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을 매수할 때인가?

최근 구글 GOOGL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분자인 주가가 하락하면서 PER도 내려갔는데 12개월 포워드PER로 계산했을 때 구글(17.5)이 S&P500(20.8)에 비해서도 낮아졌다. 반독점 재판의 영향때문인지 AI시대에 다른 기업과의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다는 두려움(OpenAI가 SearchGPT라는 웹 검색 제품을 개발 중이라는 보도 이후 최근 하락)때문인지 모르겠지만 구글 PER 17이라면 솔깃해지는 가격대다.

구글 GOOGL

어젯밤 조금 올라 다시 150을 회복했다.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평균 201이다.

구글 주가

구글에는 내가 좋아하는 구루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찰리 멍거의 후계자 리루는 GOOG와 GOOGL을 합해 포트폴리오 40%를 구글로 담고 있다. 이런 집중투자도 없다. 최근에 옥시를 추가했다. 리틀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빌 애크먼도 포트의 20%가 구글이다. 최근에 나이키를 추가했다. 테리 스미스도 포트의 5%를 구글로 채웠다. 현재 10%를 넘는 종목은 단 두 개,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다. 나이키도 1.9% 가지고 있다.

전체 검색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괴물 기업이면서 클라우드와 유튜브도 가지고 있다. 검색에서 14% 성장, 유튜브에서 21% 성장, 클라우드에서 28% 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동안 전체적으로 20%이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글 5년 성장률

그럼에도 11.8% 성장이 예상되는 S&P500보다 PER가 낮다?! 그래서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로 계산했다. 한달 전에도 간단밸류에이션을 했었는데 그때와 차이가 나는 것은 가정을 조금 보수적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구글 내재가치

인공지능 AI 시대는 상상력의 시대

인공지능 AI 시대는 상상력의 시대다. 질문을 잘하는 힘 역시 상상력이 뛰어나거나 사물을 뒤집어 볼 줄 아는 사람이 더 많이 가진 힘이다. 노동의 시대에서 자본의 시대로, 자본의 시대는 다시 상상력의 시대로 넘어 가고 있다.

생각하는 투자자

구글이 새롭게 공개한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 ImageFX를 가지고 놀고 있는데 뭔가를 그리기 위해서는 상상력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상한 장면을 구현해서 묘사하는 것, 그리고 영어 실력(현재는 영어 프롬프트만 가능). 파파고 같은 번역 툴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영어를 잘하면 할 수 있는 깊이와 범위가 훨씬 커진다.

“투자자”라는 단어를 사용했더니 옷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가 없었음에도 그림처럼 깔끔한 슈트를 입혔고 나이 지긋한 중년 남자를 그렸다. 인간이나 AI나 Investor라는 단어에는 그런 선입견이 들어가 있나 보다. 그래서 이번엔 “투기자”라는 뜻의 Speculator라는 단어 하나만 바꾸고 똑같은 프롬프트로 다시 한번 요청했더니 역시나 위 그림보다 훨씬 젊은 사람이 나왔다. 옷차림도 같은 슈트라도 싸구려 느낌.

실생활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것보다 아래와 같은 그림들이 훨씬 더 많은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재미도 있고. AI 로봇은 인간의 책을 읽고, 인간들은 책을 읽지 않는 세상. 지식의 근원인 책을 로봇이 감독하고 있는 모습은 상징적이다.

로봇 사서

마이크로소프트가 AI를 바탕으로 구글을 따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위 그림은 MS 엣지에서 무료로 서비스하는 이미지 생성기의 샘플을 그대로 가져왔다. 프롬프트를 제공하기에 구글에서 그대로 해봤더니 10초도 안걸려서 다음과 같은 그림을 내놓는다.

AI 로봇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로봇 같은 그림이 나왔다. 인간들은 폰을 보고 로봇들은 책을 읽고 있는 그림을 그려달라고 요청했더니 정책에 어긋난다고 거부한다. 유명인의 얼굴을 그려달라 해도 거부한다. 일론 머스크의 xAI에서 발표한 그록2(Grok-2)에서는 가능하다고 하는데 악용의 가능성도 있을것 같다. 더 핸드폰에 종속되면서 인간의 상상력은 고갈되고 있다. 상상력이 더욱 필요한 인공지능 AI 시대에 정작 상상력은 사라지고 있다. 블로그에 들어와 하얀 화면속에서 깜빡이는 프롬프트를 바라보면서 무슨 말로 시작할까 고민하는 것처럼 그림 그려주는 AI 프롬프트를 바라보면서 난 어떤 그림을 그리고 싶은가 고민하고 있으니.

내가 상상하는 만큼 아웃풋이 나오니 이젠 그림 실력보단 상상력이 더 중요해졌다. 그리고 싶은 것이 많은 사람, 만들고 싶은 것이 많은 사람,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많은 사람들이 경쟁력있는 세상이 되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소박한 현실을 바라 볼 줄 아는 시각 역시 중요해 졌다. 글이나 그림이나 영상이나 현실을 벗어난 공허한 상상력은 쉬이 질린다.

구글 검색 실적

메일함에 축하 메일이 들어와 있어 뭔가 하고 보니 구글 검색 실적, 최근 28일 동안 구글에서 검색 클릭이 50회 기록했다는 축하글이다. 내 블로그에 구글 검색을 통해 한 달에 50명 정도가 클릭해서 들어왔다는 얘기다. CTR을 확인해 보니 4.8%(네이버는 7.4%로 조금 더 높다)라고 나온다. 평균 클릭률 CTR은 클릭으로 이어진 노출수의 비율이라고 한다. 그럼 전체 노출수를 계산해 볼 수 있다. 50/4.8% 하니 1,041.66이다. 내 블로그가 구글에서 한 달에 1,000 조금 넘게 노출된다는 얘기다. 구글 검색에서 평균 게재순위를 확인해 보니 15.8번째다. 50번이라도 클릭해서 들어오는 게 기적이다~

구글 검색 실적

이런 숫자들을 확인하고 나면, 이제 어떻게 하면 저 15번째 게재순위를 끌어올릴까에 대해 고민하고 어떻게 하면 CTR을 높일까, 제목은 어떻게 쓰고 키워드는 어떻게 하고…같은 일들을 해야겠지만 난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게재순위가 30위 이하로 떨어져도 내 인생에 달라질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가 재미있으면 블로그를 계속하고, 재미없으면 그만 둔다. 남들이 얼마나 들어오든, 구글 검색 게재순위가 어디까지 올라가든, 블로그에 파워가 얼마나 생기든 내 관심사가 아니다.

그나마 블로그에서 내가 관심있어 하는 숫자는 체류시간이다. 현재 내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은 1분50초 내외다. 이걸 2분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재밌는 일일 것 같다. 물론 아직 블로그에 올린 글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더 낮아질 수도 있겠지만 계속 글이 쌓이다 보면 차차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내 블로그에 우연히라도 들어온 사람이 글 한 편을 재밌게 읽고 링크로 연결된 또 다른 글을 하나 더 읽으면서 조금이라도 오래 블로그에 머물면서 찰나의 겨를을 즐겼으면 좋겠다. 글 하나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다면 더할 나위 없고. 인사이트야 말로 구글 검색으로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구글로고

구글에 들어가니 태극기를 달았다. 광복절 아침인지라 신채호 선생님의 말로 끝낼려고 한다. 최근 돌아가는 일들이 심히 걱정되기도 하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