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쇼트 주인공 마이클 버리

2008년 금융위기를 다룬 영화 빅쇼트를 재밌게 봤었다. 빅쇼트 주인공 마이클 버리는 내게 특히 인상적이었는데 엊그제 알리바바에 관한 글을 하나 쓰면서 마이클 버리 포트폴리오를 얘기하다보니 또 아주 오래전에 메모해 놓은 글이 생각이 나서 읽어 보고, 시간많은 개천절에 또 이렇게 블로그에 들어와 생각을 끄적인다. 나이들어 취미가 블로깅이 될 판..^^

영화 빅쇼트

마이클 버리는 1971년생 의사 출신으로 미국의 주식 토론 사이트 실리콘 인베스트의 유명 필자였다.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표현했지만 다른 투자자와 자신의 투자 아이디어에 대해 토론하는 걸 싫어했다. 토론 하다보면 아이디어의 수호자가 되어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싸보이면 숏을 치고 싸보이면 롱을 하는 전형적인 롱숏 플레이어지만 자세히 살펴 보면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런 버핏에 대해 철저히 분석하고 실제 투자에서 가치투자 방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알리바바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괜찮은 회사가 악재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는 걸 기피하지 않고 오히려 좋아한다. 기업에 대한 철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괜찮은 회사지만 사람들의 관심에서 버려진 인기없는 주식을 선호한다. DCF를 해보면 기업의 가치 대부분은 지금부터 10년까지가 아니라 10년 이후부터 망할 때까지의 가치가 결정한다. 따라서 지금부터 3년 정도의 시간은 기업의 전체 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 이하로 아주 미미하기 때문에 특정 악재로 가치에 비해 가격이 지나칠 정도로 많이 떨어진다면 마이클 버리는 안전 마진이 있는 한, 전혀 두려워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신문방송은 전혀 개의치 않는다. 그의 투자 타임라인은 대체로 3~5년이지만 단기간 50%이상 급등하면 매도하기도 한다. 벤저민 그레이엄도 그렇게 했다..^^

지금은 중단된 MSN money central stock screener를 통해 저렴한 주식들을 스크리닝했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시가총액 규모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오히려 기관들의 관심이 적은 중소형주를 선호했으며 벤저민 그레이엄에게서 배운 NCAV전략도 사용하고 EV/FCF, EV/EBIDTA가 절대적으로 낮은 종목들을 선별해서 투자하기도 한다. 특히 부채가 적거나 거의 없는 기업을 선호하고 버핏처럼 자산을 재조정한 PBR을 고려하고 PER와 ROE는 무시한다. 이렇게 보면 가치투자 1.0과 가치투자 2.0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모두 내가 책을 쓰면서 이야기했던 전략들이다.

포트폴리오에 12~18개 기업 정도가 들어있을 때 편안하게 생각한다고도 했다. 현금 비중을 의식적으로 따로 가져가지는 않고 대체로 모두 투자하려고 한다. 포트폴리오 회전률은 보통 50% 수준이고 52주 최저가의 10~15% 범위 내로 들어왔을 때 매수하는걸 선호하고 가치투자 1.0으로 매수했다면 52주 최저가를 깨고 내려가면 바로 손절한다.

“In the end, investing is neither science nor art — it is a scientific art.”

“결국 투자는 과학도 아니고 예술도 아닙니다. 두 가지가 혼합된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과정에서 발견한 것들이 훌륭한 보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의 주요 도구는 리서치입니다. 투자하기 전에 기업의 가치를 이해해야 합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을 만났을 때 저는 가치 투자자로 태어났다고 느꼈습니다. 저의 모든 선택 과정은 안전 마진이라는 개념에 기반합니다.”

– 마이클 버리

알리바바에서 언급했지만 현재 그의 포트폴리오 약 45%는 중국관련 주식(알리바바, 바이두, JD)이다. 아마 지금은 비중이 또 달라졌을거다.

좋은 기업의 조건 하나

받아 보는 자료에 오류가 보여 몇 개의 오류 리포트를 적어 보냈다. 바로 피드백이 돌아 온다. 오류의 근본적인 부분이 해결되지 않아서 다시 오류 리포트를 보내면서 고객인 내가 왜 이런 일을 하고 있지…하는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이런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어서 생각해보니 한창 AI서비스들을 사용할 때였다. 내가 왜 내 돈과 시간을 써가면서 AI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있지?

좋은 기업의 조건 중 하나가 열성적인 팬이다. 바로 떠오르는 게 테슬라 정도 되겠다. 테슬라 주주들은 그야말로 열성적이다. 스스로 베타테스터가 되어 테슬라 전기차를 구매해서 몰아보고 개선점을 회사에 자발적으로 제안한다. 따로 테슬라가 광고비를 쓰지 않아도 주주들이 SNS를 통해 테슬라의 장점에 대한 홍보를 자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충성심이 없으면 개선점을 제안하는 게 아니라 불만을 토로하고 환불을 요구하거나 기업과 적대적으로 변한다. 대체로 소비자는 변덕스럽고 참을성이 없다.

“궁극적으로 초기 단계의 회사를 평가할 때, 저는 그것이 예술과 과학의 조합이라고 말합니다. 예술은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것이고, 과학은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을 아는 것입니다. 회사가 초기일수록 예술에 대한 것이 더 많은데, 이 경우 예술은 제가 제품과 사용 사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 Sarah Tavel, 벤처 캐피털리스트이자 기업가

고객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누가 지시하지 않아도 스스로 개선점을 찾고 회사에 제안하고 오류를 찾아 내서 바꾼다. 창업자에 대한 존경심이 됐든, 종업원도 주식을 가진 오너십이 됐든, 아니면 종업원과 기업간 조직 얼라인먼트가 일치하든 간에 좋은 기업은 충성심이 가득한 종업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가진 기업은 대체로 좋은 사람들과 문화를 가진 기업이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창업자로서의 초점은 제품의 일상에서 회사와 조직의 일상으로 옮겨갑니다. 제품이 회사가 됩니다. 제품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엄격함을 회사에도 적용해야 합니다. 제품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회사를 위한 운영 체제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기업 문화는 엄청난 경쟁 우위입니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워드프레스를 오픈소스로 만들고 배포하고 운영하는 오토매틱에 최근 큰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뉴스를 링크하려고 관련 뉴스를 검색했더니…국내 언론에 단 하나의 기사도 없다. 그나마 링크한 글 하나만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는 관심밖이다. 전 세계 인터넷 사이트 약 43%가 사용하는 CMS인데 이렇게 관심이 없다니..

워드프레스

사실 WordPress는 오픈소스 제품, 비영리 단체, 영리 기업, 상표 및 라이선스의 복잡한 혼합물이었다. 이 싸움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세계에서 무엇이 적절하고 무엇이 적절하지 않은지에 대한 싸움으로 확대되면서 오토매틱 내부 종업원 중에서도 CEO의 뜻에 반대하는 일부 의견들이 표출되었고 이에 CEO 매트 뮬렌웨그는 일정 금액의 돈(3만 달러 또는 6개월치 급여 둘 중 더 높은 금액)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사람은 회사를 떠나라는 의사표시를 했고 조직의 약 8% 넘는 종업원들이 떠나기로 했다고 한다.

“WP Engine(사모펀드 회사인 실버레이크는 2018년에 WP Engine의 지분 대부분을 매수하여 2억 5천만 달러를 투자하고 이사회 의석 3개를 확보했다)과의 싸움은 WordPress와 Automattic 간의 경계를 더욱 모호하게 만들었고, 오랫동안 그를 지지해 온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불확실성의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사모펀드 실버레이크(자산이 1,000억 달러가 넘는다)는 오픈소스 이상에 대해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자본에 대한 수익만 원한다는 이유로 싸움을 시작했지만 소송의 결과와 상관없이 워드프레스 고객과 오토매틱 종업원의 충성심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들기 시작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