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복리수익률 20%

워런 버핏의 복리수익률은 얼마나 될까? 워런 버핏이 구두쇠라는데 그는 정말 단순한 구두쇠에 불과할까? 그는 저축을 통해 그렇게 큰 부자가 됐을까? 버핏의 말을 통해 그가 소비에 대해 어떤 사고를 하고 있는지 살펴 보자.

“이 책은 워런 버핏이 오래된 폭스바겐 비틀을 몰고 다닌 일화로 시작합니다. 사람들은 이런 버핏을 보면서, 그를 구두쇠라고 생각했습니다. 워런 버핏은 이런 시선에 괘념치 않고 “새 차 값으로 2만 달러는 들겠지? 그런데 그 2만 달러를 10년간 매년 복리로 굴리면 15만 달러, 30년 후에는 990만 달러가 될 거야. 990만 달러는 차 한 대 값으로 지불하기엔 너무 큰돈이잖아”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아이투자 뉴스레터 중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열고 아무거나 빈 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 보자. =RATE(10,0,-20000,150000)를 입력하면 22.32%가 나온다. 버핏이 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은 언제든지 마음만 먹으면 복리로 22%가 넘는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워런버핏 연평균 수익률


실제 버핏의 60년 이상 연평균 수익률은 약 20% 정도가 되고 특히 젊은 시절엔 이보다 훨씬 더 높았으니 충분히 저렇게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버핏과 같은 능력이 있으면 현재의 2만 달러는 10년후 15만 달러가 될 수 있지만 그보다 조금 떨어지는 복리 15%의 능력이라면 현재의 2만 달러는 10년후 8만 달러가 된다. 복리 10%의 능력이라면 현재의 2만 달러는 10년후 5만 달러가 조금 넘는다. 인플레이션 2% 정도를 고려하면 현재가치로 4만 달러가 조금 넘게 된다.

똑같은 2만 달러가 누구에겐 15만 달러가 되고 누구에게는 5만 달러가 된다. 그리고 또 누구에겐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의 2만 달러를 모으는 것 못지 않게 복리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능력을 함께 키워야 한다. 물론 우리나라 주식이나 미국주식 전체에 투자하는 인덱스에 투자할 수도 있다. 최근 수익률은 이보다 조금 떨어지긴 했지만, 어쨌든 거의 100년 동안 미국 주식은 아래 그림과 같이 복리 11.5%로 증가해 왔다. 버핏의 능력은 인덱스의 거의 2배에 가깝다.

미국 주식 수익률

이나모리 가즈오가 만든 인생 방정식은 부의 방정식에도 적용된다. “부 = 사고방식 x 열정 x 능력” 이다. 열정과 능력은 0에서 100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사고방식은 -100에서 +100까지 가능하다. 그레이엄이 투자자의 가장 큰 적은 자기자신이라고 말한 이유이고 버핏이 지능보다 기질이 중요하다고 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투자에 대한 올바른 사고방식을 갖추는 것과 자기 자신을 잘 파악하는 것이 투자수익률을 올리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장 성장률

2030년까지 인공지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얼마나될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료들을 찾아보니 인공지능 시장의 2030년까지 성장률은 대략 35%를 조금 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엄청난 성장률이다.

인공지능 성장률

가장 먼저 나온 검색결과 (출처 : https://www.marketsandmarkets.com/Market-Reports/artificial-intelligence-market-74851580.html)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 퍼시픽은 2030년까지 37%를 조금 넘는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ChatGPT에게 물었더니 자신은 21년 9월 정보까지 업데이트되어 정확한 성장률을 알 수 없다고 하면서 CAGR 계산하는 공식을 넌즈시 알려 준다. 구글 BARD에게 질문했더니 정확하게 위에 있는 숫자를 제시한다.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인공지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36.8%로 전망됩니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산업에서의 인공지능 도입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7년동안 연평균 35% 성장이 거의 확실시되는 기업이 하나 있다고 하자. 이런 성장률이 예상된다면 시장에서 이미 높은 가격으로 인정을 받고 있을 확률이 아주 높다. 이 기업의 적정가격은 얼마일까? 나는 얼마를 적정가격으로 판단할 것인가?

내재가치란 결국 기업이 평생 벌어들을 돈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로 엑셀을 열고 DCF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7년동안의 성장률을 알 수 있으니 할인율만 결정되면 쉽게 내재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아니면 피터 린치가 애용했다는 PEG개념을 사용할 수도 있다. 35% 성장이기 때문에 PEG 1 이하가 되려면 PER 35 정도는 용인할 수도 있다. 간단하고 쉽지만 뭔가 아쉽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

버핏과 멍거는 세상에 마법과 같은 공식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