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의 대화

어제 간만에 친구를 만났다.
대한문앞 조문하는 곳을 지나쳐 청계천변에서 만났는데
줄이 너무도 길어 조문은 하지 못하고 왔다.
(경찰들은 좀 철수를 하고 번듯하게 서울광장에 빈소를 차렸으면..)

친구와 맥주한잔을 하면서 이야기하던 중
친구녀석이 내가 과거에 했던 이야기가 뇌리에 남는다고 한다.
뭐냐고 물으니,

‘MB가 대통령이 되고 나면
사람들이 노무현 대통령이 좋은 대통령이었다는걸 깨달을 것이다.’라고 했단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국민들이나 지지자들에게 엄청 외면받던 시기였었던 걸로
기억하지만 저말을 했는지 난 잘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생각한 것보다 너무 비극적인 일로 이런 일이 생겼고,
또 그 시기가 너무 빨랐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경쟁상대 포지셔닝

오늘 신문기사중 인상깊었던 것은 소주회사의 경쟁상대는 TV회사라는 기사였다.

집에 일찍 들어가서 좋은 화질의 TV로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술집으로
끌어들일까를 고민해야 한다고. 마찬가지로 게임회사의 경우는 미국드라마가
경쟁상대일수도 있고.
일전에 읽었던 글중 코카콜라의 시장점유율이 너무 높아 성장여지가 별로 없다는
내부자의 보고를 읽은 사장(?)이 관점을 바꿔 콜라음료시장만 놓고 검토하지 말고
전체 음료(물포함)시장을 놓고 분석을 하라고 했더니…성장할 여지가 엄청 많았다고.
역시 지나간 기사중 야구팀 SK와이번즈(최근 고객마케팅을 잘하는..)의 모인사의
인터뷰내용중 자신의 경쟁상대는 CGV영화관이라고 한게 오버랩된다.
영화보러 가는 사람들을 어떻게 하면 야구장으로 돌릴수 있을지 고민한다고.
경쟁기업을 경쟁시장을 어떻게 포지셔닝 하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전략이
나올수 있을터.

쇼크독트린







쇼크 독트린쇼크 독트린10점
나오미 클라인 지음, 김소희 옮김/살림Biz

이 책, 과거에 읽은 “경제저격수의 고백”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참 많은 책이다..

남반구에서는 신자유주의를 ‘두 번째 식민주의 약탈’로 부른다. 첫 번째 약탈이 땅에서 부를 갈취해 갔다면, 두 번째는 국가에서 부를 뜯어 갔다. 이익 광풍이 휩쓸고 간 뒤에는 굳은 다짐을 하게 된다. 국가의 자산을 매각하기 전에는 확실한 법이 제 기능을 하게 하겠다. 모든 과정은 투철한 윤리의식을 가진 냉철한 감독관과 감시자들이 지켜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다음번엔 민영화를 하기 전에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놓을 것이다. 그러나 이미 이윤이 해외로 다 유출된 상황에서 법과 질서를 요구해봤자, 단지 도적행위를 합법화시킬 뿐이다. 유럽의 식민주의자들이 조약으로 땅의 소유권을 확고히 했듯 말이다. 애덤 스미스도 알고 있었듯 개척지의 무법천지는 문제가 아니라 핵심이었다. 피해 국가는 언제나 절망감과 후회로 부들부들 떨며 다음번에 더 잘하겠다는 맹세를 하기 마련이었다.


이책을 읽기전에 권하고 싶은 것은,
미국 PBS에서 만든 3부작 다큐멘터리 “커맨딩하이츠”(얼마전 KBS에서 방영)를 보고
그후에 이책 “쇼크 독트린”과 더불어 “잿더미의 유산”을 읽고
마지막으로 하이에크(특히 “노예의길”)나 밀턴프리드먼,
혹은 제프리삭스(빈곤의 종말..)의 책을 읽어 보면 아주 좋은 공부가 될 듯!
마지막으로 장하준 교수의 책(사다리걷어차기, 나쁜 사마리아인들..)들을
보너스로 읽으면 그야말로 금상첨화..^^

커맨딩하이츠를 통해 시장과 정부(국가)의 관계와 대립의 역사에 대해 고민을 하고
쇼크독트린과 잿더미의 유산을 통해 정치와 경제의 관계에 대해 눈을 뜬 후
신자유주의, 혹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철학과 논리를
하이에크와 프리드먼을 통해 제대로 이해하고
사다리걷어차기와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통해 우리나라 현실에 반추해 비교해 본다면
지금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조금은 일관성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개혁을 방해하는 정치적 걸림돌을 없애기 위해 고의적으로 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지 물어봐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 모두에게 두려움을 주어 변화를 수용하게 만들기 위한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조장은 가치가 있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역사적 혜안을 가진 사람이 패전 이후 엄청난 성장을 할 수 있으니 독일이나 일본은 전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조금 덜 심각한 위기로 똑같은 효과를 볼 수 있지는 않을까? 진짜 위기 없이, 가짜 위기로도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을까?


 금융위기이후 각국에서 보호무역주의의 기운이 득세를 하고 있다고 하고,
시장의 자유를 주창하는 신고전학파의 입지가 다시 케인지언에 의해 약화가 될지도
모르겠다하고 비교적 개방이 덜 된, 그래서 금융위기의 충격이 덜한 중국이
세계경제의 구세주로 떠오르고 있다.

97년 IMF시기에 우리에게 처방했던 정책들과 지금의 금융위기에 미국이 선택하는
정책들의 차이점을 보노라면 머리에선 이책의 저자자 펼치는 논리에 대한 부분적인 오류를
지적하면서도 가슴에선 감정이입이 되는건 어쩔수가 없다.

자본주의를 제한 없이 놔둘 경우 그것이 어디까지 잔인해 질수 있는지..
지금의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몰고 온 그 자본주의 잔인함의 역사를 알고 싶다면
얼른 이 “빨간약”을 먹길..^^


https://www.buddy.pe.kr/tt/buddy2009-03-24T12:43:220.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