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쓴 책의 목적 중 하나는 나같은 평범한 일반인들이 어설프게 버핏을 따라하면 절대로 안된다는 이야기를 세상 사람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어서였다. 아무런 생각없이 그냥 버핏에 관한 뉴스를 보거나 버핏을 다룬 책을 읽고나서 모두가 버핏처럼 따라하기만 하면 버핏처럼 백만장자, 억만장자, 그리고 조만장자가 될 것처럼 생각한다. 블로그에 했던 이야기 또하는 것처럼 책에서 이미 다 했던 이야기를 또 하고 싶진 않고…사실 요즘 이것때문에 블로그에 뜸하게 글을 올리게 된다. 이미 다 했던 이야기의 반복..
과거에 내가 쓴 글 하나가(역시 버핏과 멍거에 대한 글이다) 좋아 그 글을 곱씹으려고 자주 블로그에 들어온다는 댓글에 기분 좋아져 아주 짧게 답글을 달다가 뭐라도 투자 공부에 도움이 될까 싶어서 댓글로 1972년 즈음 버핏의 워싱턴포스트 매수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당시 한화 122억원으로 약 10% 내외 지분을 매수(이후 버핏은 WP 이사회에 정말 들어가고 싶었지만 캐서린 그레이엄이 전혀 눈치채질 못해서 미디어계에 있던 친구 톰 머피에게 대신 말해달라고 부탁해서 결국 이사회에 들어갔다..ㅋ)하고 무려 40년 동안 가지고 있다가 2013년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가 워싱턴포스트를 인수할 때 1조가 넘는 금액을 회수했으니 수익률로 9000%가 넘는 수익률이다. CAGR 12% 정도로 버크셔 60년 평균 CAGR 20%와 비교하면 보잘것 없어 보이지만…그건 버핏 이야기고 나같은 일반인이 보기엔 결코 나쁘지 않은 수익률이다. 댓글에서 언급했듯 배당은 계산에서 빠졌다.
물론 12%가 쉬워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럼 40년은 쉬워 보이는가? 투자금 100억이 넘는 돈은 말하지도 않겠다. 사실 이게 가장 어려운 일이다. 책에서도 강조했지만 버핏은 11살에 2백만원(이하 모두 현재가치)이 넘는 돈을 이미 모았고 19살에 1억이 넘는 돈을 모았으며 26살에 18억이 넘는 돈을 가지고 자신의 펀드를 시작했다. 30살에 90억을 넘겼고 초기 펀드를 마감한 39살에 1,700억원 가까운 돈을 모았다. 이 당시 버핏이 어떻게 한 해도 마이너스 없이 펀드를 운용했는지는 책에서 자세히 이야기했었다. 여기까지가 가치투자 1.0에 관한 이야기다.

버핏이 투자했던 씨즈캔디와 함께 워싱턴포스트를 공부해 보면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투자 1.0에서 버핏이 어떻게 가치투자 2.0으로 진화할 수 있었는지를 리버스엔지니어링 할 수 있다. 가치투자 1.0에서는 절대로 한 기업을 40년 동안 가져갈 수가 없다. 특히 워싱턴 포스트는 버핏이 정답을 가르쳐 주고 있는 사례로 버핏이 매수할 당시 시가총액이 1억 달러 내외였지만 당시 워싱턴포스트 내재가치가 4~5억 달러 정도였다고 자신의 답을 이미 만천하에 공개했었다. 일반적으로 내재가치의 1/2 가격도 혹할만한 데 버핏말대로라면 워싱턴포스트는 내재가치 1/4 가격이었으니 버핏이 눈돌아갈만했겠다.
“우리의 워싱턴포스트 보유 지분은 1973년 중반 주당 기업 가치의 4분의 1 이하로 모두 매입한 것입니다. 기업 가치 대비 주가 배수를 계산하는 데는 특별한 통찰력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증권 애널리스트들, 미디어 담당 브로커들, 미디어 경영진들도 워싱턴포스트의 내재가치를 우리처럼 4~5억 달러로 추정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시가총액 1억 달러는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매일 발표되고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가진 우위는 태도였습니다. 우리는 벤저민 그레이엄으로부터 ‘좋은 기업의 주식을 기업 가치보다 크게 할인되어 거래될 때 매수하는 것’이 투자 성공의 열쇠라고 배웠습니다.”
– 워런 버핏
이렇게 버핏의 답을 알고 있는 문제가 있다면 버핏을 따라 투자하려고 마음먹은 투자자라면 이 문제를 스스로 풀어 보고 자신의 답을 버핏의 답과 비교하는 작업을 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다 보면 책에서 배우지 못하는 많은 걸 배울 수 있다…하지만 이미 댓글에서 언급한대로 이 문제를 스스로 풀어 본, 혹은 지금 이 글을 읽고도 스스로 이 문제를 풀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이 문제를 풀어 보려 마음을 먹었더라도 곳곳에 장애물(영어 같은 언어뿐만 아니라…)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버핏이 산수 정도만 알면 투자할 수 있다고 장담했지만 투자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투자 언어인 회계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재무제표를 읽고 그 의미를 알 정도 수준은 돼야 한다. 사실 이 부분은 생각보다 큰 장애물이다.
예전에 내가 이 문제를 고민했을 때 검색해 보니 이 문제를 스스로 풀고 공개한 해외 블로거의 글 2개 정도를 봤었는데…단순히 고든 모형에 할인률을 1972년 당시 10년 국채이자율로, 성장률을 단순히 GDP성장률로 계산(당시 WP순이익 10만 달러 / (국채이자율 – GDP성장률) = 4억 달러 내외의 내재가치)하는 게 내가 생각한 버핏의 밸류에이션과는 거리가 먼, 그저 버핏의 공개된 답에 맞춘것 같은 방법으로 보였지만 그래도 이 문제를 고민했다는 것과 함께 풀어 보려는 시도 자체, 그리고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자신이 생각한 방법을 웹에 공개한 것을 높이 평가했었다. 하지만 계산방법은 틀렸다..^^
버핏이 자신의 풀이 과정을 공개하지 않고 답만 공개했기 때문에 어떤 방법이 버핏이 사용하는 방법인지는 알 수 없다. 앞으로도 절대로 자신의 방법을 공개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내가 스스로 결론에 이른 과정이 정확하다고 할 수도 없는 문제다. 하지만 이 문제를 붙들고 홀로 답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통해 버핏이 구사했던 가치투자 2.0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되고 투자에서도 성장을 하게 될 것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투자책 100권 읽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 장담할 수 있다. 이 문제를 물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AI에게 물어봐야 뻔하디 뻔한 답만 알려줄 게 거의 확실하다. 그러니 AI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반드시 자료들을 찾아 스스로 풀어 보시라.
버핏은 결국 우리가 투자 공부를 하는 목적은 X의 가치를 알기 위해서라고 했다. X(이를테면 워싱턴포스트)의 가치(정확한 답이 아니라 일종의 범위, 위에 인용한 버핏도 4~5억 달러라고 했다)를 알기 위해 조사하는 것이고, 난 블로그에 내재가치 계산기를 만들어서 공개하고 있는 것이다. 남에게 ‘그래서 뭘 사요?’를 물어 볼 게 아니라 ‘이건 얼마짜리인가?’ 를 스스로에게 물어야 하고 또 그 답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누군가가 나에게 물어봐서 X의 가치를 찾는 게 아니라 스스로 가치를 찾아 볼 X를 찾아야 한다. 피터 린치는 자기 주변에서 먼저 X를 찾아보라 했다. 버핏 정도 되면 알아서 X가 찾아 오니 그것의 가치만 알면 된다. 그러니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열심히 조사할 X를 먼저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것의 가치는 얼마일까를 스스로 알아내야 한다.
구글의 가치는 얼마일까? 삼성전자의 가치는 얼마일까? 가재를 잡기 위해 돌멩이 하나하나를 뒤집듯 투자는 그런 것이다. 지적 노가다. 매일매일 자기 스스로 풀어야 할 문제를 출제해야 한다(버핏은 과거 자신을 인터뷰한 그 수많은 기자들 중 누구도 버크셔의 가치에 대해 궁금해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저 기사를 쓰고 난 뒤 어디에 투자해야 하지?만 찾았다고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런 해답, 즉 X의 가치를 찾아야 하고 그게 재밌어야 한다. 그게 재밌는 사람이 세상에 몇이나 될까? 잠시는 재밌겠지만 70년이 넘는 세월동안 그게 재밌을 사람이 있을까? 심지어 탭댄스를 추면서 출근한다라…매일 7시간이 넘는 시간을 사업보고서와 책을 읽으면서 가치를 찾을 수나 있을까? 그래서 버핏이 대단한 사람이다.
짧은 댓글 하나로 차마 다하지 못한 이야기를 쓰다 보니 또 주저리 주저리 길어졌다. 해가 갈수록 말만 많아지는거 같아 걱정이다..ㅋ 난 절대로 버핏처럼 못한다. 머리가 나빠 그걸 깨닫는 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추가) 언젠가 얘기했듯 세상엔 자신만이 아는 비법을 알려주지 못해 안날난 사람으로 가득하다. 밸류에이션에 비법은 없다. 그러니 굳이 알리려 할 필요도 없고. 문제만 제대로 알아도 이미 답에 거의 가까이 간 셈이다. 대부분은 뭐가 문제인지도 모르고 문제를 알아도 스스로 풀 생각을 안한다. 버핏이 말한 자신을 취재했던 기자들처럼.
블로그에 들어왔더니 어제부터 이상한 광고하나가 블로그 상단에 떠~억하니 자리잡고 있는 게 너무 보기 싫어서 없애느라 한참을 고민했다. 자동 광고로 구글에게 맡겨놨더니 이렇게 안하던 짓을 하고 있다. 거기는 절대로 그런 길쭉한 광고가 붙을 자리가 아닌데 오로지 노출 극대화를 추구하는 AI 알고리즘은 그런 디자인을 하나도 신경쓰지 않는다. 그래서 난 AI가 불편하다. 방금 AI 하나에 WP 내재가치를 물어봤더니…끌끌. 넌 계속 그 상태로 있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