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전문가의 말

최근에 읽은 글 중에 전문가를 정의한 게 하나 있어서 따로 메모해놨는데 곧이어 글쓰기 전문가라 할 수 있는 하루키와 이번에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말을 역시 따로 메모했다. 내겐 같은 말로 들렸다.

“전문가란 매우 좁은 분야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실수를 해본 사람”

“소설을 쓰는 것은 저에게 기본적으로 일종의 육체 노동입니다. 글쓰기 자체가 정신적 노동이지만, 책 전체를 완성하는 것은 육체 노동에 더 가깝습니다. … 책상에 앉아 레이저 빔처럼 정신을 집중하고, 빈 지평선에서 무언가를 상상하고, 이야기를 만들고, 올바른 단어를 하나하나 선택하고, 이야기의 전체 흐름을 궤도에 맞추는 전체 과정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장기간 필요로 합니다. … 소설가에게 그 과정은 모든 신체적 여유를 발휘해야 하며, 종종 과로할 정도까지 해야 합니다.”
– 무라카미 하루키

글쓰는 소설가

“글 쓰는 사람 이미지로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은 고요히 책상 앞에 앉은 모습이지만 사실 저는 걸어가고 있습니다. 먼 길을 우회하고 때론 길을 잃고 시작점으로 돌아오고 다시 걸어 나아갑니다. 혼자서 걸어가는 그 과정이 고립된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어쨌든 저는 언어로 작업하는 사람이고 언어는 결국 우리를 연결해 주는 실이니까요. 아무리 내면적인 글을 쓰는 사람이라고 해도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한 그 사람은 세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강

주말 단상

일요일 오전에 생각나는 게 있어 조금은 긴 글 한편을 써두고는 내일 아침에 올라가도록 예약해뒀다. 휘몰아치는 스팸을 지우면서 주말을 잘 보내고 저녁 무렵이 되니까 한달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올렸는데 이제 하루가 빈다는 생각이 계속 머리를 어지럽히고 있다. 그냥 이빠진 채로 두면 좋을 것 같으면서도 또 한편으론 아쉬움도 든다. 그래서 또 이렇게 흰 백지 앞에 앉아 짧게 주말 단상을 적는다. 아무래도 취미가 블로깅이 될 것 같다..ㅋ

주말에 한강 작가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100페이지 넘게 읽다가 문득 내가 왜 그동안 소설 책을 멀리하고 있었는지를 다시 한번 깨달았다. ‘모비딕’이나 ‘모스크바의 신사’를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그 섬세한 문학적인 묘사와 비유들이 내 마음에 와 닿지가 않는다. 마치 파인다이닝의 잘 차려진 요리같달까. 젊은 시절엔 참 많은 소설들을 재밌게 읽었는데 이젠 그런 소설 속 재미를 예전처럼 쉽게 찾을 수가 없다. 유튜브와 영화나 드라마 같은 시청각 미디어에 너무 많이 노출된 탓일까. 아니면 빠르고 효율적인 것을 추구하는 습성때문일까. 느릿느릿한 전개와 지나칠 정도로 자세한 묘사와 비유들이 오히려 책장을 잡고 앞으로 나가지 못하게 방해한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책을 덮고 드라마를 집어 들었다. 요즘 새로 재미를 붙인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다. 홈페이지 이름이 ‘의심’이다..ㅋ 이야기도 재밌고 배우들의 연기도 좋고 영상미도 좋다. 하긴 드라마 소재라 봐야 형사, 변호사, 의사 같이 사건이나 대상이 계속 바뀌는 직업들이 주가 된다. 그래서 평범한 동네 사람들이 주인공인 ‘나의 아저씨’같은 드라마는 참 드믈다. 평범함 속에 특별함이 있는 법인데 한강 작가의 소설이 쉽게 진도가 나가지 않는 이유가 특별한 사건을 주제로 한다는 내 선입관이 들어가서가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소년이 온다’와 ‘채식주의자’도 주문을 넣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걸릴거 같다는 톡을 받았다. 이젠 책을 쥐면 자동으로 내 시간이 먼저 계산된다. 그래서 예전에는 한번 책을 쥐면 끝까지 읽었지만 지금은 언제든지 내 흥미를 끌지 못하면 중간에 그만 읽는다. 그래서 내겐 끝까지 읽은 책과 중간에 그만 읽은 책으로 나뉜다. 부디 한강 작가의 소설은 끝까지 읽은 책에 들어가길…

오늘 새삼스럽게 다가 온 찰리 멍거의 말

그래도 재무제표를 봐야 하는 이유, 그리고 실패하거나 좌절하더라도 다시 시작해야 할 이유. 찰리 멍거의 말.

“우리는 [투자 기회]를 과거 기록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체로, 만약 그 일이 형편없는 과거 기록과 밝은 미래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그 기회를 놓칠 것입니다.”

“어떤 상황이나 사람이 내 인생을 망치고 있다고 생각할 때마다, 사실 내 인생을 망치고 있는 것은 바로 나 자신입니다. 정말 간단한 생각입니다. 희생자처럼 느끼는 것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완벽하게 비참한 방법입니다.”

– 찰리 멍거

전진하는 병사

제갈공명이 유비와 함께 떠나는 조자룡에게 비단 주머니 3개를 전해 주면시 곤경에 처해 힘들거나 어려울 때 꺼내 읽으라고 했던 ‘금낭묘계(錦囊妙計)’처럼 찰리 멍거의 말은 가끔씩 힘들 때 꺼내 읽으면 묘한 위안을 준다. 멍거의 삶 또한 힘들었기 때문이다.

“장애물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디딤돌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비웃고, 밟고, 그것이 당신을 더 나은 것으로 인도하게 하세요.”
– 에니드 블라이튼

9월 18일 부터 오늘까지 30일 연속으로 글을 남겼다. 또 하나의 힘든 장애물을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