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축하메일

네이버는 이웃 페이스북은 친구 내 블로그는 독자

아침에 메일함에 “축하드립니다”로 시작하는 축하메일 하나가 들어와 있어 클릭했더니 이런 내용이다. 지난 28일 동안 구글 검색을 통해 무려(?) 150회의 클릭이 내 블로그로 들어 왔다. 대충 30으로 나누면 하루에 5명 내외의 사람들이 구글 검색을 통해 블로그로 들어오고 있다는 얘기다. CTR이 대략 4.3% 정도 수준이니 내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28일 동안 3,488회 정도 노출된 걸로 추측된다. 노출은 키워드 순서대로 나열이 되니 현재 키워드 평균 순위 10위권 내외인 내 블로그의 영향력으로 봤을 때 향후 검색 1페이지 안으로 들어가는 키워드가 늘면 노출수와 CTR이 늘 것이고 트래픽도 따라 증가할 것이다. 그러면 모든 블로거들이 바라는 광고 수익도 늘어난다. 물론 난 그렇게 열심히 할 생각은 없다..ㅎ

구글 축하메일

검색엔진 사용자 수로 비교하면 당연히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구글보다 훨씬 많아야 정상이지만 네이버를 통한 노출과 클릭은 구글에 비해 형편없는 수준(확인해 보니 딱 1/5인 30 클릭)이다. CTR만 거의 비슷한 정도. 아무래도 자사 블로그나 카페를 우대하는 정책때문으로 생각되는데 국내에서 트래픽을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네이버 블로그부터 만드는 게 쉽고 편하고 돈도 안들고 트래픽을 끌어 모으는데도 효과적일거다. 물론 그렇게 다 만들어진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이런 저런 단점들도 있다. 언젠가 말했지만 난 아파트 같은 그런 곳이 싫어 이렇게 단독 주택을 지었다. 단독 주택에 살면서 트래픽이 적고 사람들이 없어 적적하다고 징징대는 것도 웃긴 일이고 단독 주택 앞으로 고속도로를 깔겠다고 설쳐대는 것도 허망한 일이다.

며칠 전 운전면허 적성검사를 하고 운전면허증을 새로 발급받았다. 올해 대략 10명 당 1명 수준으로 적성검사를 받아야 해서 아마도 연말쯤엔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기사를 본 것 같다. 대략 489만명. 요즘 MZ세대는 운전면허를 따지 않는다는 기사도 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근처에 면허시험장이 있어 갔더니 널널했다. 여권 사진과 동일한 3.5×4.5 규격의 사진 2 매(안가져가도 1만원에 바로 찍을 수도 있었다)와 기존 운전면허증만 가져가면 30~60분 이내에 새 운전면허증을 받을 수 있었다. 이번엔 모바일면허증도 되는 것으로 해서 핸드폰에도 넣어뒀다. 65세 이상은 5년 단위로 75세 이상은 3년 단위로 갱신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도 어디 갈 때 아이들에게 운전을 맡기는 나는 더 빨리 운전대를 놓지 않을까 싶다. 아직 요원해 보이지만 자율주행이 대세가 될지도.

이 짧은 경험을, 트래픽을 목적으로 블로그 글로 작성한다면 전혀 다른 글이 된다. 소제목을 달고 키워드 선정을 하고 적당한 사진을 미리 찍어 두거나 다른 곳에서 가져오고 스토리 라인을 만들고 2,000자 이상의 길이로 글을 작성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받는 방법을 포함해서 각각의 비용도 자세히 정리해야 하고 에피소드도 적당히 집어 넣고 고령자 치매검사에 대한 안내도 상세하게 집어 넣어야 한다. 각종 정보 소스로 넘어갈 수 있는 링크도 꼼꼼하게 연결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러면 일이 되고 스트레스가 된다. 트래픽이나 돈이, 혹은 명성이 목적이 되면 오래하지 못한다. 늘 얘기했던 점수판만 바라보며 플레이하는 농구선수가 되는 것이다.

돌아보니 네이버 블로그엔 ‘이웃’이나 ‘서로이웃’이 있고 페이스북엔 ‘친구’가 있다. 따지고 보니 내 블로그엔 구독자가 있었다. 전체 방문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지만 페이지뷰는 훨씬 높다. 비록 얼마 안되는 독자지만 그들을 위한 글을 따로 써봐야겠단 생각이 이 글을 쓰다 문득 들었다. 내 블로그엔 “독자”가 있다..^^

구글 검색 실적

메일함에 축하 메일이 들어와 있어 뭔가 하고 보니 구글 검색 실적, 최근 28일 동안 구글에서 검색 클릭이 50회 기록했다는 축하글이다. 내 블로그에 구글 검색을 통해 한 달에 50명 정도가 클릭해서 들어왔다는 얘기다. CTR을 확인해 보니 4.8%(네이버는 7.4%로 조금 더 높다)라고 나온다. 평균 클릭률 CTR은 클릭으로 이어진 노출수의 비율이라고 한다. 그럼 전체 노출수를 계산해 볼 수 있다. 50/4.8% 하니 1,041.66이다. 내 블로그가 구글에서 한 달에 1,000 조금 넘게 노출된다는 얘기다. 구글 검색에서 평균 게재순위를 확인해 보니 15.8번째다. 50번이라도 클릭해서 들어오는 게 기적이다~

구글 검색 실적

이런 숫자들을 확인하고 나면, 이제 어떻게 하면 저 15번째 게재순위를 끌어올릴까에 대해 고민하고 어떻게 하면 CTR을 높일까, 제목은 어떻게 쓰고 키워드는 어떻게 하고…같은 일들을 해야겠지만 난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게재순위가 30위 이하로 떨어져도 내 인생에 달라질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가 재미있으면 블로그를 계속하고, 재미없으면 그만 둔다. 남들이 얼마나 들어오든, 구글 검색 게재순위가 어디까지 올라가든, 블로그에 파워가 얼마나 생기든 내 관심사가 아니다.

그나마 블로그에서 내가 관심있어 하는 숫자는 체류시간이다. 현재 내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은 1분50초 내외다. 이걸 2분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재밌는 일일 것 같다. 물론 아직 블로그에 올린 글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더 낮아질 수도 있겠지만 계속 글이 쌓이다 보면 차차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내 블로그에 우연히라도 들어온 사람이 글 한 편을 재밌게 읽고 링크로 연결된 또 다른 글을 하나 더 읽으면서 조금이라도 오래 블로그에 머물면서 찰나의 겨를을 즐겼으면 좋겠다. 글 하나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다면 더할 나위 없고. 인사이트야 말로 구글 검색으로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구글로고

구글에 들어가니 태극기를 달았다. 광복절 아침인지라 신채호 선생님의 말로 끝낼려고 한다. 최근 돌아가는 일들이 심히 걱정되기도 하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