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그리고 좋은 대화와 함께하는 식사

강남엔 오랜만에 다녀왔다. 코로나때문인지 함께하는 식사 자리가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 그래선지 SNS같은 온라인으로 자주 연락하고 전화로 대화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오프라인 비중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미소, 좋은 대화, 함께하는 식사, 함께하는 작은 활동, 이것은 우리에게 충족된 삶을 허락하는 재료들이다. 친구 세명과 함께하는 저녁은 페이스북에서 300명과 가상접촉을 하는 것보다 우리를 훨씬 행복하게 만들고, 훨씬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디지털치매

하지만 온라인 친구나 네트로만 연결된 관계는 한계가 있다. 블로그로 돌아온 이유에서 정확하게 쓰진 않았지만 나역시 인용글에서 언급한 가상의 덧없음을 느꼈기 때문에 고독을 찾아 이곳으로 돌아왔는지도 모르겠다. 고독으로 들어 오면 예전의 그 시끌벅적한 분위기가 그리울 때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역시 고즈넉한 분위기가 좋다. 이 곳에서 댓글이나 좋아요 클릭 없이 이 글을 읽을 미지의 누군가를 향해 글을 남기는 것도 좋고, 무엇보다 나를 위해 생각을 정리하는 느낌이 좋다. 내 글의 첫 구독자는 ‘나’니까.

회 한상

블로그에 음식사진은 처음 올리는 것 같다. 늘 집밥을 먹다가 이렇게 한번 나들이를 하면 사진을 찍게 되고…그런 사진들만 블로그나 인스타에 올라가기 때문에 SNS만 보다 보면 나빼고 다 좋은 곳에 가서 좋은 음식을 먹는다는 착각을 하기 쉽다. 아무도 SNS 사진에 올라온 것처럼 살지 않는다. 가장 좋은 장면만 편집해서 올린다는 것을 잊으면 안된다.

아무래도 술을 끊은 이후로 횟집엔 잘 가지 않게 된다. 어제는 나를 위해 가져 온 포도주만 한 잔 마셨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5%를 넘어서면 아무래도 주식에 좋을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주로 나누었던 것 같다. 어제 밤 나스닥이 -2.43% 빠졌나 보다. 오늘 아침에 보니 코스닥도 -2.6%를 훨씬 넘고 있다.

생활 속 루틴 끼워 넣기

모든 사람들은 부지불식간에 일정한 루틴을 가지고 있다. 루틴이라는 외래어보단 습관이라고 부를수도 있지만 습관은 하나하나 개별적인 느낌이 들어 일정한 수순을 밟는다는 의미가 있어 보이는 루틴이라는 말을 그대로 쓰련다. 루틴 끼워 넣기란 부지불식간 행하는 루틴에 다른 루틴을 끼워 넣어 뇌가 거부하기도 전에 자연스레 행하는 걸 도모한다.

이를테면 매일 아침 화장실에 가는 루틴이 있다면 거기에 양치질을 하는 루틴을 슬며시 끼워 넣는거다. 몇 번 하다보면 어느새 뇌가 스스로 받아들여 거부감없이 습관이 된다. 매일 아침 뉴스를 읽는 습관이 있다면 뉴스를 읽는 순간에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걸 끼워 넣는다. 뉴스를 읽으면서 의식적으로 호흡을 느끼면서 하는 것이다. 길게 들이 마시고 길게 내뱉는 걸 의식적으로 하다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 앉는 걸 느끼게 된다.

명상


숨을 들이 마시는 것보다 2배로 길게 내 쉰다. 의식하지 않고 호흡을 하면 짧게 들이 마시고 짧게 내 쉬는 나를 발견한다. 어차피 매일 뉴스를 읽는 다면 눈은 뉴스를 따라 움직이겠지만 내 호흡은 복식호흡을 하면서 긴장을 완화하고 심신안정을 꾀할 수 있다. 복식호흡 1시간이 걷기 운동 24분, 자전거 30분의 칼로리 소모와 비슷한 칼로리를 소모한다고 한다. 물론 1시간은 힘들거고 하루에 10분씩 틈나는 대로 짧게라도 시도해 보면 좋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물 한잔을 마시는 루틴도 가지고 있다. 군대에서부터 생긴 루틴으로 일어나면 물 한 잔을 마신다. 공복에 마시는 물이 좋다는 말도 있고, 안좋다는 말도 있는데 난 좋다고 생각하고 한다.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은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 미지근한 정도가 좋다고 한다. 온도보다 중요한 것은 속도다. 너무 빨리 마시기보단 천천히 마시는 게 좋다.

루틴속에 키워 넣기도 있지만 빼야 할 루틴도 있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보는 루틴이 그 중 하나다. 꼭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이 있다. 잠자리에 들땐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게 좋은데, 그 습관을 버리기가 참 힘들다. 루틴 끼워 넣기도 중요하지만 잘못된 루틴 빼기가 더 중요한지도 모르겠다. 현재 내 루틴 중에서 뺄 것을 먼저 생각해 보고나서 끼워 넣을 루틴을 찾아 보는 게 맞는 순서다. 쓸데 없는 물건을 정리하는 미니멀리즘이 정말 필요한 것은 바로 여기가 아닐까 싶다.

채워야 비워지고 비워야 채워진다.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9월 13일부터 새로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하다가 주말을 건너 뛰고 9월 18일부터 한 달동안 연속해서 글을 써보려고 다짐했었다. 중간에 긴 추석 연휴가 끼어 있어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 예약 글 기능을 통해 어찌 어찌 채워 갔는데.. 아뿔싸, 10월 초에 감기몸살로 이틀을 비웠다. 이 글이 올라가는 18일이면 그 이틀을 빼고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썼다.

블로그 캘린더


이틀을 뺀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예상대로(?) 수익은 거의 없었지만 글은 남았다! 세네카가 현대인에게 해주는 충고에도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세요. 세네카는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일기를 쓰면 우리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라고 일기와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블로그로 공개된 일기를 쓰다보니 내 감정과 생각이 더 잘 이해되고 정리된다. 바로 이 점이 애드센스 수익보다 더 가치있는 일이다.

가끔 내 블로그에 어떤 광고들이 게시되는지 살펴 보는데 잡블로그에 가까운 내 블로그를 구글이 아직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광고로 뜨는 업종을 보니 아직 중구난방이다.

연필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뭔가를 꾸준히 하는 거다.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마음 속에 서 ‘블로그를 1년 동안 쓸 수 있을까?’ 라는 새로운 욕심이 생긴다. 물론 한 달처럼 일 년을 모두 파란색으로 채울 수는 없겠지만 틈틈이 글을 쓰면서 내년 9월까지 파란색이 부분적으로라도 채워지도록 노력해 볼 셈이다. 주말은 힘들더라도 평일은 채우도록 애써 봐야겠다.

그럴려면 내 생각이 먼저 무르익어야 하는데…그게 제일 걱정이다. 차가 있어도 갈 곳이 없으면 아무 소용없듯 블로그가 있어도 쓸 거리가 없으면 아무 소용없다. 불쑥 내 삶으로 들어 온 감기처럼 내 삶의 돌발적인 변수들도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