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미국 대선 토론 트럼프 대 해리스

2024 미국 대선 토론후 해리스가 생각보다 잘했다는 여론이 많았었는데 Polymarket 베팅에서도 해리스가 근소한 차이로 역전에 성공했다. 이번 토론은 방송과 케이블을 통해 약 5,780만 명의 시청자가 봤는데 이는 지난 6월 트럼프 바이든 토론때 4,790만 명보다 많은 수치다.

미국 대선이 늘 그래왔듯 스윙 스테이트라 불리는 회색(펜실베니아와 네바다)과 연한색 주의 투표결과가 대선을 좌우할 것이다. 미국은 승자 독식이다. 트럼프와 해리스 추세는 다음과 같다. 해리스가 많이 끌어 올려 현재는 거의 박빙이다. 앞으로 54일이라는 긴 시간이 남아 있으니 어떤 돌발 변수가 발생할지 아무도 모를일이다.

토론 후 해리스 측에서 다시 한번 토론을 하자고 제안했다는 뉴스를 봤는데 내가 만일 해리스 쪽이라면 글쎄다. 대부분 토론에서 트럼프 우위를 점쳤는데 해리스가 선방한 것은 맞지만 똑같은 방식으로 다시 토론한다면 트럼프도 분명 반격을 준비할 것이다. 이번 대선 토론 주관사가 ABC 방송인데 트럼프는 3:1로 싸웠다고 했을 정도로 자신에게 불리했다고 말했다. 토론 방법이나 진행자의 역할에 따라 우위가 바뀔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다. 트럼프는 이민자 문제와 경제 실정을 주로 강조했고 해리스는 트럼프 개인 공격과 사회적약자와 소수자에 집중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은 유권자로 구성된 소규모 여론 조사 집단의 70%가 트럼프에게 투표하거나 그를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개종자들은 그가 사람으로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있어서는 그를 더 신뢰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가 2017-2021년 대통령이었을 때 개인의 재정 상황이 더 좋았다고 말했다.”

토론 직후 미국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적으로 해리스 지지를 발표했다. 그녀는 이 플랫폼에서 2억 8,300만 명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다. “저는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카말라 해리스와 팀 왈츠에게 투표할 것입니다. 카말라 해리스 후보에게 투표하는 이유는 그녀가 권리와 대의를 위해 싸우는 전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녀가 안정적이고 재능 있는 리더라고 생각하며, 혼란이 아닌 차분함으로 이 나라를 이끌면 훨씬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트럼프 미디어(DJT) 주가는 토론 후 급락.

트럼프 미디어 주가

구글을 매수할 때인가?

최근 구글 GOOGL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분자인 주가가 하락하면서 PER도 내려갔는데 12개월 포워드PER로 계산했을 때 구글(17.5)이 S&P500(20.8)에 비해서도 낮아졌다. 반독점 재판의 영향때문인지 AI시대에 다른 기업과의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다는 두려움(OpenAI가 SearchGPT라는 웹 검색 제품을 개발 중이라는 보도 이후 최근 하락)때문인지 모르겠지만 구글 PER 17이라면 솔깃해지는 가격대다.

구글 GOOGL

어젯밤 조금 올라 다시 150을 회복했다.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평균 201이다.

구글 주가

구글에는 내가 좋아하는 구루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찰리 멍거의 후계자 리루는 GOOG와 GOOGL을 합해 포트폴리오 40%를 구글로 담고 있다. 이런 집중투자도 없다. 최근에 옥시를 추가했다. 리틀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빌 애크먼도 포트의 20%가 구글이다. 최근에 나이키를 추가했다. 테리 스미스도 포트의 5%를 구글로 채웠다. 현재 10%를 넘는 종목은 단 두 개,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다. 나이키도 1.9% 가지고 있다.

전체 검색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괴물 기업이면서 클라우드와 유튜브도 가지고 있다. 검색에서 14% 성장, 유튜브에서 21% 성장, 클라우드에서 28% 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동안 전체적으로 20%이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글 5년 성장률

그럼에도 11.8% 성장이 예상되는 S&P500보다 PER가 낮다?! 그래서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로 계산했다. 한달 전에도 간단밸류에이션을 했었는데 그때와 차이가 나는 것은 가정을 조금 보수적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구글 내재가치

S&P500 최근 1년 수익률

S&P500 최근 1년 수익률을 검토하다가 시총 상위 10개 기업(현재 전체 지수의 35%를 차지)의 1년 수익률을 살펴 보니 42%를 넘는다. 인덱스를 사지 않고 상위 10개 기업만 구매하고 싶어지는 숫자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10개를 고르든, PER가 낮은 10개를 고르든, PBR이 낮은 10개를 고르든, 내재가치 대비 할인율이 큰 10개를 고르든 어떤 방식으로 주식을 선별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높았을 것이다. 물론 이건 사후편향이 들어간 결과다. 이 결과만 보고 미래에도 시총 상위 10개를 구매하면 목표수익률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S&P500 PER 28 수준인데 이것 역시 뜯어 보면 시총 상위 10개 평균 PER 48, 상위 20개 평균 PER 39, 상위 30개 평균 PER 42, 그리고 시총 하위 470개 평균 PER 20.38이다. 흔히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상위 7개 기업의 실적은 나머지를 압도한다. 과거 거품처럼 주가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지금은 좋은 실적이 좋은 성적으로 이어진다.

매그니피센트7

AQR의 클리프 애스니스가 최근 발표한 논문을 보면 PBR 상위 30%를 하위 30%로 나눈 비율이 과거 3~6 밴드를 벗어난 8 수준인데 이는 과거 2000년 닷컴버블이후 처음이다. 싼 주식에 비해 비싼 주식들이 더 비싸지고 있다.

애스니스의 가설대로 인덱스펀드의 증가때문인지, 오랜기간 낮은 이자율때문인지, 또는 기술과 SNS의 발달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현상은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I’m far more certain that social media, the overconfidence that come when people think all the world’s data is at their fingertips, and gamified, fake-free, instant, 24/7 trading has done so in a significant way.”

그렇다면 과연 앞으로도 대형주의 이런 엄청난 상승세가 계속될 수 있을까? 모멘텀에 익숙한 투자자라면 달리는 말에 올라탈 것이고 순환론에 익숙한 가치투자자라면 주저할 것이다. 그레이엄은 말년에 주식을 선별해서 투자하는 것보다 일정 필터를 적용해서 그룹으로 구매하는 것이 낫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테스트해 본 결과 저PER 주식을 그룹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단 2개의 필터만 적용해서 500개 중에 저PER 10개를 골라봤더니 10개 평균 PER 9.46 정도 수준1이다. 평균 EV/FCF는 15.9 로 올라간다. PER가 낮은 것는 낮은 이유가 있다는 주의인데 무지성으로 나온 저 10개를 그레이엄만 믿고 그룹으로 살 수 있을까? 자꾸만 10개를 돌 뒤집듯이 하나하나 살펴보고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따져보고 싶어진다. 익숙한 곳에서 벗어나는 게 새로운 걸 받아들이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1. 아니나다를까 업종만 훑어 보니 철강, 농업운수, 에너지, 금융/보험 업종이 대부분이다. PER가 낮은데는 낮은 이유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