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의 흐름으로 쓴 글

AI도 결국 의식의 흐름 아닐까

이번 글은 그저 생각나는대로 의식의 흐름으로 글을 써 본다. 논리도 맥락도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내 공간에서 내가 생각나는대로 적겠다는데 누가 뭐라하겠는가.

며칠 전 갓난아기와 프로 권투선수가 함께 링 위에 서있는 그림을 올린 적이 있었다. 좋아하는 스포츠는 아니지만 내 머릿속 권투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영화는 ‘록키’다. 어렸을 때 인상깊게 봤기 때문인지 권투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장면들은 대부분 록키의 장면들이다. 최근 어떤 글을 읽다가 록키의 아폴로 역(아폴로 크리드를 연기한 배우 칼 웨더스는 NFL 프로 풋볼선수 출신, 아래 사진의 왼쪽 선수)에 실제 권투 선수였던 켄 노턴이 할 예정이었지만 다른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는 이유로 출연하지 못했다고 한다.

록키와 아폴로

켄 노턴이 누군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세상에…내가 최고의 권투선수라고 생각하는 알리를 이겼던 선수였다. 알리는 통상 5패를 했는데 그 다섯 명 중 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렇게 켄 노턴에 대해 찾아보다가 그를 가르쳤던 코치 Eddie Futch를 알게 됐다. 에디 퍼치를 살펴 보니 세상에나!!! 알리를 이긴 5명의 선수 중 무려 4명이 에디 퍼치의 지도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몇 개의 AI에게 에디 퍼치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더니 여전히(?) 올바르지 않은 정보들이 뒤섞여 있기에 약간의 수정을 해서 눈에 띄는 부분과 궁금했던 부분들만 정리했다. 내게 AI는 여전히 이제 막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취업한 신입사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내가 왜 얘를 가르쳐야 하지?! 내가 왜 얘가 아무렇게나 떠들어대는 말을 믿어야 하지?

“그는 전설적인 헤비급 챔피언 Joe Louis(조 루이스)와 스파링 파트너로 활동하며 권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습니다. Joe Louis와의 스파링에서 루이스가 “너를 때리면 내가 날카로운 걸 느낀다”고 말할 정도로 빠르고 영리한 복서였습니다. 하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선수로서의 꿈을 접고 트레이너의 길을 택했습니다.”

“에디 퍼치는 권투를 “과학”으로 접근했습니다. 그는 “권투는 체육관에 들어가서 그냥 때리는 게 아니다. 기술의 차이가 승부를 가른다”고 강조하며, 철저한 분석과 전략으로 유명했습니다. 상대의 약점을 파악하고, 제자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맞춤형 훈련을 설계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레이저에게는 알리의 머리를 피하며 몸통을 공략하라는 지시를, 노턴에게는 잽 타이밍을 맞추는 법을 가르쳤습니다. 스핑크스1의 젊음과 스피드를 살려 알리를 지치게 했습니다. 홈즈는 알리보다 긴 리치를 이용해 거리를 유지하며 싸우게 했습니다. 퍼치는 “너무 가까이 붙지 말고 알리가 다가오면 잽으로 찔러라”라고 조언했고, 홈즈는 이를 철저히 따랐습니다. 퍼치는 각 파이터의 신체 조건과 스타일을 고려해 훈련을 설계했습니다. 프레이저는 근접전, 노튼은 방어와 반격, 스핑크스는 스피드, 홈즈는 잽과 리치로 알리를 공략했습니다.”

갓난아기와 같은 권투 초보자를 그 사람에 맞는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과 철저한 분석을 통해 승리를 만들어 낸 사람. 지금 내가 매수하는 주식의 반대편에는 매도하는 누군가가 반드시 있다. 사각의 링에서 죽기살기로 주먹을 교환하는 권투선수들과 다른 점은 서로 얼굴을 마주보지 않는다는 점과 투자는 운의 영향이 권투보다 훨씬 크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상대를 반드시 이겨야 승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투자에선 지지만 않아도 이긴다.

어쩌면 내가 블로그에서 별 영양가없는 투자관련 글을 쓰는 것도 나 자신 켄 노턴이 아니라 에디 퍼치를 추구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아무래도 그게 맞는 것 같다. 내 주변에 무수히 많은 챔피언들이 생겨나고 시장을 이기는 사람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아니 최소한 시장에 지지만 않는 사람들이 넘쳐났으면 좋겠다.

“퍼치는 될성부른 재목임은 분명한데 기가 거센 야생마를 조련하는데 명수였다. 87-90년 웰터급 챔피언을 지낸 말론 스탈링이 훈련중 거만을 떨자 “말론, 난 네가 아는 모든 것을 가르쳤어, 그러나 난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아직)네게 가르쳐주지는 않았어”라고 콧대를 꺾어 놨던 일화는 유명하다.”

  1. 미국 위키피디아를 보니 “그가 훈련시킨 선수로는 무하마드 알리를 물리친 5명 중 4명인 조 프레이저 , 켄 노튼 , 래리 홈즈 , 트레버 버빅이 있다.”라고 적혀 있다…ㅋㅋ ↩︎

10초 내재가치 계산기에 새로운 기능 추가

역시 영원한 보유가 가장 어렵다

혼자 보는 10초 내재가치 계산기에 새로운 기능을 하나 추가했다. 지난 주말 구루들의 포트폴리오를 보다가 발견한 기업 하나가 숫자들은 너무 좋은데 가격이 조금 비싼 게 흠이라 주저하다가 내 고민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불현듯 떠올랐다. 떠오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그린 그림(가칭 성장 활주로)이다. 초록색 선이 현재 가격이고 빨간색 선이 내재가치선이다. 내재가치선 위 아래로 적당한 마진을 두고 점선으로 그렸다. 당연히 벗어나기도 하겠지만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개와 주인으로 비유했듯이 대략 가격이 그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한다고 보면 된다. 아래 빨간 점선은 좋은 기업인지 아닌지를 비교하기 위한 벤치마크쯤 된다.

미스터리 기업 성장 활주로

기업 내재가치선의 기울기를 벤치마크와 비교해보면 훌륭한 기업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별로인 기업일수록 벤치마크와 가깝거나 심할 경우 아래로 떨어진다. 하지만 지금 현재(D) 가격은 내재가치선 상단 붉은 점선을 넘어서 있는 고평가 상태다. 내가 고민하고 있는 바로 그 상황이다..^^ 좋은 건 대체로 비싸다. 가격을 나타내는 초록색 수평선이 흰색 점선 아래에 있을 때가 버핏이 말하는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다. 양동이를 들고 뛰어나가야 할 때. 이 훌륭한 기업을 지금 가격대에 매수한다면 자칫 최대 3년(D+3에서 가격선과 만난다)을 마이너스로 지내야 할 수도 있음을 그림이 알려 준다. 달리 말하면 가정대로 성장하기만 하면, 지금 가격에 구매하더라도 3년 이상만 보유하면 플러스 수익이 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주 높은 기업이다.

물론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제일 상단 붉은 점선을 타고 상승할 가능성(20% 이상 수익률)도 있고 중간의 내재가치선을 따라 상승할 가능성(10% 중반 수익률)도 있고 아래 흰 점선을 타고 갈 가능성(5년 이내 10% 수익률, 10년 이상 15% 수익률)도 있다. 마찬가지로 경쟁 심화나 소비자 선호 변화 같은 이유들로 기대했던 성장률보다 훨씬 낮은 기울기로 바뀌거나 음의 기울기가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과거 실적과 상관없이 향후 10년 동안 이렇게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은 아주 드물다. 모든 것은 확률의 문제이자 얼마나 길게 내다 볼 수 있느냐 역시 투자자의 역량에 달렸다.

미스터리 기업 투자 전략 지도

포워드PER 24(PEG 1)에 투자 전략 지도를 보면 정말 구미가 당길 정도로 훌륭한 모습이다. 일단 와치 리스트에 올려 놓고 정찰병만 투입하고 째려 보기로 했다. 정찰병이 대승하면 우울하고 정찰병이 대패하면 즐거워진다. 간만에 미국시장 바라보며 정찰병 넣자마자 -3% ㅍㅎㅎ 하락하던 OXY 5% 상승이 눈에 띈다.

성장 활주로 만든 김에 좋아하는 기업 구글(GOOGL)도 궁금해서 한번 그려봤다. 훌륭한 기업이지만 내재가치보다 조금 비싼 상태로 나온다. 애플도 그려봤더니 버핏 옹이 파는 이유가 한 눈에 보인다..ㅋ

GOOGL 성장 활주로

내가 사용하는 양적 기업 분석의 툴이 점점 단순해진다. 좋은가는 ‘투자 전략 지도’로 싼가는 ‘성장 활주로’로 수렴되고 있다.

“주식투자란 간단하다. 당신이 할 일이란 최고의 정직함과 능력을 지닌 경영진을 두고 있는 훌륭한 회사의 주식을 그 회사의 내재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사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 그 주식을 영원히 소유하면 된다.”
–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신규매수 종목 STZ

주말에 구루들의 포트폴리오 업데이트를 훑어 봤다. 버크셔해서웨이 신규매수 종목에 STZ가 보여서 뭔가 봤더니 코로나 맥주로 유명한 주류기업이다. 포도주와 양주 라인도 가지고 있지만 맥주가 주요 매출인 맥주 기업이다. 버핏 매수기업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는 버핏 후계자가 매수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국 기업을 살펴 볼 때 하는 루틴처럼 야후 파이낸스로 들어가서 기업의 스냅샷을 찍고 간략하게 훑어 본다. 과거 5년 수익률이 -20%에 현재 PER 43이다. 최근 5년간 미국 지수가 거의 100% 넘게 올랐을텐데 주주들의 상실감이 엄청났겠다. 확인해보진 않았지만 보나마나 이익이 무너져서 주가는 흘러내렸고 PER는 올라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든다.

STZ 주가

미국 뉴스를 보다보니 버크셔 지분공시가 나기 바로 전에 올라온 기사인 것 같은데 제목이 “STZ를 매도해야 하는 3가지 이유와 대신 매수해야 할 1가지 주식”이다..^^ 매도해야 할 3가지 이유는 유기적 성장(인수 합병 매각 같은 일회성 이벤트와 환율변동을 제외한 성과)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 애널리스트들의 향후 예상 성장이 낮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최근 영업이익률이 급격히 하락했다는 점을 들었다. 실적을 보니 매출은 고만고만하게 상승하고 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망가졌다. 다행히도 버핏이 중요하게 보는 FCF는 아주 양호하다.

STZ 실적

퀀트를 해봐서 알지만 이런 종류의 기업은 퀀트를 통해 절대로 걸러내지 못한다. 기업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숫자들이 왜 망가졌는지, 혹은 왜 망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극복하기 위해 어떤 일들을 준비하고 있는지 그 이유를 잘 알고 있어야 하며 250달러 근처에서 움직이던 가격이 162달러(버크셔 매수 공시 후 7.4% 급등해서 175달러)까지 빠진 이유(멕시코 추가 관세 같은)도 제대로 추적하고 있어야 한다. 찾아 보니 버크셔해서웨이 추정 매수가는 221달러 내외로 트럼프의 관세 으름장으로 단기간에 비교적 크게(?) 물린 셈이 됐다. 내재가치 계산기로 단순 계산했더니 적정 내재가치 207 달러가 나온다. 물론 안전마진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숫자다.

“회사는 진화하는 소비자 선호도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멕시코 맥주 포트폴리오와 하드 셀처와 같은 새로운 대체 음료 알코올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지원하기 위해 멕시코에서 양조 용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 회계연도 말에 이 회사는 멕시코 시설 전체에서 4,800만 헥토리터의 생산 용량을 확보하여 강력한 운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 기존 양조장의 모듈식 확장과 베라크루스에 세 번째 양조장 개발에 약 3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회사는 프리미엄 음료 알코올 부문에서 리더십을 강화하는 동시에 증가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을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경제글을 전문적으로 올리는 국내 블로거의 STZ 관련 글(정말 빨리 올렸다, 검색엔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속보성을 강조해서 트래픽을 끌어 모으는 전략이다)을 보니 결론은 좋은 기업이지만 현재 PER가 너무 높다고 정리한다. 내 판단과는 반대다..ㅋ 현재 PER 43은 물론 너무 높은 숫자지만 어디까지나 스냅샷일 뿐 진짜 숫자가 아닌 허상 숫자다. 투자자는 그걸 바로 알아차려야 한다. 일시적 이익과 마찬가지로 일시적 손실도 감안해서 이익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찍힌 이익이 아니라 FCF로도 봐야 하고 그도 아니면 최소한 1~2년 정도를 추정해서 계산해야 한다.

STZ 밸류에이션 표

야후 파이낸스가 좋은 이유(국내 포털의 금융 서비스도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이런 서비스를 공짜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트레일링 PER 43.45지만 포워드 PER 10.92 수준이다. S&P 500 포워드 PER 22 수준으로 보면 딱 버크셔가 좋아할 만한 밸류에이션이다. 늘 이야기하는거지만 버핏은 PER 15 이하를 좋아한다. 하지만 이 기업은 내가 만든 투자 전략 지도로 보면 10×10 박스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 있는 기업으로 내가 싫어하는 종류의 기업이라서 단기간 주가급락과 버크셔 매수로 매력적으로 보일 순 있겠지만 탈락이다..ㅋㅋ

STZ 투자 전략 지도

주말에 공시한 버핏 외 다른 구루들의 포트폴리오 업데이트도 살펴 보다가 하나의 기업을 찾았는데 숫자들이 좋아서 아무래도 그 이유를 좀 더 파봐야 할 것 같다. 가치 투자 2.0 기업이다~

미스터리 기업 투자 전략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