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쿡의 인터뷰

집중력 단순함 그리고 마음을 바꿀 수 있는 능력

주말 아침에 우연히 추천영상으로 뜬 애플 CEO 팀 쿡의 인터뷰 하나를 보게 됐다. 워드프레스에 유튜브 링크 공유하는 걸 한번 시험삼아 해보려고 임베드해 본다. 팀 쿡은 1998년 Apple에 입사했다. Compaq에서 건너왔고 이전에는 IBM에서 근무한 전통 엔지니어 출신이다. 잡스는 1년 전에 애플로 돌아와 파산 위기에서 회사를 되살렸는데 이 때 팀 쿡의 측근 대부분은 안전한(?) 컴팩에 남고 애플로 가지 말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잡스와의 전화 한 통이 그의 마음을 바꾸었다.

“스티브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느낀 것은 그가 매우 다른 종류의 CEO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제품, 제품, 제품에 집중하고 소규모 팀도 놀라운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 비전이 마음에 들었습니다.또한 모두가 기업형 회사로 가는 환경에서 Apple 소비자에게 다시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당시에는 아무도 그렇게 하지 않았으니까요. 모두가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해서는 돈을 벌 수 없다고 생각했죠. 그리고 저는 남들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저는 이 산업 전체를 시작한 창의적인 천재와 함께 일할 수 있는 일생일대의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습니다… 스티브의 눈에서 반짝임을 보았고, 그것은 우리가 이 미국의 보물을 위해 이 전환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쿡은 40만 달러와 계약보너스 50만 달러를 받고 전 세계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SVP)으로 영입되었다. 그는 Apple의 물류 전문가가 됐다(쿡은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면 수천 개의 서로 다른 구성 요소와 부품이 모여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교향곡”이기 때문에 “하나의 예술 작품”과 같다고 말했다).

쿡은 잡스가 자신에게 가르쳐준 주요 교훈은 “집중력, 단순함의 중요성, 마음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었다고 말한다. 멍거는 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합리성(지성), 열정(집중력), 그리고 운”이라고 했고 직업을 결정하는 제 일 조건은 ‘존경하는 사람 밑으로 가라’였다. 팀 쿡은 그렇게 했다.

과거의 관점에 안주하고 있는 당신에게 도전할 수 있는 최고의 사람들로 구성된 소규모 팀이 이끌어 내는 혁신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당신에게 도전하는 토론을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오픈 마인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잡스가 그렇게 했다.

“인생은 잘 세운 계획을 어기게 만드는 법이고,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계획을 실행하는 것이다.”


애플 5년 주가


애플이 과거(19%)에 비해 향후 훨씬 낮은 성장률(10%)이 예상됨에도 PER 36인 이유가 인터뷰에 담겨 있다. 그리고 밤새 버크셔 3분기 보고서가 공개됐다. 코카콜라와 같은 4억 주로 맞췄길래 매도를 멈추려나 했었는데 3분기에도 1억주를 매도해서 이제 3억 주가 됐다. 미래에도 PER 36을 유지하려면 10% 성장률로는 힘들다. 그리고 버크셔 자사주매입도 안했다. 애플이든 버크셔든 가치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사인.

“버크셔는 3분기 동안 애플 보유 주식 등을 포함해 346억 달러(약 47조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버크셔의 3분기 애플 보유 지분 규모는 699억 달러(약 96조원)로, 직전 분기 842억달러(약 116조원) 대비 약 25% 줄었다. 2분기 대비 1억주를 매도해서 현재 보유 애플 지분 규모는 3억주로 줄었다. 이에 따라 버크셔 현금 보유액이 사상 최대인 약 3,252억 달러(약 449조 원)로 늘어났다”

버크셔 보유 현금

“제가 이 일을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제가 하는 일을 사랑했기 때문이라고 확신합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연인과 마찬가지로 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마음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찾으면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훌륭한 관계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좋아집니다. 그러니 찾을 때까지 계속 찾아보세요. 안주하지 마세요.”
– 스티브 잡스, 2005년 스탠포드 졸업식 연설 중

삼성전자는 과연 좋은 기업인가?

추석연휴 시작할 때 그냥 간단한 아이디어 상태에 있었는데 추석연휴 동안에 역시 생각만 하고 있었던 기능들을 조금 더 추가해서 간단한 투자 지도를 업데이트했다. 투자 지도 이야기하면서 6만전자가 된 삼성전자를 언급했었는데 데이터를 잘못 입력해서 틀린 그림을 그렸던 게 마음에 걸려 삼성전자부터 업데이트된 투자 지도에 넣어 봤다. 세계적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는 과연 좋은 기업인가? 새롭게 추가된 기능은 10년 전, 5년 전, 그리고 현재를 한 지도에서 비교해 보는 것이다. 다른 기업과 비교도 좋지만 무엇보다 과거의 나와 비교해 보는 것이 투자에서 필수적이다.

삼성전자 투자지도

투자 지도를 처음 그렸을 때 아마도 국내 기업 대부분은 10%와 10% 사이인 제일 왼쪽 아래칸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삼성전자도 10년 전이나 5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 칸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기업인 삼성전자가 수익률이나 성장률 면에서 모두 S&P500 평균이나 다우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그럼 핸드폰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애플(AAPL)은 어떨까?

애플 투자지도

투자 지도에서 10년 전 애플이 바로 워런 버핏이 투자를 검토할 때 애플이다. 그 1년 후 버핏은 애플을 매수하기 시작했다. 높은 성장률(지금의 테슬라와 비슷한 성장률)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싼 수준이었다. 물론 그 후 우려대로 성장률은 꾸준히 하락했지만 수익률은 오히려 상승하면서 현재는 성장률과 수익률이 뛰어난 11_11 클럽에도 들어있다. 지금의 애플은 11_11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다. 애플이 걸어온 길은 테슬라를 포함한 모든 성장 기업들이 가고 싶어 하는 길이다. 애플은 역시 좋은 기업임에 틀림없다.

이번에는 삼성전자와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대만의 TSMC를 한번 보자.

TSMC 투자지도

업의 특성상 시클리컬하게 성장률은 오르락 거리지만 수익률은 일정하게 10%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비교해서 보니 삼성전자와 수익률 차이가 꽤 커보인다. 성장률과 수익률이 우수한 그룹인 11_11_11과 겹칠 정도로 좋은 위치에 있다. 역시 좋은 기업이다.

투자 지도로 몇 개 기업의 점을 테스트로 찍어 보면서 제일 인상적인 기업은 바로 엔비디아(NVDA)였다. 다른 기업들을 그야말로 압살하는 궤적이었다. 5년 전 지금의 구글 옆에 있었을 때가 PER 20근방으로 PEG 1 수준이었다. 투자지도를 그리면서 10년전 지금의 삼성전자 위치에 있었던 그저그런 기업에서 5년전 엔비디아로 퀀텀 점프했을 때, 바로 그때 이 기업을 알아채지 못했음이 아쉬웠다. 하지만 그때라도 지금의 엔비디아 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보면 확신할 수 없다. 지금 엔비디아처럼 이렇게 TSLA에서 FTNT를 거쳐 MA로 떨어지는 무형의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은 능력과 운과 시대정신이 맞물린 그야말로 초초초 대박 사건이다.

엔비디아 투자지도

하지만 지금의 위치를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 해도 5년전 위치의 엔비디아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아쉽다. 지금처럼 이렇게 높은 수익률과 성장률은 곧 치열한 경쟁을 불러들일 것이다. 그것을 얼마나 지켜낼 수 있을지는 오롯이 엔비디아의 해자에 달려있다.

또 하나 인상적인 기업은 비자카드. 옆에 있는 마스터카드와 비교하려고 한번 넣어봤더니 이런 행보를 보인다. 일정한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수익률을 계속해서 올려가고 있다.

비자 투자지도

지금까지 내가 써보고 경험했던 국내외 그 어떤 재무제표 분석 서비스에서도 이런 종류의 그림들을 본 적이 없다. 과거 재무제표 숫자들을 표로 제공하긴 하지만 이렇게 시각적으로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것은 못봤다. 그럼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이렇게 세세한 기능이 담긴 그림까지 다 공개해도 될까? 수익률과 성장률을 정확하게 어떤 지표를 사용하는지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투자지도 개념을 차용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본다(출처: buddy.pe.kr 만 남겨주시면^^). 수익률과 성장률도 대부분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허나 간단하지만 쉽지도 않다. 그리고 이 그림 역시 간단 내재가치 계산기처럼 입력하면 10초 이내에 결과가 나온다. 속력보다 방향이라지만 역시 속력도 중요하다~

추가) 과거 기업분석 사례로도 언급했었던 삼양식품 투자 지도는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서 한번 추가해봤다. 대략 5년전 삼양식품이 내가 분석 사례로 분석했을 즈음이다. 10년 전 성장률 -0.54%였던 기업이 환골탈퇴했다. 5년 뒤 삼양식품은 어디에 있을까?

삼양식품 투자지도

버핏의 애플 AAPL 매도

주말에 한가로이 뉴스를 보고 있는데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뉴스가 눈에 들어왔다. 버핏의 애플 AAPL 매도 뉴스다. 지난 분기엔 조금만 매도했었는데 이번엔 보유 주식의 거의 절반을 매도했다. 애플의 내재가치를 계산해 보면 이번 매도가 조금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토요일에 발표된 회사의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2분기에 애플의 지분을 1분기 7억 8,900만 주에서 약 4억 주로 50% 가까이 줄였습니다. 버크셔는 현재 Apple의 지분 약 2.6%를 보유하고 있으며 금요일 종가인 219.86달러를 기준으로 약 880억 달러의 가치가 있습니다. Apple 지분의 감소는 놀라운 일은 아니었지만 그 규모는 예상치 못한 것이었습니다.”
(출처: 배런스)

버크셔 해서웨이 애플 보유 주식수

“버크셔의 현금은 880억 달러나 증가했는데, 이 중 대부분은 애플 매각 수익금이었습니다. 또한 회사는 자체 운영에서도 상당한 현금을 창출했으며, 버크셔는 2분기에 116억 달러의 영업 이익을 보고했는데,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1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현금

AI 버블로 인해 가치보다 가격이 더 높이 올라간 애플을 매도해서 현금 비중이 최고로 높아진 버핏이 추가로 주식을 매수할 지, 아니면 높은 가격의 시장을 그저 바라만 보고 있을지 궁금해지는 순간이다. 참고로 버핏은 올해 초에 회사가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버크셔의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가 거의 없으며 다른 곳에서는 “기본적으로 후보가 없다”며 “상황이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했었다.

애플 AAPL 매출액 증가율

“애플 주식을 매수해야 할까?” 라는 제목의 오늘자 The Motley Fool 기사도 보인다. 그럼 내 10초 내재가치 계산으로는 어떨까. 역시 예상대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