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평균 체류시간 2분 넘김

어제 기록으로 내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이 2분 50초가 됐다. 블로그 운영에서 또 하나의 의미있는 마일스톤인지라 짧게 기록을 남긴다. 항상 체류시간이 2분 미만이라 내 목표 중 하나가 2분을 넘기는 거라고 말했었는데 8월에 글을 좀 열심히 올렸더니 가볍게 넘었다. 체류시간이 글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중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단기 목표로 언급했었다.

그렇다면 이제 3분을 목표로 해야 하나? 그럴 생각이 없다. 그냥 가볍게 생각했던 목표였기에 그걸 3분으로 늘렸다가 또 3분을 넘어가면 5분으로 늘리고… 한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이 넓은 인터넷에서 오다 가다 이렇게 만나 잠시 머물다 가는 것도 인연이겠지,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를 재는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집을 나서면 거리 곳곳에 있는 CCTV를 통해 내 행동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기록되는 것처럼 인터넷에서 활동은 거의 모든 게 측정되고 기록된다.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고 클릭했는지, 어떤 사이트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좋아요를 누른 글들은 어떤 종류의 글인지, 이웃이나 친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심지어 정치성향이나 종교까지도 마음만 먹으면 모두 알 수 있다. SNS 활동 기록만으로도 자신조차 몰랐던 자신의 성향을 샅샅이 알아낼 수 있다고도 한다. 조지 오웰이 말한 빅브라더가 더이상 먼 미래의 일도 아니다.

내 블로그는 현재 하루 평균 20명 정도가 방문하는 아주 작은 블로그다. 20명이 평균 3분을 머문다고 하면 60분의 시간이다. 누군가에게 그토록 소중한 60분이라는 시간이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고 있단 말이 된다. 그러므로 무작정 내 블로그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늘리는 데 목표를 두기보단 남들의 그 소중한 시간 가치만큼 의미있는 글을 쓰고 있는지를 먼저 되돌아 봐야 한다. 이제 100개 조금 넘는 글을 올린 내 입장에서 질을 논하는 것도 좀 그렇긴 하지만 지나치게 양을 추구하다보면 질이 훼손되기 때문에 당연히 양과 질 두 가지 모두를 추구해야 하지만 둘 중 우선은 질이다.

양은 재미에서 나오고 질은 경험에서 나온다. 글의 양이 많아지면 재미있다는 반증이고 질 높은 글이 올라오면 직간접 경험을 통해 사고의 깊이가 깊어졌다는 반증이다. 남이 머무르는 시간에 집중하지 말고 내 사고의 깊이에 신경써야 한다.

이제 워드프레스 글쓰기 창이 더이상 낯설지 않다. 하지만 익숙함이 마냥 좋은 것도 아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비용은 1년에 얼마일까?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들고 운영한지 1년이 훌쩍 넘었다. 이제야 블로그가 조금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다. 한동안 바쁜 일이 있어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가 다시 조금씩 마음대로 수정하면서 하나씩 고쳐 나가고 있다. 엊그제는 모바일로 접속했을 때 속도가 느린 것 같아 플러그인을 하나 설치하고 세부적인 설정을 수정하느라 시간을 보냈다. 체감상 조금 빨라진 것 같은데 큰 차이를 느낄 정도는 아니다. 이런 수고에도 불구하고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지 않고 이렇게 독립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역시 자유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럼 자유도가 높은 워드프레스 블로그 비용은 1년에 얼마일까? 자유에 대한 댓가는 얼마일까?

독립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은 크게 도메인 비용과 서버 비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 경우 둘 다 합해봐야 1년에 2만원이 들지 않는다. 물론 아직 내 블로그가 트래픽이 높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트래픽이 높아지면 당연히 서버 비용도 높아진다. 카페24에서 가장 초기 비용으로만 설정해도 처음엔 충분하다. 비싼 비용을 지불하면서 해외 서버를 이용하는 이유도 있겠지만 아직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 외 유료 플러그인을 구매해서 사용한다면 비용들이 추가될 수도 있겠지만 난 지금 현재 유료 플러그인 없이 무료로만 운영하고 있다. 구매하고 싶은 플러그인이 생기면 구매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진 그렇게 사고 싶은 플러그인을 발견하지 못했다.

빗방울

(시원한 소나기가 왔다)

현재 수입은 전적으로 블로그 이곳 저곳에 올려 놓은(그것도 광고차단기 때문에 블로그 방문자의 눈에는 거의 안보이겠지만) 구글 광고뿐이라서 구글 광고 수입이 2만원 이상 들어온다면 블로그를 운영하는 비용은 제로가 된다. 누구는 한 달에 구글 광고로만 100만 원 이상 수입이 들어 온다고 자랑하지만 그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의 시간과 노력을 갈아 넣어야 한다. 난 그러고 싶지 않다고 일전에도 이야기했었다.

그 외 들어가는 것은 오직 내 시간뿐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블로그에 글 한 편을 올리기 위해서는 꽤 시간이 걸린다. 그 피같은 시간과 적은 금액이지만 비용을 지불해 가며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만족감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행동은 효용과 비용간 끊임없는 저울질의 결과다. SNS를 떠나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정착했지만 엊그제 다시 방문한 SNS는 원하지 않는 광고들이 과거보다 엄청나게 늘어난 게 보였다. 친구 글 하나를 보기 위해 광고 5개를 봐야 한다니. 거기다가 자유가 없으니, 떠나길 잘했단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가 싶어서 블로그 운영 비용으로 검색해 보니 역시나 특정 서버 추천인 등록을 권하는 글들이 가득하다. SNS만 상업화로 오염된 게 아니라 검색엔진이 보여주는 인터넷 전체가 오염되고 있다. 정보처럼 보이는 상업용 글들이 가득찼다. 더구나 사람이 아닌 AI들이 쓴 글로 넘쳐나고 있으니 사람 냄새를 맡으려면 역시 시간과 노력을 추가로 들여야 하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내 블로그는 사람 냄새 나는 블로그가 되려고 노력 중이다. 언제까지 될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AI를 이용한 블로그 자동화

ChatGPT 같은 AI 툴이 나오자 마자 이것 저것 호기심을 가지고 사용해 봤다. 그림도 그려 보고, 검색을 대신해서 질문을 해 보고 AI가 쏟아 내는 답변에 놀라워 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특히 내 관심을 끈 분야는 AI를 이용한 블로그 자동화, AI를 이용한 퀀트 투자 같은 자동화 분야였다. 인간을 대신해 AI가 일을 하고 인간은 그 수익을 챙기는 그림이 머릿속에 그려 졌다.

인간대신 일하는 AI

그리고 블로그 자동화를 위해 여러 가지 테스트도 해 보고, 실험도 해 봤다. 결론은 시기상조. 퀀트 투자도 아직은 때가 아니다 정도의 결론을 내렸다. 물론 그 사이 기술도 발전했으니 너무 섣부른 결론아닌가 싶은 의심도 들지만 블로그 자동화로 올렸을 법한 글들을 읽다 보면 내 생각이 아직까지 맞은 것 같다. 자동화로 AI가 쓴 글들은 보자마자 티가 난다. 솔직히 별로 읽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요즘은 신문의 기사나 칼럼들도 AI의 도움을 받아 쓴 티가 너무 많이 나는 글들도 자주 보인다.

돈을 벌 목적으로 블로그를 쓰고 있다면 당연히 혹 할 것이다. 나를 대신해 글을 써서 올리고 자동으로 수익이 생긴다면 누가 마다할 것인가? 얼른 배워서 실행해야지 싶은 마음도 들 것이다. 인터넷이 또 블로그들이 이런 식으로 AI가 자동 생산한 글로 가득찬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해 진다. 이런 내 생각처럼 항간에는 AI가 나오기 전 시기의 인터넷만 대상으로 검색하는 엔진도 생겼다고 한다. 항상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기 마련이다.

언젠가 얘기했듯 블로그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남들과 같은 방식을 해선 곤란하다. 또한 검색엔진의 상위에 표시되기 위해 SEO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 한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들을 잘 공략해서 준비된 글만 써야 한다. 검색엔진에게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한 포인트들을 잘 챙겨서 글을 써야 한다. 다 알지만 난 그런 길을 포기했다. 그냥 이 광대한 인터넷 한 구석에 그냥 내 일상과 생각을 쓰면서 아주 우연히 이곳에 들어 와 내 생각을 읽은 아주 소수의 사람들과 공감을 나누는 것으로 충분히 만족하기로 마음먹었다.

일론 머스크가 워런 버핏을 보고 이렇게 말했었다. “솔직히 나는 워런 버핏의 열렬한 팬이 아닙니다. 그는 거기 앉아서 이 모든 연례 보고서를 읽습니다. 정말 지루합니다. 그 직업을 원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그런 직업을 원하지 않습니다.”

AI를 이용한 블로그 자동화 역시 내 눈에는 일론 머스크가 버핏을 바라보는 시각과 대동소이하다. 정말 지루하고 재미없는 일이다. 나는 그런 블로그를 원하지 않는다.

추가)
구글이 더 이상 모든 웹 콘텐츠를 인덱싱하지 않고 매우 선택적으로 인덱싱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 같다는 질문을 던지는 글. 글쓴이는 사람이 작성한 텍스트와 구별할 수 없는 AI 생성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구글이 이런 방식을 취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서 콘텐츠의 독창성, 브랜드 인지도 등이 더욱 더 중요해 졌다고 이야기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