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전략 지도를 가지고 놀다가 2

투자 전략 지도를 가지고 놀다 보면 가끔씩 꽤 좋은 궤적을 보이는 기업을 만나게 된다. 애플과 비슷한 궤적이지만 훨씬 더 좋은 수익률이다. 더구나 밸류에이션(나란히 붙은 마스터카드와 비교해도)도 더 싸다. 둘 다 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수익률은 올라가는 바람직한 모습을 보여준다. 애플은 그러면서 비싸지고 이 기업은 그러면서 싸지고 있다.

중국기업 투자 전략 지도
중국기업 매출추이


애플 투자 전략 지도는 아래와 같다.

애플 투자 전략 지도
애플 매출추이


지도만 놓고 봐도 둘 모두 좋은 기업이다. 하지만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저 기업은 중국기업이고 애플은 미국기업이다. 저 기업은 음식료 업종이고 애플은 IT업종이다.

“세상의 방법들이 실제로 행복을 가져다 주어서도 아니고, 사람들이 참다운 행복이란 도박에서 이길 돈을 갖거나 사냥해서 잡힌 토끼를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도 아니다. 아무도 행복을 그냥 선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우리의 불행한 조건에 대하여, 전쟁의 위험이나 생계의 부담에 대하여 생각하게 해 주는 단순하고도 평화스러운 삶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을 빼앗고 방향을 바꾸게 하는 선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포획물보다 사냥을 더 좋아하는 것이다.”
– 파스칼

파스칼의 말처럼 “인류의 모든 문제는 홀로 방 안에 조용히 앉아 있지 못하는 무능함에서 유래”한다. 사람들이 세상의 방법들에 끌리는 것은 그것이 행복을 가져다 주기보다 우리의 불행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런 산만함은 재물과 권력에 과도한 집착으로 나타난다. 파스칼의 말처럼 “인간의 마음이란 얼마나 공허하고 비열한가!”

버핏은 “The best way to think about investments is to be a room with no one else and just think.”라고 말했다. 이렇게 좋은 기업을 찾았으면 바로 매매에 들어갈 게 아니라 차분히 앉아서 분석해야 한다. 그러면 투자자가 아무도 없는 방에 가서 홀로 뭘 생각해야 할까? 파스칼의 명문을 살짝 비틀어 봤다. “남이 볼 때 나도 이 정도는 분석할 수 있다고 생각할 만큼 쉽게 분석하는 게 가장 좋은 분석이다.”

  1. 뭐하는 회사인가?
  2. 돈은 어떻게 벌고 있나?
  3. 돈버는 게 지속가능한가?
  4. 경쟁사는 누구인가?
  5. 누가 운영하나?
  6. 10년 후에도 괜찮을까?
  7. 가격은 싼가? 적당한가?

“We don’t care about one year, five years, or ten years. We think in decades. We’re building momentum.”
– 찰리 멍거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수 없다면, 투자할 수 없습니다. 도박은 할 수 있지만, 투자는 할 수 없습니다.”
– 워런 버핏

주식 투자자라면 이 정도만 생각해 보고 분석하면 충분하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 좋은 분석이다. 분석을 마쳤는데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지 못한다면 충분히 분석하지 않은 게 되거나 내 능력 범위 밖의 기업이다. 먼저 아무도 없는 방으로 들어가서 조용히 생각해 보자. 사실 이게 제일 힘든 일이다..ㅋ 밖에 이렇게 눈이 내리고 쌓였는데 가만히 방 안에 있으라고?!

첫 눈

(올해 첫 눈)

도미노피자 투자 전략 지도

도미노피자 투자 전략 지도를 예전에 살펴 봤었다. 몇 몇 투자 구루들(빌 애크먼도 매수했었다)도 이미 언급하던 기업이고 우리에게도 익숙한 식음료기업인지라 한번 봤었는데 성장률이 오르락 내리락 했지만 S&P500 평균을 뛰어 넘었고 무엇보다 일관된 수익성이 인상적인 좋은 기업으로 기억한다. 엊그제 공개된 버크셔해서웨이 13F에서 신규 매수한 2종목 중 하나(나머지는 POOL)가 도미노피자(DPZ)였다.

버핏 포트폴리오

투자 규모로 봐선 역시 후계자들 중 한 명인가…둘 모두 버핏이 매수했다기에는 업종에 비해 PER가 높다.

도미노피자 투자 전략 지도


내가 생각하는 버핏 체크리스트 중에서 40%이상 GPM(현재 약 38%..ㅋ)빼고 다 통과다. 최근 5년 동안 매년 약 3% 수준으로 자사주매입도 하고 있다. 애널리스트 목표가격은 $479, 현재 PER 26.46이다. 좋은 가격인지는 각자 알아서 판단하시라~

AI에게 물어봤더니 검색결과를 반영해서 다음과 같은 내재가치를 알려 준다. “알파 스프레드에 따르면 도미노피자(DPZ) 주식의 내재가치는 $416.86으로 현재 시장가인 $430.43에 비해 3% 고평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값은 DCF 가치와 상대 가치를 평균하여 계산됩니다.주식의 내재가치는 회사의 미래 현금 흐름을 추정하고 해당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계산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모든 현재 가치의 합이 내재가치입니다.” 좋은 세상인지 나빠진 세상인지 모르겠다..^^

도미노피자 주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의 장점에 대한 경고 이야기로서, 2015년에 우리가 도미노피자 지분을 매각했던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그 이유는 도미노피자의 급속한 성장률이 지속 가능하다면 정당화될 수 있는 가치 평가액에 도달했기 때문이지만, 당시에는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연례 편지에서 저는 ‘후회와 두려움을 안고 이 주식을 팔았습니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훌륭한 사업이고 우리 펀드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실적이 좋은 주식이었기 때문에 유감입니다. 좋은 회사의 주식을 매각하는 것은 우리가 정당하게 꺼려하는 일이므로 겁이 납니다.

도미노피자는 주가가 2016년에 +45% 상승하면서 가장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이러한 두려움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내가… “잘못할 수 있다”는 표현에 동의할 수 있을까요? …

이것이 제가 왜 우리의 훌륭한 회사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팔고 각종 쓰레기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투자해서 주가가 오르고, 훌륭한 회사들의 주가가 내려갈 것을 바라는 해설자들의 의견에 동의하기 꺼려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우리는 그 거래를 수익성 있게 되돌릴 수 있을 것입니다.”

– 테리 스미스

버크셔가 새로 매수한 두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보니 현재 미국 시장이 비싸긴 비싸구나 싶은 느낌이 들었다. 버핏이든 후계자들이든 밸류에이션에 도가 튼 사람들일텐데 10%보다 못한 성장에 5%정도의 주주환원으로 PER 26을 매수하는 상황이다. 예전의 버핏이면 최소 PER 18을 넘지 않았을거다. 이렇게 또 한 시대가 넘어 간다.

세계 시장에서 S&P500 비중이 무려 51%

세계 시장에서 미국 S&P500 비중이 무려 51%, 나머지까지 합하면 거의 60%가 미국시장이다. 나머지 30%가 주로 유럽에 많은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증시, 그리고 10% 정도가 개도국 증시인데 여기서 3%가 중국이고 우리나라는 2%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계 주식시장에서 S&P500 비중


S&P500 중에서 상위 1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37.5%, 평균 PER 52.9 수준이다. 상위 2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47%다. S&P500 상위 20개 기업이 전세계 주식 시장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ㅋ 우리나라 크기 12개 국가와 맞먹는 규모로 테크기업 1개가 국가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S&P500 1년 수익률


S&P500 최근 1년 수익률 36%, 시총 상위 10개 기업 1년 수익률 62%(엔비디아, 메타, AVGO 덕분~), 상위 20개 기업 46% 수익률이다. 트럼프 당선되고(전체 수익률이 여기서 약 2%p 더 올랐다) 모두들 장밋빛 전망 일색이다. Fed는 트럼프 당선 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는 뉴스도 나온다(엊그제 0.25% 내렸다). 언제 꺼질지 모르지만 음악이 울릴 때는 춤을 춰야~

투자 전략 지도

투자 전략 지도를 훑어 보니 머스크가 올인한 트럼프 당선 후 테슬라 TSLA 급등해서 PER 88 로 엔비디아 NVDA 보다 더 높은 수준이 됐다. 일론 머스크가 역시 인물은 인물이다.

액티브 실적

S&P의 새로운 연구(2024년 6월 30일 데이터 기준)에 따르면, 액티브 주식 펀드 매니저의 약 90%가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고, 액티브 채권 펀드 매니저의 81%가 10년 동안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았다. 거듭 강조하지만 다른 부문과 달리 투자에서 평균(인덱스 투자)은 중간이 아니라 상위 10~20% 안에 든다. 다만 10년 연평균 수익률 10%라고 해서 매년 10% 수익나지 않고 변동성이 아주 심하다. 어떤 해엔 지금처럼 30%가 넘기도 하고 또 어떤 해앤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오기도 한다.

다른 논문의 결과도 대체로 비슷.

액티브 펀드 실적


S&P500이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까? 단기 움직임은 아무도 모른다. 시계열을 길게 놓고 보면 보인다. 다만 투자에서 길게 기다릴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겐 1년도 너무 길다..

미국 주식 상위 매수 매도 현황

우리나라 투자자 최근 1개월 미국 주식 상위 매수/매도 현황~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주식인 테슬라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서학개미’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9일 증권가에 따르면 테슬라 주가는 미국 대선 개표 전날인 지난 5일부터 사흘간 20% 넘게 폭등했다.”

“현재 S&P500은 순환적 강세장에서 실제로 상당히 진전되었고, 주식이 장기간 급등하는 가운데 있다.”

S&P500 수익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