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루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블로그에 남기는 글 대부분이 검색 많은 키워드가 거의 없는 듣보 블로그인데 최근 검색유입 키워드 상위 리스트를 보니 리루 포트폴리오가 눈에 띈다.

검색유입 키워드

예전에 한번 리루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글을 올렸는데 아마도 그것 때문인가보다. 뭔가 이벤트가 있었나 싶어 리루 포트폴리오를 체크해 봤더니 변경사항이 있어서 짧게 언급한다. 매번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확인하는건 무리..ㅋ

당시 댓글로 애플만 상승여력이 마이너스라고 했었는데 리루가 최근 애플을 매도했다..^^ 구글은 유의미한 매도라기보단 비중조절인것 같고 BAC 역시 지난번 애플처럼 버핏이 이번에 가장 많이 매도한 종목이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해부터 은행주 투자 비중을 꾸준히 낮춰오고 있었다. 리루는 2020년 1분기에 BAC 1,236만 주를 매수하기 시작했고 주당 평균 33.11달러에 매수한 것으로 추산된다.

리루 포트폴리오

리루가 향후 OXY를 추가매수할지가 관전 포인트.

구글…온라인 생태계에서 알파벳의 지배력과 방대한 데이터 네트워크 덕분에 많은 장기 투자자들이 알파벳을 초석으로 삼고 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신규 편입.

구글 투자자 리스트

리스트 하단에 MARKEL(톰 게이너)도 보인다. 제2의 버크셔가 될 가능성이 높은 보험회사 중 하나로 꼽는 기업이다. 최근 마켈 CEO 톰 게이너가 구글에 대해 이야기한 부분이 있어 가져온다.

– 가장 큰 기술 투자는 알파벳입니다. 대형 기술 기업 중 벨류에이션이 가장 낮기 때문인가요?
“따로 떼어 놓고 보면 아닙니다. 현금 흐름이 좋았을 때 매수했습니다. 밸류에이션은 적정 수준이었죠. 비즈니스 전체를 고려한 것이죠.”
– 더 많은 사람들이 구글 검색을 떠나 대신 ChatGPT를 검색에 사용할 수 있다는 위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나요?
“투자를 다각화함으로써요. 이는 리스크입니다. 저희는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른 베팅도 하는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마켈 포트폴리오

구글을 2014년 2Q에 처음 매수했다가 2015년 4Q에 모두 매도했었는데 2019년 2Q부터 2020년 1Q까지 다시 매수후 현재까지 1주도 팔지않고 있다. 매수가 60달러 내외다.

구글의 NotebookLM으로 마켈 오마하 브런치를 요약하게 했더니~ AI의 미래다..ㅎ

구글 축하메일

네이버는 이웃 페이스북은 친구 내 블로그는 독자

아침에 메일함에 “축하드립니다”로 시작하는 축하메일 하나가 들어와 있어 클릭했더니 이런 내용이다. 지난 28일 동안 구글 검색을 통해 무려(?) 150회의 클릭이 내 블로그로 들어 왔다. 대충 30으로 나누면 하루에 5명 내외의 사람들이 구글 검색을 통해 블로그로 들어오고 있다는 얘기다. CTR이 대략 4.3% 정도 수준이니 내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28일 동안 3,488회 정도 노출된 걸로 추측된다. 노출은 키워드 순서대로 나열이 되니 현재 키워드 평균 순위 10위권 내외인 내 블로그의 영향력으로 봤을 때 향후 검색 1페이지 안으로 들어가는 키워드가 늘면 노출수와 CTR이 늘 것이고 트래픽도 따라 증가할 것이다. 그러면 모든 블로거들이 바라는 광고 수익도 늘어난다. 물론 난 그렇게 열심히 할 생각은 없다..ㅎ

구글 축하메일

검색엔진 사용자 수로 비교하면 당연히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구글보다 훨씬 많아야 정상이지만 네이버를 통한 노출과 클릭은 구글에 비해 형편없는 수준(확인해 보니 딱 1/5인 30 클릭)이다. CTR만 거의 비슷한 정도. 아무래도 자사 블로그나 카페를 우대하는 정책때문으로 생각되는데 국내에서 트래픽을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네이버 블로그부터 만드는 게 쉽고 편하고 돈도 안들고 트래픽을 끌어 모으는데도 효과적일거다. 물론 그렇게 다 만들어진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이런 저런 단점들도 있다. 언젠가 말했지만 난 아파트 같은 그런 곳이 싫어 이렇게 단독 주택을 지었다. 단독 주택에 살면서 트래픽이 적고 사람들이 없어 적적하다고 징징대는 것도 웃긴 일이고 단독 주택 앞으로 고속도로를 깔겠다고 설쳐대는 것도 허망한 일이다.

며칠 전 운전면허 적성검사를 하고 운전면허증을 새로 발급받았다. 올해 대략 10명 당 1명 수준으로 적성검사를 받아야 해서 아마도 연말쯤엔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기사를 본 것 같다. 대략 489만명. 요즘 MZ세대는 운전면허를 따지 않는다는 기사도 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근처에 면허시험장이 있어 갔더니 널널했다. 여권 사진과 동일한 3.5×4.5 규격의 사진 2 매(안가져가도 1만원에 바로 찍을 수도 있었다)와 기존 운전면허증만 가져가면 30~60분 이내에 새 운전면허증을 받을 수 있었다. 이번엔 모바일면허증도 되는 것으로 해서 핸드폰에도 넣어뒀다. 65세 이상은 5년 단위로 75세 이상은 3년 단위로 갱신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도 어디 갈 때 아이들에게 운전을 맡기는 나는 더 빨리 운전대를 놓지 않을까 싶다. 아직 요원해 보이지만 자율주행이 대세가 될지도.

이 짧은 경험을, 트래픽을 목적으로 블로그 글로 작성한다면 전혀 다른 글이 된다. 소제목을 달고 키워드 선정을 하고 적당한 사진을 미리 찍어 두거나 다른 곳에서 가져오고 스토리 라인을 만들고 2,000자 이상의 길이로 글을 작성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받는 방법을 포함해서 각각의 비용도 자세히 정리해야 하고 에피소드도 적당히 집어 넣고 고령자 치매검사에 대한 안내도 상세하게 집어 넣어야 한다. 각종 정보 소스로 넘어갈 수 있는 링크도 꼼꼼하게 연결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러면 일이 되고 스트레스가 된다. 트래픽이나 돈이, 혹은 명성이 목적이 되면 오래하지 못한다. 늘 얘기했던 점수판만 바라보며 플레이하는 농구선수가 되는 것이다.

돌아보니 네이버 블로그엔 ‘이웃’이나 ‘서로이웃’이 있고 페이스북엔 ‘친구’가 있다. 따지고 보니 내 블로그엔 구독자가 있었다. 전체 방문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지만 페이지뷰는 훨씬 높다. 비록 얼마 안되는 독자지만 그들을 위한 글을 따로 써봐야겠단 생각이 이 글을 쓰다 문득 들었다. 내 블로그엔 “독자”가 있다..^^

리루 포트폴리오

현재 리루 포트폴리오다. 물론 미국 주식만 공개된 것으로 해외 투자에 대해서는 따로 공개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에 투자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는다. 리루가 다른 구루들과 차별화되는 부문이 아시아 투자인데 그 부분을 포트폴리오에서 확인할 수 없어서 안타깝다. 그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BAC, AAPL 그리고 OXY는 BRK-B 포트폴리오기 때문에 4개를 버핏 모방이라고 보면 결국 EWBC와 GOOGL이 남는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BAC, BRK-B, EWBC를 금융부문으로 GOOGL, APPL을 IT로 보면 전통 산업은 석유기업 OXY 뿐이다.

리루 포트폴리오

모니시 파브라이처럼 리루 역시 철저히 버핏과 멍거를 학습하고 따라 배우며 성장한 투자자로서 거기에 VC로서의 사고방식도 가미하고 있다. 그의 투자 철학과 방법을 제대로 분석하려면 아무래도 아시아 투자를 깊이 살펴봐야 한다. 당시에는 버핏의 가치 투자 1.0으로도 아시아에서 훌륭한 수익을 거뒀다. 현재 공개된 포트폴리오는 가치 투자 1.0과 2.0 그리고 3.0(애플과 구글)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싼 기업을 매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통계

이 6개 기업을 평균한 기업으로 보면 S&P500 평균(10×10 박스 끝에 위치하고 있다)보다 수익성과 성장성 면에서 뛰어나고 밸류에이션도 저렴(PER 19)하다.

포트폴리오 투자 전략 지도

정확하게 한 사람의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재 숫자들을 확인할 게 아니라 매수했을 당시의 숫자들을 확인해야 한다. 버핏의 애플 구매를 파악하려면 2015년 애플의 재무제표 숫자들을 확인해야 한다. 물론 이런 작업들은 꽤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봐야 후견지명없이 정확하게 매수한 사람의 의향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다만 리루의 현재 포트폴리오는 구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숫자들을 봐도 괜찮다고 본다. 다만 전통적인 가치투자자 입장에서 현재 PER 23의 구글과 PER 35의 애플을 과연 싸다고 판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리루는 버핏과 멍거의 정통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그야말로 정통 가치투자자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사람이 현재 구글과 애플을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다는 말은 정통 가치투자자의 눈으로 봤을 때 싸다고 판단했다는 말이 된다.

현재 구글을 포트에 담고 있는 투자자의 면면을 보면 그야말로 가치투자자들의 집합이다. 리루, 세스 클라만, 빌 애크먼, 팻 도시, 루안 커니프, 테리 스미스, 가이 스파이어, 톰 루소…가치투자자라고 스스로를 생각하는 투자자들은 구글을 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와 구글을 비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로 나뉜다. 당신이 스스로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투자자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에게 구글은 싼가, 비싼가. 오늘 리루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투자자라면 이 질문을 반드시 스스로에게 해 봐야 한다. 내게 구글은 싸다. 싸다고 대답했다면 왜 싸다고 생각하는가. 그 답 역시 스스로 해야 한다. 리루가 사고 세스 클라만이 구매했다고 싼 건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