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에 -20%
실적이 가장 좋지 않은 시기가 최적의 파종 시기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얻어터지기 전까지는.
buddy's insight & investment
실적이 가장 좋지 않은 시기가 최적의 파종 시기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얻어터지기 전까지는.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
버핏과 멍거의 아이디어를 기초로 관심 종목을 가져가고 있는데 500개 중에 단 7개만 자동으로 필터링되고 있었다. 이 리스트는 가만히 놔둬도 지들끼리 들어오고 나가면서 공부할 거리를 던져준다..^^ 엊그제 보니 여기에 3개 기업이 추가되어 10개가 됐다. 리스트에 포함된 주요 업종이 금융인데 여기에 버크셔해서웨이가 새롭게 추가됐고 소비재에서 공부해 볼 종목 하나가 들어왔다.
이 리스트는 버핏이 주로 하고 있는 가치 투자 2.0 리스트에 가깝기 때문에 IT기업은 단 하나밖에 없다. 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가치 투자 3.0 리스트1 역시 자동으로 가져가고 있는데 현재 5개 기업이 포함되어 있고, 이 리스트엔 변동이 없다. 5개 모두 IT기업이고 그중에 GOOGL(알파벳은 테크놀로지 섹터가 아니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이 포함되어 있다..^^
공부하라는 알람이 들어왔으니 저 소비재 기업을 한번 살펴봐야 하는데…귀찮아서 10초 내재가치 계산기(이럴줄 알고 만들었..)만 먼저 살펴보니 일단 다 합격이다. 좋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이후 관세 우려로 최근 주가가 많이 빠지면서 스트라이크 존으로 들어온것 같다.
기업이 좋은지 아닌지는 이 그림 하나만으로도 알 수 있다. 소비재임에도 이익률이 높고 매출과 이익이 5년만에 더블이 됐으니 15% 속도로 성장했다..^^
부채없이 지금까지 돈도 잘 벌고 있고 CAPEX도 크지 않으면서 유입되는 돈으로 향후 자사주매입도 지금보다 더 늘릴 예정이라니~ GOOD!
따로 살펴 본 투자 전략 지도의 움직임도, 구글 트렌드 움직임도 좋은지라…일단 킵. 경험상 이렇게 기업 이름을 적어 두지 않으면 나중에 어떤 기업인지 나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던데…일단 (공부 열심히 하고나서) 1년 뒤에 보자~
추가)
과거 글을 보니 “셀 인 메이” 즉, 5월에 팔고 떠나라는 논리를 반박하는 글을 꽤 길게도 썼었다. 지금 생각하면 왜 그랬었나 싶다. 매도나 매수를 기업을 보지 않고 달을 보고 한다는데 거기에 무슨 논리적 반박을 하겠다고..ㅋㅋ 다 에너지가 많았을 때 일이다. 5월에 많이들 파시고 11월에 많이들 매수하시라~
“사업가들이 기업을 인수할 때에도 거래 시점을 특정 요일이나 월로 정할까요? (그레이엄-도드 마을 투자가들도 주식이라는 유가증권을 이용해서 기업을 인수하는 셈입니다.) 기업을 인수하는 시점이 월요일이든 금요일이든 아무런 차이가 없다면, 학계에서는 왜 막대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똑같은 기업의 일부(주식)를 매수하는 시점을 분석하는지 나는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 그레이엄-도드 마을 투자가들은 베타,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CAPM), 증권 수익률의 공분산 등에 대해 논의하지 않습니다. 이런 주제에는 관심이 없으니까요. 사실 이들 대부분은 이런 용어의 뜻조차 잘 모를 것입니다. 이들은 단지 두 가지 변수에 관심을 집중합니다. 가격과 가치입니다.”– 워런 버핏, 1984
“금융산업은 5%의 합리적인 이들과 95%의 무당과 심령술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찰리 멍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