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 블로그를 대하는 나의 질문

봉준호 감독의 인터뷰에서 AI가 생각하지 못하는 시나리오가 뭔지를 고민한다는 걸 들었다. “나도 살아남기 위해 AI가 절대 쓸 수 없는 시나리오를 어떻게 쓸까 매일밤 고민하고 있다” AI 시대에는 좋은 질문의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블로그를 대하는 나의 질문은 무엇일까를 종종 생각해 본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제목과 내용으로 트래픽을 끌어 모아 광고수익을 극대화하는 게 목표가 된다면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을까?’가 질문이 될 것이다. AI에게 자극적인 제목으로 수정을 요구할 수도 있고 잘 먹히는 키워드를 뽑아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 아예 그런 글을 작성해 달라고 자동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난 SNS 활동을 했을 때도 마찬가지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도 사람 냄새 나는 공간이 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무작정 AI에게 맡길 순 없었다. 완전히 오픈할 수는 없겠지만 나의 생각이나 느낌을 비교적 가감없이 남겨두려 노력했다. 물론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보단 나 스스로를 위해서다. 내 글의 제 1 독자는 나다. 글을 쓰면서 생각이 정리되는 효과를 누구보다 내가 느꼈고, 기록해둔 글의 힘을 스스로 체감했기 때문이다.

오늘 저 멀리 영국의 한 블로거가 쓴 글을 읽었는데 자신은 트래픽이 제일 많은 글을 따지기 보단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바꾼 글이 있는가’를 염두에 둔다고 했다. 내가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 질문이다. 난 나의 생각을 남기기에도 바쁜 사람이었기에..

“사람들이 경쟁하면 누군가는 지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혼자만 있는 곳으로 가세요.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하세요. 자신과 함께 레이스를 펼치세요.”
– 피터 틸

이 곳은 남과 경쟁하는 곳이 아니라 전적으로 나 혼자만 있는 곳이다. 나 혼자만 할 수 있는 생각을 하고 정리를 한다. 남을 의식하거나 남과 경쟁하는 곳이 아니다. 그래서 나만을 위한 휴식의 장이자 생각의 안식처다. 내 글로 누군가가 자신의 생각을 바꿨다면 기분은 좋겠지만 바꾸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뭐 어쩔건가. 내 생각을 엿보고 나를 비판한다면 그것도 또 어쩔건가. 그러려니 해야겠지..ㅋ 세상은 다양하고 무상하고 불인하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AI가 뭔가 대단하고 전지전능하다고 생각하는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버핏이 투자에는 세계 최고지만 다른 분야에는 젬병인 것처럼 내가 경험한 AI도 잘하는 부분과 못하는 부분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 같다. 물론 기술의 발전으로 격차는 많이 줄어들겠지만 봉준호 감독이 추구하는 것처럼 미래에도 AI가 할 수 없는 것을 인간은 할 수 있을 것이다. AI가 내 블로그 전체를 읽고 내 문체와 비슷한 글을 양산할 수는 있겠지만 내 오리지널한 생각을 만들어 낼 수는 없다.

블로그에 AI가 쓰지 못할 글을 쓸 생각도 없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바꿀만한 글을 쓸 생각도 없다. 엊그제 잡은 책(재무제표 분석과 기업가치평가) 한 부분에서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1이 있어 시간을 가지고 고민하고 있다. 이 고민이 해결되면 아마도 정리된 생각을 블로그에 올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아무도 나 같은 고민을 하지 않았을 수도 있겠지만 만일 글로 써둔다면(요즘 내 상태로는 글을 남기지 않을 확률이 높다) 비슷한 고민을 한 누군가는 내 글을 읽고 “아하” 소리 칠 수도 있을거다. 내 글이 누군가의 생각을 바꾸진 못하지만 누군가의 생각을 더할 수는 있겠다. 아니면 전혀 의문을 갖지 않았던 사람들 중에 누군가는 내 글을 보고 새로운 질문을 떠올릴 수도 있겠고.

두서없이 의식의 흐름처럼 후다닥 쓰는 글도 오랜만이다. 이게 내 스타일이다. 오타도 있고 SEO에 맞지 않고 그림도 없어 검색엔진에게 낮은 점수를 받는 글. 그런 글들이 켜켜이 쌓여 역설적으로 사람냄새 나는 곳이 바로 내 블로그다. 그게 바로 AI가 결코 대체하지 못하는 곳이다.

  1. 시간을 두고 고민하는 부분은 내가 사용하고 잇는 버핏의 밸류에이션이 결국은 RIM(Residual Income Model)과 거의 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핵심은 역시 꾸준하고 예측가능한 ROE다. RIM 도출 식을 봤는데 DDM에 잉여항을 더하고 극한으로 보내는 부분이 선명하게 이해되지 않아서 조금 헤매고 있다..ㅋ ↩︎

애널리스트들은 더 이상 현금흐름 할인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멀티플만 쓸 것인가

주말에 재밌는 논문을 한 편 봤다. 내재가치를 계산할 때 미국의 애널리스트들은 더이상 미래 수익을 할인하는 현금흐름 할인법을 사용하지 않고 “예상 EPS x 트레일링 PER” 같은 간단한 멀티플을 활용한다. 논문 초록에는 다음과 같이 써 있다.

“우리는 513개 보고서(2003~2022) 샘플을 연구했고, 대부분 애널리스트가 할인율이 아닌 트레일링 P/E(주가수익비율) 비율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회사의 미래 수익의 현재 가치를 계산하는 대신 “작년에 ​​비슷한 수익을 낸 회사는 어떻게 가격이 매겨졌을까요?”라고 묻습니다. 다른 투자자들이 다르게 행동하더라도 시장 참여자들이 항상 할인율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모든 자산 가격 책정 모델의 중심에 할인율을 두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이 멀티플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2019년 홈데포(HD) 목표가격 241달러로 분석한 Chris Horvers(애널리스트로 꽤 유명한 사람인듯)의 예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1년 뒤 주가를 예측하는데 2년 뒤 예상 EPS에 과거 3년 평균 PER를 사용하는데 논리를 보면 고든성장모델과 동일하다.

멀티플 사용 예 홈데포


애널리스트들이 보고서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멀티플은 다음과 같다. 표 중에서 All Am이 뭔지 궁금해서 살펴 보니 Institutional Investor magazine’s All-American research team 보고서 갯수를 의미하는데 애널리스트 중 최고의 애널리스트 집합으로 이해하면 된다.

애널리스트가 사용하는 멀티플 종류


멀티플 사용은 과거 평균과 경쟁기업 레벨을 함께 고려한다. 경쟁기업과 비교 비율(74.1%)이 과거 평균 비율(63.5%)보다 높은 이유는 신규 IPO 리포트 비중이 전체의 1/3이나 되기 때문이다.

과거 멀티플 동종업계 멀티플


멀티플도 하나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2개 이상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고 최근에 SOTP 사용도 늘고 있다.

사용하는 멀티플 갯수


현금흐름 할인법(DCF)이나 배당 할인 모델(DDM) 같은 내재가치 계산법을 이용하는 애널리스트는 전체 30.2% 밖에 되지 않았고 멀티플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내재가치 계산법만 사용하는 비율은 고작 5.5%뿐이다.

현금흐름할인법 사용 비중


내재가치 계산은 주로 신규 IPO 기업이나 M&A가 있을 때, 그리고 특정 산업(부동산 리츠, 석유 가스)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대부분 공식 보고서는 주로 멀티플을 사용(92.9%)한다. 애널리스트 뿐만 아니라 투자자 대부분이 멀티플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얘기다.

전체 멀티플 사용 비중


논문의 결론을 원문 그대로 가져와 보면,

The analysts in textbook models ask themselves: “What is the present value of a company’s expected future earnings stream in today’s dollars?” Real-world analysts ask a different question: “How would a comparable firm have been price last year if it had announced similar earnings?”

교과서적인 모델에서 애널리스트는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회사의 미래 예상 수익 흐름의 현재 가치를 오늘 달러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실제 애널리스트들은 다른 질문을 합니다: “비슷한 기업이 작년에 비슷한 실적을 발표했다면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Price equals expected discounted payoff” is clearly not a sensible assumption to make when modeling sell-side analysts.

셀사이드 애널리스트를 모델링할 때 ‘가격은 예상 할인된 수익과 같다’는 가정은 분명 합리적인 가정이 아닙니다.

논문을 읽은 내 생각이다.
워런 버핏은 현금흐름 할인법이 내재가치를 계산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지만 찰리 멍거는 버핏이 현금흐름 할인을 계산하는 걸 한번도 보지 못했다고 했다. 굳이 복잡한 계산을 할 필요가 없는 비즈니스에만 관심가진단 말도 된다. 버핏은 스스로 PER, PBR 같은 멀티플도 사용하지 않는다고 했다. 멍거와 버핏은 머리가 아주 뛰어난 사람이자 경험이 풍부하고, 주변의 정보를 끊임없이 빨아들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유형의 사람이다. 그들은 산업별 내재가치를 계산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은 사람들이다. 코카콜라 제조법을 외부에 절대로 공개하지 않듯 그들 역시 마찬가지다. 아무리 그들의 이야기를 찾아 봐도 교과서에 있는 원론적인 이야기밖에 하지 않을 것이다.

투자 공부는 남들이 하는 걸 따라 하는 게 아니라 힘들어도 할 가치가 있는 일을 찾아가는 긴 여정이다. 주식 투자로 세계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번 워런 버핏이 깨닫고 후배 투자자들에게 말한 방법을 스스로 찾아 학습하면서 결국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PER는 쉽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PER 역시 깊이 들어가면 마냥 쉽지만은 않은 개념이다. DCF나 RIM이나 DDM 역시 마찬가지다. 세상에 빠르고 쉬운 길은 없으며 가만히 있는데 남이 그냥 떠먹여 주지도 않는다.

주말에 논문을 읽고, 논문에서 언급한 홈데포 주가를 살펴 보니 5년 동안 70% 상승했다.

홈데포 주가


보다시피 애널리스트들의 목표 주가 평균은 403달러다. 논문처럼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는 예상 EPS에 트레일링 PER를 곱해서 계산한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럼 이제 당신의 홈데포 목표 가격은 얼마인가? 남들과 똑같은 방법으로 할거면 굳이 계산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이미 당신보다 뛰어난 애널리스트들이 같은 방법으로 다 계산해서 평균까지 구해 놓았다. 주가를 보는 것처럼 계산할 필요없이 클릭해서 숫자만 확인하면 되는 세상이다. 모든 사람들이 같은 숫자를 보고 같은 가격을 보고 같은 생각을 하면서 비교하고 투자한다. 똑같은 일을 하면 똑같은 결과를 얻을 뿐이다.

홈데포 목표가격


다시한번 당신의 홈데포 내재가치가 얼마인가?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 홈데포의 무엇을 보고 판단할 것인가? 홈데포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주식도 마찬가지다. 무슨 정보를 보고 어떤 예측을 하고 무슨 방법으로 내재가치를 계산해서 그 숫자를 어디까지 믿을 것인가?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는 매수 매도는 모두 투기다. 계산을 하기 위해선 무언가 선행작업이 필요하다. 홈데포가 도대체 뭘 하는 회사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홈데포 투자 전략 지도


사실 복잡해 보이는 내재가치 계산도 학습하고 나면 멀티플처럼 단순한 작업이다. 예전엔 소수의 전문가들만 할 수 있었지만 이젠 엑셀같은 스프레드시트에 계산 로직만 입력하면 바로 결과가 나온다. 그렇다면 정말 중요한 건 무엇이 될까. 결국 자신의 능력 범위에 달렸다. 기업의 경제적 해자를 찾는 것처럼 자신의 경쟁 우위를 찾아야 한다. 자신이 잘 알고 잘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충만한 자신감! 그것이 있는 곳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투자를 하면 할수록 자신에 대해 알게 된다.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새로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같은 것들 말이다.

내 10초 내재가치 계산으로 홈데포는 몇 가지 숫자에서 기준에 미달이긴 하지만 좋은 기업으로 보인다. 하지만 좋은 가격은 아닌 것으로 나온다. 내가 그랬듯 당신도 당신만의 방법으로 계산하고 판단한 후에 매수, 매도하길 바란다. 당신이 투자하고 싶은 대로 투자하면 된다. 누가 추천하거나 유튜브에서 이야기한다고 사지 말고 자신이 공부하고 사고 싶은 것을 매수하고 팔고 싶을 때 매도하면 된다. 팔고 싶지 않으면 계속 가지고 가면 된다. 투자는 그런 방식으로 긴 시간동안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긴 학습과 시행착오의 과정조차 즐거워야 한다.

결국 좋은 건 무엇이고, 싼 건 무엇인가?

저는 기업가들과 이야기할 때 이 이야기를 가끔 사용합니다. “이봐, 에베레스트 산에 오르려고 한다고 상상해 봐. 셰르파 무리 중에서 골라야 해. 그리고 목표는 정상에 도달한 다음 살아서 내려오는 거야. 그게 목표야. 결과에 도달하고 성공적으로 살아남는 거야. 가장 싼 셰르파를 고르고 싶은가, 아니면 가장 좋은 셰르파를 고르고 싶은가?”
– 리치 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