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AI가 검색을 먹을거란 우려와 라인사태, 쇼핑에서의 시장점유율 우려가 중첩되면서 우리나라 NAVER 같은 기업의 미래가 불투명해 졌다는 게 그대로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코로나때 45만원을 넘었던 주가는 지금 176,000 수준이다. PER 17.46

NAVER 가격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 평균 24~25만원 수준.

NAVER 목표주가
NAVER 국내 목표주가


네이버가 좋은 회사인가? 네이버 주가가 싼가? 혹은 적당한가? 며칠 전부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 네이버에 대해서 조사 좀 해볼까 생각(만 하다가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ㅎ)을 하고 사진 찍어 뒀었는데 어제 AI에 대한 네이버 비전을 발표했는지 모르겠지만 애널리스트 분석 보고서가 쏟아져 나오면서 주가는 모처럼 상승중..ㅋ


우리나라 대표기업이자 제조업의 상징 삼성전자, 그리고 우리나라 IT의 상징 NAVER의 주가하락…우리나라 사람들의 해외 주식(대부분 미국이겠지) 보유액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는 뉴스와 무관치 않다.

해외주식 보유액


지난 1년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비중을 찾아 보니(솔직히 이렇게 찾는 것도 귀찮ㅋ) 대충 다음과 같은 그림이다. 왼쪽이 최근. 올 7월까지 32%가 넘었던 외국인 비중이 최근 세 달동안 29%로 하락. 외국인 투자자 팔고, 국내 투자자 해외로 나가고~ 주가하락에도 마의 시가총액 2,500조를 유지하는 건 IPO때문?!

국내 주식시장 외국인 비중


이런 움직임은 역시 트럼프 당선과 무관하지 않다. 미중 무역전쟁 시즌2가 시작되고 관세를 높이면 중국뿐만 아니라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 시장도 큰 타격을 입는다. 물론 NAVER는 내수주다.

관세후 주가 움직임


남들이 열광할 때 한 발짝 물러서고 남들이 낙담할 때 뒤져 본다. 뒤져서 명확한 이유를 찾았을 때 반대로 갈 수 있다. 대체로 군중은 옳지만 아주 가끔씩 틀리기도 한다. 군중이 틀리고 나만 옳은 경우는 아주 드물지만 있다. 고집스럽지만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투자는 어렵다.

세계 시장에서 S&P500 비중이 무려 51%

세계 시장에서 미국 S&P500 비중이 무려 51%, 나머지까지 합하면 거의 60%가 미국시장이다. 나머지 30%가 주로 유럽에 많은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증시, 그리고 10% 정도가 개도국 증시인데 여기서 3%가 중국이고 우리나라는 2%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계 주식시장에서 S&P500 비중


S&P500 중에서 상위 1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37.5%, 평균 PER 52.9 수준이다. 상위 2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47%다. S&P500 상위 20개 기업이 전세계 주식 시장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ㅋ 우리나라 크기 12개 국가와 맞먹는 규모로 테크기업 1개가 국가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S&P500 1년 수익률


S&P500 최근 1년 수익률 36%, 시총 상위 10개 기업 1년 수익률 62%(엔비디아, 메타, AVGO 덕분~), 상위 20개 기업 46% 수익률이다. 트럼프 당선되고(전체 수익률이 여기서 약 2%p 더 올랐다) 모두들 장밋빛 전망 일색이다. Fed는 트럼프 당선 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는 뉴스도 나온다(엊그제 0.25% 내렸다). 언제 꺼질지 모르지만 음악이 울릴 때는 춤을 춰야~

투자 전략 지도

투자 전략 지도를 훑어 보니 머스크가 올인한 트럼프 당선 후 테슬라 TSLA 급등해서 PER 88 로 엔비디아 NVDA 보다 더 높은 수준이 됐다. 일론 머스크가 역시 인물은 인물이다.

액티브 실적

S&P의 새로운 연구(2024년 6월 30일 데이터 기준)에 따르면, 액티브 주식 펀드 매니저의 약 90%가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고, 액티브 채권 펀드 매니저의 81%가 10년 동안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았다. 거듭 강조하지만 다른 부문과 달리 투자에서 평균(인덱스 투자)은 중간이 아니라 상위 10~20% 안에 든다. 다만 10년 연평균 수익률 10%라고 해서 매년 10% 수익나지 않고 변동성이 아주 심하다. 어떤 해엔 지금처럼 30%가 넘기도 하고 또 어떤 해앤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오기도 한다.

다른 논문의 결과도 대체로 비슷.

액티브 펀드 실적


S&P500이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까? 단기 움직임은 아무도 모른다. 시계열을 길게 놓고 보면 보인다. 다만 투자에서 길게 기다릴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겐 1년도 너무 길다..

미국 주식 상위 매수 매도 현황

우리나라 투자자 최근 1개월 미국 주식 상위 매수/매도 현황~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주식인 테슬라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서학개미’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9일 증권가에 따르면 테슬라 주가는 미국 대선 개표 전날인 지난 5일부터 사흘간 20% 넘게 폭등했다.”

“현재 S&P500은 순환적 강세장에서 실제로 상당히 진전되었고, 주식이 장기간 급등하는 가운데 있다.”

S&P500 수익률

버리기 위해서 기록한다

수학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문제라는 걸 보는 것

지나보니 블로그에서 재미도 없는 내재가치 평가에 대한 이야기를 참 많이도 했다. 아무도 관심없고 인터넷에서 검색도 하지 않는 이런 키워드 글을 왜 쓰고 있을까. 투자에서 가치 평가는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세상에 나와 있는 이론들에 대해서 먼저 잘 알아야 한다. 기업 분석의 끝은 결국 밸류에이션이다. 그리고 학부시절 배웠던 교수님 말씀대로 배웠으면 자기 것으로 만들고 나서 또 버릴줄도 알아야 한다. 나는 버리기 위해서 기록한다.

“나는 10,000가지의 발차기를 한 번 연습한 사람이 두렵지 않고, 한 가지의 발차기를 10,000번 연습한 사람이 두렵다”
– 이소룡

시중에 나와 있는 밸류에이션 방법을 배우고 나면 자신에게 맞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소룡이 말한 한 가지의 발차기(배운 밸류에이션 방법)를 10,000번 연습(여러 산업의 기업을 직접 분석) 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필립 피셔가 말한대로다. “I think a weakness of many people’s approach to investment is that they try to be jacks of all trades and masters of none.”

“다양한 종류의 투자자 정보가 있습니다. 나는 아이비리그 교육을 받은 사람 밑에서 일했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본 것 중 가장 아름다운 현금 흐름 할인 모델(DCF)을 만들었습니다. 모든 셀이 서로 다른 입력에 의해 어떻게 연결되거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는 데 몇 주가 걸렸습니다. 이 사람은 투자 성공에 중요한 교과서적인 금융 지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스프레드시트와 수학만으로는 투자자로서 성공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또한 호황에서 불황까지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금융 시장 역사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함께 시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하지만 당신이 방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고 시장 역사에 관한 모든 책을 읽었더라도 하락시에도 반드시 전략을 고수하는 데 필요한 감성 지능(EQ)이 없다면 그건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질은 IQ보다 더 중요하지만 배우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해보면 밸류에이션은 쉽다. 정말 어려운 것은 나폴레옹이 말한 “주변 사람들이 모두 미쳐갈 때 평범한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일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말한 투자자의 가장 큰 적은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결정은 스프레드시트에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스프레드시트에서 숫자를 더하기만 하면 합리적인 답이 나옵니다. 정량화하기 어렵고 설명하기 어렵고 원래 목표에서 완전히 분리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다른 무엇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간적 요소가 있습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기술은 수학이나 계산과는 관련이 없다. 최고의 독창적인 현금흐름 할인모델을 만들었다고 해도 잠재 고객들로부터 자산을 모으거나 돈을 버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스프레드시트는 소프트스킬만큼 중요하지 않다. 워런 버핏은 금융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영업기술이라고 말했다.

버핏과 멍거

버핏은 사업을 평가할 때도 화려한 프리젠테이션이나 희망이 섞인 숫자 같은 마케팅 속임수보다 실질적인 정보를 중시한다. 투자자가 알아야 할 버크셔에 대한 정보는 PPT가 아닌 사업보고서에 모두 들어있다고 했다. 어디 금융만 그런가. 블로그 세계도 마찬가지다. 영업하지 않는 블로그는 아무리 좋은 콘텐츠를 가지고 있어도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 AI가 대답하는 것처럼 뻔한 정보들만 짜깁기 해도 포장 잘하고(이것도 쉽진 않다) 마케팅만 잘 하면 돈을 번다. 물론 나는 먼저 좋은 콘텐츠부터 만들어야..쿨럭

“현금흐름 할인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과 한 기간의 종료 시점에서 그 기업의 최종가치(청산가치)를 결정하는 여러 변수들, 즉 미래의 매출액, 이익률, 자본적 지출비용, 운전자본(외상매출금, 재고자산, 외상매입금) 등을 예측해야 한다. 그를 통해 일단 미래 현금흐름을 계산한 후 적절한 할인율로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원해 적정주가를 찾고, 그것을 현재 가격과 비교해야 한다.

그런데 많은 투자자들은 여기서 멈춘다. 그러나 진짜 시작은 여기서부터다. 현금흐름 할인법으로 파악하는 적정주가(해당 회사의 본질가치)는 사용되는 가정에 따라 달라지는데, 현금흐름 할인법에 사용되는 가정들은 매우 많다. 결과적으로 현금흐름 할인법으로 적정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그리 실용적이지 않다. 기껏해야 현금흐름 할인법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주식의 가치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 하는 것뿐이다.

현금흐름 할인법은 ‘대략 맞는’ 분석법이므로 그런 용도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금흐름 할인법의 마지막 단계는 가능한 주가 범위를 찾기 위해 분석에 사용되는 가정들을 바꾸는 것이다. 주가 범위도 정확한 수치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종 결과가 ‘대략’ 맞도록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현금흐름 할인법은 대부분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과거의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과거와 미래 사이에 분석이 들어간다…현금흐름 할인법은 한 주식의 주가에 반영된 시장의 기대 수준을 판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다.”

– 비탈리 카스넬슨, 적극적 가치투자

마이클 모부신도 “예측투자”에서 같은 이야기를 했고, 적어도 두 사람은 내가 인정한 버크셔 멤버들처럼 PER의 내포된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다 그레이엄이 먼저 나무를 심은 덕분이다. 오늘도 버려둔 인질 하나 구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