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루틴 끼워 넣기

모든 사람들은 부지불식간에 일정한 루틴을 가지고 있다. 루틴이라는 외래어보단 습관이라고 부를수도 있지만 습관은 하나하나 개별적인 느낌이 들어 일정한 수순을 밟는다는 의미가 있어 보이는 루틴이라는 말을 그대로 쓰련다. 루틴 끼워 넣기란 부지불식간 행하는 루틴에 다른 루틴을 끼워 넣어 뇌가 거부하기도 전에 자연스레 행하는 걸 도모한다.

이를테면 매일 아침 화장실에 가는 루틴이 있다면 거기에 양치질을 하는 루틴을 슬며시 끼워 넣는거다. 몇 번 하다보면 어느새 뇌가 스스로 받아들여 거부감없이 습관이 된다. 매일 아침 뉴스를 읽는 습관이 있다면 뉴스를 읽는 순간에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걸 끼워 넣는다. 뉴스를 읽으면서 의식적으로 호흡을 느끼면서 하는 것이다. 길게 들이 마시고 길게 내뱉는 걸 의식적으로 하다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 앉는 걸 느끼게 된다.

명상


숨을 들이 마시는 것보다 2배로 길게 내 쉰다. 의식하지 않고 호흡을 하면 짧게 들이 마시고 짧게 내 쉬는 나를 발견한다. 어차피 매일 뉴스를 읽는 다면 눈은 뉴스를 따라 움직이겠지만 내 호흡은 복식호흡을 하면서 긴장을 완화하고 심신안정을 꾀할 수 있다. 복식호흡 1시간이 걷기 운동 24분, 자전거 30분의 칼로리 소모와 비슷한 칼로리를 소모한다고 한다. 물론 1시간은 힘들거고 하루에 10분씩 틈나는 대로 짧게라도 시도해 보면 좋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물 한잔을 마시는 루틴도 가지고 있다. 군대에서부터 생긴 루틴으로 일어나면 물 한 잔을 마신다. 공복에 마시는 물이 좋다는 말도 있고, 안좋다는 말도 있는데 난 좋다고 생각하고 한다.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은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 미지근한 정도가 좋다고 한다. 온도보다 중요한 것은 속도다. 너무 빨리 마시기보단 천천히 마시는 게 좋다.

루틴속에 키워 넣기도 있지만 빼야 할 루틴도 있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보는 루틴이 그 중 하나다. 꼭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이 있다. 잠자리에 들땐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게 좋은데, 그 습관을 버리기가 참 힘들다. 루틴 끼워 넣기도 중요하지만 잘못된 루틴 빼기가 더 중요한지도 모르겠다. 현재 내 루틴 중에서 뺄 것을 먼저 생각해 보고나서 끼워 넣을 루틴을 찾아 보는 게 맞는 순서다. 쓸데 없는 물건을 정리하는 미니멀리즘이 정말 필요한 것은 바로 여기가 아닐까 싶다.

채워야 비워지고 비워야 채워진다.

사진일기를 꾸준히 쓰는 사람들도 있네

어제 라디오를 듣는데 사진일기를 꾸준히 쓰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밴드로 모여서 매일 자신이 찍은 사진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하루라도 올리지 않으면 밴드에서 강퇴(?)된다고. 사진을 일기처럼 활용하는게 글로 일기를 쓰는 것보다 쉽고 편하기도 하지만 다른 장점들도 있다고 한다. 사진 주제도 사람마다 다 달라서 자신의 모습을 찍는 사람, 음식 사진을 찍는 사람, 풍경 사진을 찍는 사람…

아침에 라디오에서 들은 사진일기가 생각나서 풍경사진 한 장을 찍었다. 동트기 전 하늘 색감이 너무 아름다웠다. 시월 이맘 때 하늘이 제일 예쁘다. 자연이 공짜로 선물하는 것이니 마음껏 누리자.

여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9월 13일부터 새로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하다가 주말을 건너 뛰고 9월 18일부터 한 달동안 연속해서 글을 써보려고 다짐했었다. 중간에 긴 추석 연휴가 끼어 있어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 예약 글 기능을 통해 어찌 어찌 채워 갔는데.. 아뿔싸, 10월 초에 감기몸살로 이틀을 비웠다. 이 글이 올라가는 18일이면 그 이틀을 빼고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썼다.

블로그 캘린더


이틀을 뺀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예상대로(?) 수익은 거의 없었지만 글은 남았다! 세네카가 현대인에게 해주는 충고에도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세요. 세네카는 일기 쓰기를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일기를 쓰면 우리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라고 일기와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블로그로 공개된 일기를 쓰다보니 내 감정과 생각이 더 잘 이해되고 정리된다. 바로 이 점이 애드센스 수익보다 더 가치있는 일이다.

가끔 내 블로그에 어떤 광고들이 게시되는지 살펴 보는데 잡블로그에 가까운 내 블로그를 구글이 아직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광고로 뜨는 업종을 보니 아직 중구난방이다.

연필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뭔가를 꾸준히 하는 거다. 한 달 동안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마음 속에 서 ‘블로그를 1년 동안 쓸 수 있을까?’ 라는 새로운 욕심이 생긴다. 물론 한 달처럼 일 년을 모두 파란색으로 채울 수는 없겠지만 틈틈이 글을 쓰면서 내년 9월까지 파란색이 부분적으로라도 채워지도록 노력해 볼 셈이다. 주말은 힘들더라도 평일은 채우도록 애써 봐야겠다.

그럴려면 내 생각이 먼저 무르익어야 하는데…그게 제일 걱정이다. 차가 있어도 갈 곳이 없으면 아무 소용없듯 블로그가 있어도 쓸 거리가 없으면 아무 소용없다. 불쑥 내 삶으로 들어 온 감기처럼 내 삶의 돌발적인 변수들도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