를 멈췄던 포트폴리오 비중 1위 애플도 일부 다시금 매도하기 시작~
추가) 당시 댓글에 이런 글도 있었다. 역시 선견지명을 가진 훌륭하신 독자님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