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투자 지도

추석연휴를 이용해 그간 머리속에 맴돌기만 했던 간단한 투자 지도를 하나 만들었다(보기엔 간단하지만 사실 만든 과정을 보면 그리 간단하진 않았다). S&P500 기업을 입력하면 그 기업의 현재 위치를 아래와 같이 2차원 평면으로 보여주는 지도다. 사실 원의 크기까지 고려하면 3차원에 가까운 3D 지도인 셈이다. 투자란 결국 500개의 유니버스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자신만의 답이다. 500개 중에서 PER가 낮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배당이 높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조엘 그린블라트처럼 마법공식으로 고를 것인가, 피터린치처럼 PEG가 낮은 것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만의 방식을 찾아 선택할 것인가.

코스트코 COST 지도

11_11로 표시된 것은 수익률과 성장률이 좋은 기업을 고르는 나만의 방식이다. 11_11_11은 그중에서 다시 한번 필터링을 해서 고른 기업 그룹이다. 현재 13개 기업만 포함된 그룹이다. 내재가치는 역시 내가 계산한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 그룹 20개 묶음이다. 신기하게도 피터린치의 방법과 거의 유사한 결과다. 이렇게 몇 개의 그룹을 지도에 자동으로 표시해 놓으면 관심있는 개별기업의 위치를 그룹과 비교하며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보니 고배당 그룹과 S&P500은 거의 같이 붙어있다.

멍거가 좋아하는 코스트코(COST)를 입력했더니 S&P500 평균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진다. 코스트코는 이익률을 낮게 가져가는 전략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다.

테슬라 TSLA 지도

이번에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특히 좋아하는 테슬라 TSLA 를 입력했더니 이런 그림이 나온다. 성장률이 대단함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성장률이 좋은만큼 역시 비싸다. 일반적으로 지도의 위 칸으로 올라갈수록 풍선의 크기는 커진다. 내가 찾는 것은 수익률과 성장률이 좋으면서도 풍선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은 것이다. 저PEG과 내재가치 그룹에서 찾아보면 되겠다.

여행 레스토랑 예약서비스 부킹홀딩스 숫자들이 괜찮아 보여서 한번 함께 입력해봤다. 좋은 위치에 들어갔다. 하나씩 입력해 보니 마치 사격의 표적지처럼 입력값들이 잘 표시된다. 세 개를 같이 모아 보니 테슬라와 코스트코 풍선크기가 거의 같다. 따로 표시는 안했지만 엊그제 아지트 자인이 200주를 팔았다던 BRK-A 말고 우리같은 서민들이 접근할 수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 BRK-B를 넣어봤더니 코스트코 오른쪽 옆에 딱 붙었다. 크기는 MF2와 거의 같다.

히트맵

국내 기업도 한번 넣어봤다. 모르긴 몰라도 국내기업 대부분은 제일 왼쪽 아래 칸에 들어갈 것이다. 좋은 기업으로 소문난, 특히 요즘 6만전자라고 난리도 아닌 삼성전자를 입력했다(나중에 보니 이 그림은 실수가 있었다. 삼성전자는 다른 국내기업처럼 성장률이 3%대 아래로 내려왔다). 그리고 매력적인 가격대로 내려온 구글도. 이렇게 보니 구글이 좋은 기업인 게 한눈에 보인다. 내가 좋은 기업 그룹으로 꼽은 11_11_11 그룹과 풍선크기도 비슷하면서 거의 붙었다. 그렇다면 엔비디아 NVDA는 어디에 위치할까? 예상대로 오른쪽을 몇 칸 더 만들면서(50% 수익률) 제일 위 칸(40%에 가까운 성장률)이다.

투자지도

이번 추석연휴엔 간단한 투자 지도 만들면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며 놀아야겠다. 블로그 글도 연휴동안엔 쉴 예정이다. 주인이 없는 연휴동안 이 곳을 우연히 찾은 모든 분들도 즐거운 한가위 되시길~~

한가위

S&P500 최근 1년 수익률

S&P500 최근 1년 수익률을 검토하다가 시총 상위 10개 기업(현재 전체 지수의 35%를 차지)의 1년 수익률을 살펴 보니 42%를 넘는다. 인덱스를 사지 않고 상위 10개 기업만 구매하고 싶어지는 숫자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10개를 고르든, PER가 낮은 10개를 고르든, PBR이 낮은 10개를 고르든, 내재가치 대비 할인율이 큰 10개를 고르든 어떤 방식으로 주식을 선별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높았을 것이다. 물론 이건 사후편향이 들어간 결과다. 이 결과만 보고 미래에도 시총 상위 10개를 구매하면 목표수익률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S&P500 PER 28 수준인데 이것 역시 뜯어 보면 시총 상위 10개 평균 PER 48, 상위 20개 평균 PER 39, 상위 30개 평균 PER 42, 그리고 시총 하위 470개 평균 PER 20.38이다. 흔히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상위 7개 기업의 실적은 나머지를 압도한다. 과거 거품처럼 주가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지금은 좋은 실적이 좋은 성적으로 이어진다.

매그니피센트7

AQR의 클리프 애스니스가 최근 발표한 논문을 보면 PBR 상위 30%를 하위 30%로 나눈 비율이 과거 3~6 밴드를 벗어난 8 수준인데 이는 과거 2000년 닷컴버블이후 처음이다. 싼 주식에 비해 비싼 주식들이 더 비싸지고 있다.

애스니스의 가설대로 인덱스펀드의 증가때문인지, 오랜기간 낮은 이자율때문인지, 또는 기술과 SNS의 발달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현상은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I’m far more certain that social media, the overconfidence that come when people think all the world’s data is at their fingertips, and gamified, fake-free, instant, 24/7 trading has done so in a significant way.”

그렇다면 과연 앞으로도 대형주의 이런 엄청난 상승세가 계속될 수 있을까? 모멘텀에 익숙한 투자자라면 달리는 말에 올라탈 것이고 순환론에 익숙한 가치투자자라면 주저할 것이다. 그레이엄은 말년에 주식을 선별해서 투자하는 것보다 일정 필터를 적용해서 그룹으로 구매하는 것이 낫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테스트해 본 결과 저PER 주식을 그룹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단 2개의 필터만 적용해서 500개 중에 저PER 10개를 골라봤더니 10개 평균 PER 9.46 정도 수준1이다. 평균 EV/FCF는 15.9 로 올라간다. PER가 낮은 것는 낮은 이유가 있다는 주의인데 무지성으로 나온 저 10개를 그레이엄만 믿고 그룹으로 살 수 있을까? 자꾸만 10개를 돌 뒤집듯이 하나하나 살펴보고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따져보고 싶어진다. 익숙한 곳에서 벗어나는 게 새로운 걸 받아들이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1. 아니나다를까 업종만 훑어 보니 철강, 농업운수, 에너지, 금융/보험 업종이 대부분이다. PER가 낮은데는 낮은 이유가 있다. ↩︎

S&P500 지수를 이길 자신이 있는가

패시브 투자자가 아니라 직접 주식을 골라 투자하는 액티브 투자자라면 인덱스인 S&P500 지수를 이길 자신이 있어야 한다. 만일 S&P500을 이길 자신이 없다면 직접 투자는 깨끗하게 포기하고 인덱스 같은 간접 투자부터 해야 한다. 뭔가를 고르겠다는 것은 최소한 뭐가 좋고 나쁜지는 안다는 걸 전제한 행위기 때문이다. 좋은 기업은 어떤 기업인지를 볼 줄 알아야 한다. 멍거나 버핏이 그들의 후계자들과 나누는 대화를 엿보면 최소한 S&P500에 속한 기업들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부가 끝난 사람들 사이 대화다. 500개 기업의 가격 수준인 PER PBR 같은 알려진 숫자들 말고 500개 기업의 10년 매출성장률은 어느 정도일까? 500개 중에서 10년 동안 연평균 10% 이상 매출이 성장한 기업이 몇 개 정도나 될까? 우리나라 코스피 기업 중에서 10년 동안 연평균 10% 이상 매출이 성장한 기업은 또 몇 개나 될까?

S&P500 5년 수익률

오늘자로 최근 5년동안 S&P500 연평균 수익률을 보니 13.48%다. 배당수익률 약 1.5%를 더하면 대략 연평균 15% 수익이다. 만약 직접 투자하고 있는 자신의 최근 5년 수익률이 연평균 15% 이하라면 인덱스투자로 바꾸라고 냉철하게 권하고 싶다. 5년 동안 15% 수익이면 투자금은 2배가 된다. 10년이면 4배가 되는 속도고 50년이면 1000배가 되는 속도다. 10년 동안 15% 수익을 꾸준히 낼 수 있는 사람은 전문가를 포함해도 거의 없다. 앞으로는 이런 수익을 내기가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 경고한 멍거 옹이 생각난다.

젊은 시절 버핏은 최소한 인덱스를 10%p 이길 자신이 있다고 확신하고 난 후 투자조합을 만들고 직접 투자에 임했다. 물론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나중에는 5%p로 목표를 낮춰 잡기는 했지만, 버크셔를 인수하고 거의 60년이 넘는 기간동안 버핏은 인덱스를 10%p 가까이 이겼다. 버핏이 어떻게 인덱스를 이겼는지 하나하나 공부하고 난 후, 난 스스로 노력한다해서 버핏같은 투자자가 결코 될 수 없음을 깨달았다. 버핏은 커녕 인덱스를 이기기도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나라 코스피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수익률을 보니 5.35%가 나온다. 작년 배당수익률이 대략 2% 내외라고 하면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7.3% 수익보나 낮은 사람들은 그냥 인덱스에 투자하는 게 낫다. 이렇게 보니 최근 5년 동안 미국 S&P500 수익률이 우리 코스피보다 거의 2배 높은 수익률이다. 물론 과거 실적이 미래를 보장하지 않지만 최근들어 더욱 더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가 줄어들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씁쓸하지만 5년 전부터 미국 주식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했던 이유기도 하다.

직접 주식을 고르려면 고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최소한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는 스스로 찾고 확인해야 한다. 뭐가 좋은지를 볼 줄 아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그럴 자신이 없으면 애초에 액티브 투자를 시도해선 안된다. 이는 국내든 해외든 똑같은 필요조건이다. 그레이엄이 대단한 점은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를 상세히 책(현명한 투자자)에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직접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적어도 세 번은 읽어야 한다. 만일 제대로 세 번을 읽었다면 바로 직접투자로 시작하기보단 인덱스 투자로 시작하게 될 것이다.

S&P500에 포함된 500개가 조금 넘는 기업을 일정 기준으로 필터링 했더니 중복해서 나오는 기업들이 몇 개 보인다. 간단하게 살펴 보니 버핏이 지분을 늘려 나가는 옥시덴탈과 같은 석유관련 업종의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관련 기업들을 모아서 사진찍어 봤다. 이 모아놓은 숫자들 만으로는 아직 아무것도 알 수 없다.

S&P500 석유 가스 기업

70달러 이하로 내려간 석유가격때문에 업황이 그리 낙관적으로 보이진 않지만, 하나씩 돌을 뒤집다보면 거기서 진주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없으면 또 다른 돌무더기를 뒤집으면 되고. 이런 일련의 돌을 뒤집고 기업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작업들이 재밌어서 누구처럼 탭댄스를 추면서 출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럴 자신이 있는가? 매일 사업보고서를 뒤지고 책 속에 파묻혀 매 순간 고민하는 일이 좋아서 일 속으로 파고드는 그런 투자에 미친 투자자와 경쟁해서 이길 자신이 있는가? 최소한 S&P500을 이길 자신이 있는가? 난 없다.

방금 세어 보니 503개 중 121개가 10년 동안 연평균 매출 10% 이상 성장했다. 무려 24%

추가) 크롬에서 제미나이(3.0인듯)를 바로 쓸 수 있다고 해서 속는셈치고 다시 한번 물어봤다. S&P500은 몇 개 기업 묶음이냐고 물었더니 500개라고 답했다. 알려 준 링크로 들어가서 보니 503개라고 하니 뭐라 했을까..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