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TSLA)

2025년에 테슬라(TSLA)가 판매할 자동차 수에 대한 분석가 추정치 평균은 200만 대가 조금 넘었다. 트럼프 취임즈음 절정에 이르렀다가 이내 급락해 이번주 최저치다.

2025 테슬라 예상 출하대수

야후파이낸스에서 향후 매출 예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올해 15% 내외, 내년 20% 수준이다. 과거에 비하면 많이 내려왔다. EPS성장은 매출보다 높은 수준으로 내년 30% 내외다. 최근 뉴스들을 보면 미국도 유럽도 중국도…아무래도 이 숫자들은 조정이 필요할 것 같다.

테슬라 매출 예상
테슬라 EPS 예상

주가를 보면 올해에만 -34% 빠졌다. 1년으로 보면 여전히 47% 올랐고 5년으로 시간지평을 늘리면 460% 올랐으니 장기 투자자일 경우 올해 하락이 대수롭지 않을 것이고 새로 매수한 신규 투자자일수록 조바심이 날 수 있다.

테슬라 주가

현재 PER 128 수준이다. 어제 올린 리 루의 연설문 댓글에 누군가 리 루에게 질문한 내용이 바로 PER에 관한 것이었다. “저렴한 회사가 무엇인지 어떻게 이해합니까? P/E 비율을 살펴봅니까? 회사의 P/E는 다양하며 성장률과 관련이 있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그에 대한 리 루의 대답은 저렴함의 대상이 현금등가물과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과 수익의 질에 대해 강조하면서 끝을 맺었다. 수익의 질이 좋을수록 PER가 올라간다. 시간이 지날수록 꾸준히 이익이 증가하고 이익 변동이 적을수록(일회성이익과 순환적이익이 크면 변동성은 올라간다) 높은 멀티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PER는 이익의 성장률과 높은 관련이 있고 이익 성장은 당연히 매출 성장과 관련이 있다. 미래 이익과 현금흐름에 대한 확신이 적을수록 투자는 더욱 투기적이 된다.

야후파이낸스에서 조회되는 현재 EPS 2.06이지만 2024 4Q까지 TTM으로 계산한 EPS 2.23으로 나오니 이 숫자를 사용해서 내재가치 계산기에서 한번 계산해 봤다. 긍정적인 숫자들로 (거의 불가능한) 미래 10년 동안 30% 성장을 한다고 가정하면 336 달러 내외(안전마진 25%로 계산하면 252 달러)가 나온다. 현재 애널리스트 평균 목표가격이 345 달러로 후하게 가정한 계산과 비슷한 숫자.

테슬라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테슬라 내재가치

물론 테슬라를 이야기할 때 단순 자동차 제조만 보면 안되고 자율주행이나 AI와 에너지, 그리고 로봇과 우주산업까지 모두를 봐야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적정한 내재가치를 계산하는 것 자체가 난이도가 높고 힘든 작업이다. 버핏과 멍거라면 TOO HARD에 던져 놓았을거다..^^

“표면적으로 보면 테슬라의 자동차 사업은 환상적입니다. 2024년에 이 회사는 무려 177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여 두 번째로 큰 EV 제조업체가 되었습니다. Model Y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입니다. 그리고 Cybertruck은 양극화된 디자인과 80,000달러의 가격표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기 픽업 트럭(38,965대 판매)입니다.

하지만 큰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성장입니다. 테슬라의 4분기 매출은 자동차 매출이 8% 감소한 탓에 전년 대비 2%만 증가한 252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에너지 생산 및 저장과 같은 회사의 다른 사업 부문이 매출을 떠받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영업 이익은 23% 감소하여 15억 8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맥킨지의 분석가들은 자율주행이 2035년까지 3,000억~4,000억 달러의 수익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테슬라는 이미 도로에 있는 자동차에서 생성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 덕분에 유리합니다. 이 회사는 또한 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컴퓨터 비전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Dojo라는 슈퍼컴퓨터를 개발했습니다. 10년 안에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 즉 서비스 (SaaS)가 테슬라의 사업 모델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어 마진을 높일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으로 여겨질 수 있는 질문을 던지면서 시작해 보겠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없다면 테슬라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요? 기사에선 테슬라의 EV자동차 가치를 PER 30으로 주고 계산했다. 투자자라면 한번 읽어볼 가치가 있다.

테슬라 투자 전략 지도

내가 만든 테슬라 투자 전략 지도. 성장률도 내려오고 수익률도 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풍선 크기도 줄어들었고. 앞에서 30% 성장 가정이 조금 어렵지 않나 생각되는 그림이다.

테슬라 현금흐름

5년 평균 현금흐름을 보면 CAPEX의 저 붉은 기둥…Cash Conversion도 낮다. 미래가치에 대한 밸류는 높게 받고 있지만 숫자만 보면 아직 가치 투자 3.0 기업과는 거리가 멀고 버핏처럼 내게도 너무 어렵고 힘들다. 지금보면 바보같은(?) 테슬라 거래는 예전에 적은 적이 있었다..ㅋ

그림처럼 5년 평균 FCF 대략 40억 달러 내외에 위 기사처럼 기존 자동차업체의 PER 10 이하보다 성장률이 높은 중국 EV자동차업체처럼 높은 PER 30을 준다면 테슬라 EV 자동차 가치가 대략 120B 수준이 된다. 당연히 FCF를 5년 평균보다 높게 잡거나 PER 멀티플을 높이면 이 숫자도 당연히 올라간다. 이를 현재 시가총액 844B와 비교하면 갭이 대충 724B가 된다. 바로 여기에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에 대한 나머지 그 모든 기대치들이 들어가 있다. 무려 가치의 86% 가 기대치 속에 숨어있다?! 테슬라의 베타가 2.5로 높은 이유기도 하다. 기대치의 변화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더 빠르기 때문이다.

해외주식 매수 10선

그럼에도 우리나라 주식 투자자들이 1년동안 가장 많이 매수한 해외 2위 기업이자 순매수 1위 기업으로 외화 획득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는 주식이다. 2배 3배가 즐비한 이 리스트만 보면 우린 투기의 민족(?)임에 틀림없다..ㅋ

해외 순매수 10선

주말 아침에 테슬라 자동차 판매에 대한 그림 하나 보고나서 또 주저리주저리 길어졌다. 딸 아이가 테슬라는 왜 자꾸 떨어져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못하더라도 힌트는 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추가) 방금 읽은 모니시 파브라이 인터뷰 내용

“테슬라에 대해 묻자 그는 퉁명스럽게 대답했습니다: “테슬라? 확실히 너무 어려운 회사죠.” 파브라이는 테슬라가 “대단한 성과를 거둔” “엄청난 회사”라고 인정하면서도 그 가치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합니다. “현재 현금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기업가치는 말이 안 됩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하지만 테슬라에는 일론 머스크라는 특별한 존재가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인간이 아닌 일론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론은 모두에게 끊임없이 과소평가되고 있습니다. 이제 그는 미국을 고치고 있습니다.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머스크의 역량이 뛰어나긴 하지만 파브라이는 여전히 테슬라를 ‘너무 어렵다’고 평가하는데, 그 이유는 투자가 한 개인의 뛰어난 능력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파브라이의 관점은 성공적인 투자는 과대광고를 쫓거나 대담한 예측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 대신 자신이 아는 것을 이해하고 모르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사의 미래를 예측하기 너무 어렵다면 그 회사는 너무 어려운 곳(TOO HARD)에 속하는 것입니다.”

추가) 테슬라에 대한 긍정적인 뷰

“Wedbush Securities의 Dan Ives는 테슬라를 회사의 “최고 아이디어” 목록에 추가하고 매수 등급과 목표 가격 550달러를 유지했습니다. Ives는 머스크의 정치적 개입에 대한 우려가 과장되었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문제가 테슬라 매출의 5% 미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는 회사의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강조하며 자율 주행 및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테슬라의 가치가 2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합니다.”

버핏의 뛰어난 투자아이디어는 단 12개?

버핏이 버크셔를 인수 후 약 60년 동안 기업을 운영하면서 본업 외에 대략 3~400개의 주식 투자를 했는데 큰 수익을 얻은 정말 뛰어난 투자아이디어는 단 12개였다고 한다. 총 투자 횟수를 400개라고 치면 12/400로 단 3% 적중율이다. 세계에서 가장 투자를 잘 하는 구루조차 5년에 한 번 꼴로 제대로 홈런을 치는 빅아이디어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버핏의 투자 수익 대부분은 12개의 빅아이디어에서 발생했다.

여기에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블루칩스템프, 씨즈캔디, 코카콜라, 가이코, 워싱턴포스트, Cap Cities/ABC, 애플 같은 기업들이 들어갈 것이다. 모니시 파브라이의 말에 의하면 이 리스트에 아지트 자인의 채용도 들어간다고 했다. 버핏이 헤드헌터에 지불한 비용에 비하면 아지트 자인이 버크셔 보험사업에서 거둬 들인 수익은 그야말로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투자아이디어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주식 투자를 잘하는 투자 구루 버핏조차 투자의 95~97%는 그저 그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투자자가 보내는 시간의 거의 대부분은 그저 그런 투자 아이디어를 만지작 거리고 있음을 알아 차려야 한다. 그저 그런 아이디어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정확한 기회가 찾아 오면 주저하지 않고 큰 베팅을 할 수도 있어야 한다. 투자란 인내와 용기의 다소 기이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임이기 때문이다. 인내 후 큰 베팅, 그리고 또 인내. 버핏은 버크셔에서만 60년 동안 이런 일을 했고 11살 부터 따지면 무려 80년이 넘는 시간동안 이런 종류의 인내심을 요구하는 일을 하고 있다.

언젠가 버핏은 구멍을 20개 밖에 뚫을 수 없는 펀치 카드처럼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었고, 멍거도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했었던 적이 있다. 인생에서 단 20번의 투자 기회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사람들의 투자 행위가 많이 바뀔 것이다.

버핏과 멍거의 저런 태도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자 그럼 이제 한번 뒤집어 생각해 보자. 질은 양에서 나온다고도 한다. 버핏이 말한 12개의 빅아이디어도 388개의 그저 그런 아이디어들이 있었기 때문에 식별 가능했다. 인생에서 단 20번의 투자밖에 할 수 없다면 대부분의 아이디어에 대해 NO라고 해야 하기 때문에 실패를 통해 경험을 쌓지 못한다. 실패와 성공은 안과 밖과 같아서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공진화한다. 빅아이디어라는 게 하루 아침에 뚝딱 떨어지는 건 아니다. 실패를 아예 하지 않는다면 빅아이디어 근처에도 가지 못할 가능성도 커진다. 심지어 빅아이디어가 와도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투자에서는 모의로 하는 투자와 실제 내 돈이 들어가는 투자와의 차이가 하늘과 땅만큼 간극이 크다.

빅아이디어는 단순하다. 하지만 진지하게 받아 들여야 한다. 복리라는 빅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결코 빨리 부자가 되는 길을 선택하지 않는다. 좋은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라는 빅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좋은 기업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다. 마찬가지로 적당한 가격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한다. 싼 기업만 사겠다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사람은 싸다는 건 무얼 의미하는지 깊이 생각하기 마련이다. 뭔가를 깊이 파고들면 단순해 진다. 아직 복잡하다면 충분히 깊히 파고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빅아이디어 역시 단순하다.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은 꽤 쉽습니다. 하지만 빨리 부자가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워런 버핏

“빨리 부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은 매우 위험합니다.”
– 찰리 멍거

TSMC 10초 간단 내재가치 계산

딱 1년 전에 TSMC 10초 간단 내재가치 계산을 했었다. 그 즈음에 10초 만에 계산 가능한 초간단 내재가치 계산기를 만들고 로직을 보완하면서 기업 내재가치 계산을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그 중 몇 개를 따로 저장해 두었는데 TSMC도 그 중 하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적어 두었다.

2023 TSMC 내재가치

“이런 밸류에이션은 계산에서 핵심인 가정들을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 이외에는 아무 의미없는 숫자와 그림이다. 다른 이들에게 거의 쓸모없는 이런 그림들을 가끔씩 공개하는 이유는 투자를 하려고 한다면 쉽게 볼 수 있는 가격정보만 보지 말고 그 기업의 내재가치도 함께 살펴보라는 의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아주 간단하게 내(후)년 영업이익 1,000억 정도가 된다면 과거 평균인 PER 10 곱해서 1조 정도 가치가 되지 않을까? DCF 같은 복잡한 계산도 좋겠지만 그냥 이 정도만으로도 충분하다. 투자를 하기 전에 반드시 자기 머릿속에 그 기업의 가치를 간단한 범위로나마 계산해 봐야 한다. 그리고 기록해야 한다.

“주식시장은 가격은 알지만 가치는 모르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버핏의 스승 중 한 명인 필립 피셔의 말이다. Price is what you pay. Value is what you get. 이 것은 워런 버핏이 강조한 말이다. 버핏과 멍거는 이런 작업들을 거의 10초 이내에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 능력이 없다면 한 달이 걸리건, 일주일이 걸리건, 하루가 걸리건 비록 대가인 그들에 비해 시간은 훨씬 더 걸릴지라도 그 능력을 따라가기 위해 노력이라도 해야 한다.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 그래서 투자가 쉬우면서도 어렵다.”

“가끔은 제가 살펴보고 있는 기업에 대해 찰리에게 물어보곤 합니다. 그는 처음 보는 기업인데도, 거의 10초 안에 끝냅니다. 머릿속에서 그렇게 빨리 처리하는 모습에 놀랐습니다. 제가 몇 주 동안 살펴보고 있던 기업이었는데, 그는 바로 제가 이해하지 못한 것을 찾아냈습니다.”
– 모니시 파브라이

1년 전 TSMC 10초 간단 내재가치를 계산한 결과 저평가로 나왔었다. TSMC야 워낙 좋은 기업(이것 역시 좋은 기업에 대한 자기만의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이니까 가격이 내재가치에 비해 싼지 비싼지만 파악하면 됐었는데.. 그 후 1년 동안 무려 67% 가까이 상승했다.

TSMC 가격

(야후파이낸스)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비트하는 좋은 실적이 이런 주가 상승을 가져왔다.

TSMC 목표주가

(야후파이낸스)

전문가들은 향후 5년 동안 20% 이상의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변수가 존재하고 있지만 TSMC의 독점력과 AI시대의 역할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엊그제 나온 최근 분기 실적도 좋았다.

“타이베이, 7월 18일(로이터) – 세계 최대의 계약 칩 제조업체 인 대만의 TSMC 2330.TW 는 목요일에 인공지능에 사용되는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연간 매출 예측치를 상향 조정했다. 2024년 매출 예측을 미국 달러 기준으로 20% 중반 이상으로 약간 증가할 것으로 상향 조정” 그리고 CEO는 이렇게 말했다. “AI는 매우 인기가 많습니다. 지금 모든 사람, 저의 고객 모두가 자사 기기에 AI 기능을 넣고 싶어합니다. 우리는 지금부터 내년, 그리고 2026년까지 고객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매우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TSMC 성장률

(야후파이낸스)

향후 5년 동안 전문가들이 예상한 성장을 달성한다고 가정하고 TSMC 10초 간단 내재가치 계산을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현재 이익이 아닌 과거 5년 평균을 기준으로 계산하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TSMC 내재가치

그리고 현재 이익을 기준으로 계산하니 10초 만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 대략 이 범위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좋은가? 좋다. 싼가? 비싼가? 투자자라면 이 질문에 스스로 답을 해야 한다. 매수 매도는 그 다음이다.

2024 TSMC 내재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