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5%다. 10명 중 4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여기에 노인 고용률은 37.3%다. 퇴직 후에도 일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이야기지만 내용을 살펴 보면 대부분 단순 노무직과 1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비슷한 숫자로 혼자 사는 노인이 37.8%로 214만 가구(2023년 기준)에 이른다. 노인의 반 정도가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다고 답했고, 18%는 주위에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고 답했다. 노인 자살률은 10만 명당 48.6명이다. 2010년 81.9명에서 기초노령연금과 같은 제도 개선으로 많이 낮아진 숫자지만 여전히 불명예스럽게도 OECE 1위다. 자살이유로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2025년에는 65세 인구가 전체에서 약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고 한다. 2050년이면 노인인구가 4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니 그때가 되면 국민 5명 중 2명이 노인이 된다. 옆나라 일본에서는 ‘노후 파산’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노인들때문에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기대수명 그래프

기대수명이란 0세의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2년 82.7세로 약 20년 늘어났다. 기대수명은 여성이 남성보다 길다. 2022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5.6세로 남성의 79.9세에 비해 5.7년이나 길다. 2024년 1월 기준으로는 여성이 90.7세, 남성이 86.3세로 차이가 조금 줄었다. 일반적으로 건강 수명은 기대 수명보다 약 10년 정도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 수명으로 대략 여성은 80세, 남성은 76세 전후로 보면 될 것이다. 통계청 데이터는 이 숫자보다 훨씬 낮아서 대략 65세까지를 건강 수명으로 본다.

건강수명 그래프

WHO자료를 보면 건강 수명은 대략 72세 전후까지다.

WHO 건강수명

평범하게(?) 60세 전후에 은퇴한다고 가정하면 아프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대략 10년 내외 남짓 남았다는 얘기다. 그 기간을 지금 노인들은 또 어쩔수 없이 먹고 살기위해 일하면서 보내고 있다. 1988년 시작된 국민연금에서 그야말로 꿀 빠는 세대 소리를 듣는 세대지만 현재 노인 빈곤율은 처참한 수준이다. 2024년 3월 기준 노령연금 전체 신규수급자의 경우 평균가입기간은 20년이 채 안되는 237개월에 불과하다. 소득대체율을 약속받은대로 모두 받으려면 40년 이상 가입해야 하는데 가입기간 20년이 안된다면 소득대체율도 반이상 줄어 든다. 만약 소득대체율이 50%라면 25%가 되고 40%라면 20%가 되는 것이다. 2024년 1월 기준 국민연금 수령액 평균은 62만 원으로, 수급자의 절반은 월 40만 원 미만을 받고 있으니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다. 더구나 노인 2명 중 1명은 국민연금이 전혀 없이 기초노령연금에만 의지하고 있다.

노인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늘어날 게 확정적이고, 지금과 같은 노후 대비가 계속되면 빈곤 노인이 계속해서 양산되는 것도 거의 확정적이다. 또한 경제적 문제로 인한 노인 자살도 계속 증가한다고 예측해도 무리는 아니다.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한 투자, 노후 대비를 위한 투자가 사회전체적으로든, 개인 영역에서든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내연금 홈페이지 (csa.nps.or.kr)‘에 접속,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한 후 [국민연금 알아보기-가입내역조회]에서 납입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국민연금 모바일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다운로드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납입내역과 미래에 내가 받을 예상 연금수령액도 바로 조회할 수 있다. 연금3총사로 불리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중에서 국민연금은 가장 기초적인 연금이니 꼼꼼히 확인하고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가입기간을 늘리는 게 제일 중요하다. 젊을 때 국민연금 우습게 알다가 나이들어 후회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블로그 9월 결산

내일이면 사라질 달력. 9월에도 제법 많이 썼다. 추석연휴가 중간에 들어 있어서 많이 빌 줄 알았는데 예약글 미리 써둬서 그래도 생각보다 많이 채웠다. 미리 예약글을 몇 개 올려 두면 부자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ㅋ 지금 예약으로 걸어둔 글들이 다 올라가면 또 한동안 뜸할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블로그 9월 결산이다. 열심히 썼을때 결산이란 글이라도 올려야 한다..^^

블로그 9월 결산

가끔씩 이렇게 인터넷 구석진 공간에 글을 올려두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아주 가끔 검색에 걸린 글 하나 보고 찾아와서 2분 남짓 머물다 가는 그 찰나의 순간. 나역시 찰나의 순간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는 생각들을 붙잡아 두고자 이렇게 글로 조각조각 남기지만 그게 또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이런 생각이 머리를 지배할 때는 블로그에도 잘 안들어오게 된다. 장자의 빈 배처럼 주인조차 없는 빈 블로그가 된다.

생각의 거미줄

글의 길이도 일정 수준 유지해야 하고, 제목과 키워드가 일치해야 검색에서도 좋은 위치를 차지하고 순위가 올라가야 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더 많이 방문해야 구글 광고 수익도 올라가고 블라블라블라..다들 열심이다.

내 블로그에는 댓글을 승인받도록 해서 스팸광고가 노출되는 것을 아예 차단했는데도 스팸광고가 꾸준히 등록되는 걸 보면 이런 광고를 하는 사람들, 혹은 봇들도 참 부지런하다. 그 부지런함의 반에 반만이라도 블로그 운영에 투입하면 좋을텐데..그럴 에너지가 없다. 뭔가를 열심히 만들고 나면 내버려 두는 나쁜 버릇이 있다. 그래도 방치했을 때랑 비교해서 뭔가를 쓰면 조회수는 올라간다.

블로그 조회수 방문자수

10월 첫 날은 임시공휴일이 됐다. 최근 집권당 모 국회의원은 50~60대 군 경계병 입법을 검토한다는 머릿기사를 봤다. 우크라이나 전쟁때 5~60대가 참전하는 영상을 보고 나라면 어떨까 잠깐 생각해 본 적은 있었지만 참..그런 수준의 경계병이라면 이제 로봇으로 해도 되지 않나?!

추가) 9월 목표걸음수를 달성한 날은 14일이다. 블로그 달력 채우기보다 10월에는 이걸 20일로 끌어 올려보자!

고려아연과 비교대상

영풍과 고려아연, 장씨일가와 최씨일가의 경영권싸움이 커지면서 요즘 화제라는 기업이다. 40만원대에 있던 주가가 최근 며칠동안 70만원대로 급등해서 PER27이다. 나까지 여기서 복잡한 지분구조와 향후 누가 이길지에 대한 이런저런 그림이나 해설들을 올릴 생각은 별로 없다.

고려아연 주가

경영권 분쟁은 주식시장이 제일 좋아하는 재료 중 하나면서 특히 사모펀드를 통한 경영권 분쟁은 우리나라에서 경직돼 있는데 건전한 자본시장으로 발전하려면 이런 메기들이 활발히 돌아다녀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모펀드는 장시간 일하는 고액의 숙련된 전문가를 고용하고 업무의 대부분은 저평가된 회사를 찾아 인수 협상을 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 돈을 빌리는 것이다.

사모펀드는 그런 회사들을 소유하고, 이사회를 열고, 직원들을 이사회에 보내 회사 임원을 고용하거나 해고한다. 예산과 사업 계획을 승인하고 비용 절감과 운영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때로는 같은 산업의 여러 회사를 매수하여 시너지를 얻으려고 결합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사모펀드는 일상 업무에서 주로 배수가 낮은 주식 지수를 수동적으로 매수하는 사업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주로 회사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사업을 하며 그들은 회사를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돈을 번다. 이런 메기들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좀 더 활발하게 활동해야 시장이 건전해 지고 밸류업된다.

고려아연은 우리나라 기업중에서 탄탄하고 좋은 기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투자 전략 지도로 보면 역시나 예상대로 10×10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궤적도 별로 좋지 않아 보인다. 정확하게 살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우리나라 기업 거의 대부분이 여기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삼양식품은 돌파했었다..^^

고려아연 투자 전략 지도

코스피가 만년 박스피에 머물러 있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며칠 전 삼성전자 투자 전략 지도도 봤지만 이런 지도 한 장 외에 무슨 긴 말이 필요할까? 우리나라에서 좋은 기업이라고 인정받고 있는 기업들조차 S&P500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런 글 올리면 국내 주식에만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싫어하겠지만 비교대상을 국내에 두느냐 세계로 넓히느냐에 따라 좋고 나쁘고가 극명하게 갈릴 수도 있다.

국가별 해외비중

미국은 내수가 많은 것 같지만 매출의 약 41%가 해외에서 나오는 글로벌 기업도 많다. 일본은 이보다 높은 54%다. 이 그림에는 안나오지만 우리나라는 2023년 기준 10대 기업의 경우 약 68%였고, 2021년 기준 100대 기업 조사로는 약 52.5%였다. 수출비중이 높은 산업구조때문이다. 특정 국가에 대한 투자라는 의미가 점점 희석된 세상에서 특정 국가 투자만 고집할 필요는 이미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 예약으로 올라오는 글들은 며칠 시차가 있을 수도 있다. 요즘은 대부분 미리 예약으로 올려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