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개로 나만보기

예전 SNS를 사용할 때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 어느 시점이 지나서 비공개로 나만보기 글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1년 뒤에 볼 생각으로 기억해야 할 것들이나 중요한 순간을 마치 스냅샷을 찍듯 적어 놓고 잊어버리면 매년 그 글을 볼 수 있었다. 잊기위해 기록했던 날들이었다. 투자란 게 데이트레이더가 아닌 한 시간지평이 꽤 긴 작업이기 때문에 1년 뒤, 2년 뒤 다시 볼 수 있는 이런 기능들은 꽤 유용했다. 그래서 블로그에도 같은 기능을 찾아 설치했고.

빛이 그린 그림

나만보기로 올려뒀던 2년 전 오늘, 새벽에 빛이 그린 그림이다. 모처럼 SNS에 들러 과거글을 훑고 타임라인을 봤더니 친구들 글은 온데간데없고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광고글만 가득하다. 내가 전혀 모르는 추천하는 사람들의 글 사이사이로 광고가 떠있고 이런 글 10개를 넘게 내리고 나니 친구글 하나를 볼 수 있다. 몇 안되는 친구들이지만 글 올리는 빈도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다. 다들 잘 살고 계시겠지..^^

아침 빛이 그린 그림

같은 날 아침에 빛이 그린 그림이다. 오늘 눈발이 날린 흐린 날이었지만 사진을 보니 이맘때 아침 햇살이 좋았던 기억이 되살아난다. 내일은 3월에 걸맞게(그런게 있긴 하나?!) 빛들이 마음껏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맑은 날이 됐으면 싶다.

그나저나 연로하신 버핏옹께서 트럼프의 관세에 대해 드디어 한 말씀 하셨나보다. “시간이 가면 관세는 상품에 매기는 세금이 된다. 이빨 요정은 (세금을) 내지 않는다. 경제에서는 항상 ‘그리고 나면 어떻게 되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트럼프의 행위는 모두 ‘그리고 나면 어떻게 되지’를 생각하지 않는것처럼 보인다. 일단 지르고 나면 누군가 어떻게 되겠지.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다른 암호화폐까지 비축자산으로 하겠다는 발언은 어떻게 되겠지의 절정이다. 발표 전에 미리 크게 뛰었다는 글들도 보이고…뭐 자신도 이미 밈코인을 발행했으니.

블로그에 비공개로 나만보기 글을 남기면 그야말로 일기가 된다. 일기는 간간이 노트에 적고 있어 자칫 중복이 되기도 한다. 아무래도 일기보단 과거 SNS를 이용한 방식대로 1년 뒤, 2년 뒤에 볼 스냅샷들을 나만보기 글로 남겨둘까싶다.

달 사진

핸드폰으로 달 사진을 찍어 봤다. 가끔 하늘을 쳐다 보는지라 따로 챙기지 않아도 보름 즈음을 알게 된다. 슈퍼문이라고 했던 날이었던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다. 안하던 짓 하느라 손각대로 좀 흔들렸다. 이게 말로만 듣던 달고리즘인지도 모르겠다.

슈퍼문


사진을 보면 새까맣게 달 주위로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었지만 그래도 난 구름이 달과 함께 있는 모습이 더 좋다. 이렇게 구름이 달을 가리기도 하고 또 달 빛이 구름을 빛나게도 하고.

구름 속 달


이리 달 사진을 찍었지만 사실 요즘은 달보단 일출 사진 찍기 좋은 나날이다. 새벽마다 눈을 뜰 때면 예쁜 하늘보면서 습관처럼 한 장 씩 찍고 있다. 끝날 것 같지 않은 어둠도 결국 지나간다. 일출 직전 여명의 색이 좋은데 난 아침 역시 구름없이 깨끗한 하늘보다 이렇게 구름 낀 하늘이 더 좋다. 그럴때면 항상 삶도 그럴거란 생각을 한다.

여명의 아침


결국 어둠과 구름은 걷히고 해는 뜬다. 모두에게 똑같이.
오늘 하루도 건강히~

“내 기척에 엄마가 돌아보고는 가만히 웃으며 내 빰을 손바닥으로 쓸었어. 뒷머리도, 어깨도, 등도 이어서 쓰다듬었어. 뻐근한 사랑이 살갗을 타고 스며들었던 걸 기억해. 골수에 사무치고 심장이 오그라드는…… 그때 알았어. 사랑이 얼마나 무서운 고통인지.”
–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

책을 읽고 처음으로 접은 부분이다. 곧이어 읽은 작가의 말.

“몇 년 전 누군가 ‘다음에 무엇을 쓸 것이냐’고 물었을 때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를 바란다고 대답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금의 내 마음도 같다. 이것이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를 빈다.”

책을 덮으면서 이 책을 외국어로 번역한 사람은 정말 힘들었겠단 생각을 했고, 오늘 기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한 사람의 인터뷰를 봤다. 프랑스어는 주어가 있어야 해서 주어 없이 ‘작별하지 않는다’가 성립하지 않아 ‘불가능한 작별’로 책 제목을 번역했다고 했다. 어디 제목뿐이랴.

더운 날, 나무 그늘 아래

좋은 곳에 뿌리를 내려 관광객들의 시선과 사랑을 받고 있는 나무.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지만 잘 생긴 나무는 좋은 곳으로 옮겨 만인의 사랑을 받는다. 사람이나 나무나. 이 날도 역시 무척이나 더운 날, 이번 여름은 더운 날의 연속이다. 그나마 나무 그늘 아래로 들어가야 숨 돌릴 여유가 생긴다.

여름나무

여름은 더워야 하고, 겨울은 추워야 한다. 천지불인이라 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