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러 PER

실러 PER 라는 개념이 있다. PER를 설명할 때 이야기했지만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인데 시가총액이야 즉시 확인가능하지만 이익은 통상 1년 이익을 사용한다. 과거 마지막 해의 1년 이익을 사용하기도 하고 최근 12개월(TTM) 이익을 사용하기도 하고 향후 12개월 이익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익의 몇 배? 로 간단하게 밸류에이션 할 수 있는 장점이 크기도 하지만 이익의 변동성이 큰 시클리컬 산업의 경우 믿을 수 없는 숫자가 되기도 한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책을 보면 이런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몇 년치 이익의 평균을 사용해서 PER를 계산하는 제안을 하고 있는데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 예일대 교수가 이 개념을 빌려 S&P 500지수와 주당 순이익 10년 평균값으로 산출한 주가수익비율을 만들었다. 이를 실러 PER라고 하며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라고 부른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비율이 낮을수록 미래 수익률이 높고, 비율이 높을수록 예상되는 미래 수익률이 낮아진다고 본다.

실러PER

현재 미국 시장이 비싸다고 할 때, S&P500 PER와 함께 실러 PER도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고 현재 위 그림과 같이 37.58로 과거 평균 17.19와 비교하지 않아도 1929년 대공황때 보다 높고 2000년 IT버블때보단 낮지만 아주 높은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

오늘 재밌는 글을 하나 읽었는데 지금보다 7년 전인 2018년 당시 실러 PER 32를 넘었을 때 전문가들 거의 대부분은 향후 주식 수익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주된 근거는 아래 그래프로 기간을 20년으로 늘릴수록 분산이 좁아지면서 예측력이 높아진다고 봤다. 12개국의 회귀분석을 통해 CAPE가 1% 증가할 때마다 향후 10년간의 연간 수익률이 8베이시스포인트(bps) 감소하는 기울기를 구했다.

실러PER과 미래 수익률 상관관계

하지만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달리 그 후 7년이 지난 지금 S&P500은 두 배 성장(수익률 120%)했다. 아래처럼 33배에서 시작하는 CAPE 중 가장 높은 7년 성과를 냈다.

최근 7년 S&P500 수익률

2018년 당시에도 CAPE 무용론을 주장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제러미 시겔 교수, GMO의 Jeremy Grantham과 Ritholtz Wealth Management의 CIO, Michael Batnick이다. 하지만 그들조차 향후 7년 동안 이렇게 높은 수익율을 보일지는 예측하지 못했다. 어쨌든 당시 그들의 주요 논리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당순이익(EPS) 성장의 구조적 변화 둘째, 인구통계상 은퇴연령에 접근하는 직장인들의 급증 셋째, 낮은 실질이자율 넷째, 낮은 금융 자산의 변동성과 거시경제 변동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런 논리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었다. 향후 EPS증가에 회의적이었고 순환적으로 평균회귀할 것으로 예상했다.

EPS 성장률 추세

다음과 같은 논리로 CAPE 회의론자들의 주장을 반박했다.

“첫째, 미래의 높은 EPS 성장을 뒷받침하는 주장은 다소 약하다. EPS 성장은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악명 높으며, 최근의 역사를 외삽하여 미래를 추정하는 것은 미래 성장을 예측하는 끔찍한 방법이다. 둘째, 수익 측정의 부정확성과 관련된 주장은 대안적 측정이 문제에 덜 취약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할인율의 변화로 인한 더 높은 CAPE 비율에 대한 주장도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 현재 매우 낮은 거시경제 변동성은 높은 균형 CAPE 비율을 의미하지만, 약 23에 불과하다. 현재 CAPE 비율은 40% 더 높다. 더 중요한 것은, 더 높은 균형 CAPE 비율을 이끄는 낮은 할인율은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낮아져 미래 수익률이 낮아지고, 가치 평가가 역사적 기준으로 회귀하면 더 나쁜 결과가 초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령화되는 노동력 인구통계와 산업별 독점화 경향, 그에 따른 혁신의 둔화로 인해 향후 EPS 성장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의 견해로는 최근 미국 기업 이익 증가 추세는 이미 끝났을 가능성이 큽니다. 수십 년 동안 변함없는 실질 임금이 노동자들의 반발 없이 계속 정체될 수 있을까요? 세계 무역과 이민을 억제하고 재분배를 촉진할 수 있는 포퓰리즘 압력은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모든 힘은 GDP의 일부로서 이익의 최근 성장을 멈추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역풍을 나타냅니다.”

“각 국가 내의 CAPE가 해당 시장 수익률의 강력한 예측 요인임을 보여주지만, 각 국가마다 CAPE의 균형 수준이 다릅니다. 캐나다가 20배, 독일이 19배, 영국이 14배의 수익률로 거래되고 있을 때, 특히 이 세 시장이 모두 각각의 역사적 CAPE 기준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고 미국이 그렇지 않을 때, 미국에서 수익 1달러당 32달러를 지불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야 하지 않을까요?”

“1871년 이후 실질 EPS 추세 성장률은 1.5%였습니다. 역대 최고 수익에서 GDP의 일부로 이보다 더 많은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배당 수익률이 2.0%인 경우 10년 후의 평가 수준이 정확히 오늘날과 같은 수준이라면 실질 수익률(수익률 + 성장)은 3.5%입니다. 현재 평가 수준에서 PE 확장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은 경우 향후 10년 동안의 최대 수익률은 3.5%입니다. 23의 값으로 평균 회귀하면 연간 30bp의 미미한 수익률이 발생하는 반면 역사적 평균 CAPE 비율 16.6으로 회귀하면 연간 -2.8%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CAPE 두려움: CAPE 반대론자들이 틀린 이유, 2018

최근 CAPE 반대론자 중 한 명이었던 Michael Batnick이 과거 7년을 복기하면서 다시 한번 달라진 투자 환경에 대해 이야기했다.

“첫째, 1929년에는 CAPE 데이터가 없었습니다. 90년대 후반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금융 시장에서 데이터가 발견되면서 그 본질이 바뀌었습니다. 시장은 물리 법칙에 따라 지배되지 않습니다. 시장은 살아 있습니다. 마치 미생물처럼 적응하고 진화하며 조정합니다. 둘째, CAPE 비율은 1980년대 이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해 왔습니다. 셋째,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오늘날의 회사들은 과거보다 훨씬 더 나아졌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시장이 CAPE가 한 자릿수였던 1980년대와 얼마나 다른지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가 있습니다. 당시 S&P 500의 약 60%가 제조업이었습니다. 오늘날에는 ~15%입니다. 마진이 더 높고 해자가 더 큰 기술 회사가 그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이들은 동일한 사업이 아니며, 투자자들이 그들을 그렇게 대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10대기업 FCF 마진 추이

그리고 2018년에도 그랬듯이 미래 수익률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주가수익비율이 무려 37배에 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번에는 진심입니다. 수익률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세요. 제가 또 틀렸다면 다행이죠. 제가 맞다면 적어도 실망하지는 않으실 겁니다. *나는 과학자가 아닙니다. 맞는 말 같네요.”
– Michael Batnick

“The Market Can Remain Irrational Longer Than You Can Remain Solvent”
– 케인스

끝으로 전문가들이 따로 언급하고 있진 않지만 언제나 강조했듯 인덱스 펀드(테리 스미스가 강조했듯 인덱스 펀드는 시가총액 가중 방식의 모멘텀 투자)의 증가 역시 투자 환경 변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인덱스 펀드의 증가


내가 고민하고 있는 가치 투자 3.0과 관련이 있어 길게 가져왔다. 여전히 망치만 손에 쥔 채, 못만 찾아 다니지 않는가. 아니면 모든걸 못으로만 보고 있는지도..

추가) 하워드 막스의 최근 메모 “버블에 대하여”에서 위에서 인용한 그림과 비슷한 그림을 올렸기에 추가한다. 1988년부터 2014년 말까지 매월 정사각형을 표시한 것인데 당시 S&P500 포워드 PER 배수와 이후 10년간 연환산 수익률을 보여준다. 즉 투자를 시작할 때 밸류에이션이 높으면 향후 10년 수익률이 낮아진다. 과거 27년의 결과로 예상해 보면, 지금 현재 포워드 PER 22 수준이면 향후 10년 연평균 기대수익률은 +2%에서 -2% 사이였다.

S&P500 PER와 향후 10년 수익

물론 과거가 미래를 정확하게 설명하진 못한다. 하워드 막스도 메모의 마지막에 반론을 싣고 있다. 1) S&P500 지수의 PER 배수가 높긴 하지만 미친 수준은 아니다. 2) M7은 엄청난 기업이기 때문에 높은 PER 배수는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3) ‘너무 높은 가격은 없다’라는 말은 들여오지 않는다. 4) 시장이 고평가되어 있고 거품이 끼어 있기는 하지만, 그다지 과열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중간에 최근 7년 수익률이 아웃라이어였던 것처럼 2014년까지의 결과를 2024년까지 기간으로 늘린다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투자에서 가장 비싼 말은 ‘이번에는 다르다(this time it’s different)’라는 말이라고 존 템플턴 옹이 말했다..ㅋ

세계 시장에서 S&P500 비중이 무려 51%

세계 시장에서 미국 S&P500 비중이 무려 51%, 나머지까지 합하면 거의 60%가 미국시장이다. 나머지 30%가 주로 유럽에 많은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증시, 그리고 10% 정도가 개도국 증시인데 여기서 3%가 중국이고 우리나라는 2%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계 주식시장에서 S&P500 비중


S&P500 중에서 상위 1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37.5%, 평균 PER 52.9 수준이다. 상위 20개 기업 비중이 전체의 47%다. S&P500 상위 20개 기업이 전세계 주식 시장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ㅋ 우리나라 크기 12개 국가와 맞먹는 규모로 테크기업 1개가 국가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S&P500 1년 수익률


S&P500 최근 1년 수익률 36%, 시총 상위 10개 기업 1년 수익률 62%(엔비디아, 메타, AVGO 덕분~), 상위 20개 기업 46% 수익률이다. 트럼프 당선되고(전체 수익률이 여기서 약 2%p 더 올랐다) 모두들 장밋빛 전망 일색이다. Fed는 트럼프 당선 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는 뉴스도 나온다(엊그제 0.25% 내렸다). 언제 꺼질지 모르지만 음악이 울릴 때는 춤을 춰야~

투자 전략 지도

투자 전략 지도를 훑어 보니 머스크가 올인한 트럼프 당선 후 테슬라 TSLA 급등해서 PER 88 로 엔비디아 NVDA 보다 더 높은 수준이 됐다. 일론 머스크가 역시 인물은 인물이다.

액티브 실적

S&P의 새로운 연구(2024년 6월 30일 데이터 기준)에 따르면, 액티브 주식 펀드 매니저의 약 90%가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고, 액티브 채권 펀드 매니저의 81%가 10년 동안 인덱스보다 실적이 낮았다. 거듭 강조하지만 다른 부문과 달리 투자에서 평균(인덱스 투자)은 중간이 아니라 상위 10~20% 안에 든다. 다만 10년 연평균 수익률 10%라고 해서 매년 10% 수익나지 않고 변동성이 아주 심하다. 어떤 해엔 지금처럼 30%가 넘기도 하고 또 어떤 해앤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오기도 한다.

다른 논문의 결과도 대체로 비슷.

액티브 펀드 실적


S&P500이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까? 단기 움직임은 아무도 모른다. 시계열을 길게 놓고 보면 보인다. 다만 투자에서 길게 기다릴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겐 1년도 너무 길다..

미국 주식 상위 매수 매도 현황

우리나라 투자자 최근 1개월 미국 주식 상위 매수/매도 현황~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주식인 테슬라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서학개미’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9일 증권가에 따르면 테슬라 주가는 미국 대선 개표 전날인 지난 5일부터 사흘간 20% 넘게 폭등했다.”

“현재 S&P500은 순환적 강세장에서 실제로 상당히 진전되었고, 주식이 장기간 급등하는 가운데 있다.”

S&P500 수익률

버크셔해서웨이 1조 달러 돌파

세계의 모든 눈과 귀가 엔비디아 NVDA에 쏠려 있을 때 워런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가 조용히 1조 달러를 돌파했다. 테크 기업이 아닌 걸로는 1조 달러 돌파가 처음이다. 정확히 5년 전부터 국내 자산에만 투자하지 말고 달러 자산에도 투자하라고 권했었고 버핏이 말한대로 S&P500 인덱스를 사라고 추천했었다. 또한 나라면 S&P500 인덱스도 좋지만 버크셔해서웨이 역시 인덱스와 거의 같으니 버핏을 선택하겠다고도 말했었다. 나역시 “했제”와 “그랬제”를 입에 달고 사는 꼰대일지 모르겠지만 내가 그때 당시에 한 말은 그대로 글로 남겨있으니 믿거나 말거나.

버크셔해서웨이 주가

5년 동안 134% 수익이 났다면 대략 년평균 18.5% 수익이다. 엔비디아의 5년 3,000% 수익과 비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성에 차지 않겠지만 내 눈높이에서는 대단한 수익이다. 버크셔는 사업회사이기도 하지만 투자회사나 금융회사 성격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재가치 분석에서 사업모델이 단순한 기업과는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대체로 내재가치와 가격이 비슷한 수준에서 오르내리는 기업이다. 주변에 개별기업 추천은 죽어도 하지 않지만 버크셔는 앞서 말했듯 인덱스에 가까운 기업이라 부담없이 권했었다.

원달러 환율

원화를 달러로 바꿔 미국 주식을 구매하면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효과가 있어 환률로도 5년동안 10% 정도 수익를 봤으니 대략 버크셔 투자로 최근 5년동안 연평균 20% 정도 수익을 본 셈이 된다. 같은 기간 낮은 금리를 고려해 봐도 아주 좋은 수익률이다.

“예언은 알 수 없는 것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지독한 것은 정확한 시간 내에 주가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주식(또는 모든 투자)은 오늘의 숫자에 내일에 대한 이야기를 곱하여 평가됩니다. 숫자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매출 또는 수입 또는 배당금을 가져옵니다. 그런 다음 해당 숫자가 미래에 어떻게 증가할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쉽습니다. 그러나 그런 다음 그 수치에 이야기를 곱해야 합니다. 낙관주의나 비관론, 투자자들이 정치인에게 얼마나 화가 났는지, 그들이 얼마나 똑똑하다고 느끼는지, 또는 그들의 고문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것은 투자자들이 그 숫자에 대해 얼마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에 대한 배수입니다. 그리고 그 배수는 알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한 순간에 사람들의 기분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1년 후에 낯선 사람들이 어떤 기분일지 누가 알 수 있겠습니까? 오늘 밤 내가 어떤 기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모건 하우절

그 당시에도 버크셔 투자를 권유하면 이런 질문이 돌아왔다. ‘버핏이 죽으면 어떻해?’ 이 질문을 한 대부분의 사람은 버크셔를 매수하지 않았다. 그런 질문을 받으면 나는 스티브 잡스 죽고난 후 애플을 보라고 했었다. CEO도 정말 중요하지만 사람 개인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DNA가 더 중요하다고도 말했다. 지금 다시 버크셔를 권유해도 똑같은 질문이 돌아온다. ‘정말 버핏이 죽으면 어떻해?’ 그리고 그들은 아무도 버크셔해서웨이를 사지 않을 것이다.

애플 AAPL 13년 주가

“위대한 일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 스티브 잡스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즐깁니다. 나는 날마다 탭댄스를 추며 출근합니다.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일을 하며,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합니다. 나는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생각하며 시간을 보냅니다. 미래는 언제나 나를 흥분시킵니다.” – 워런 버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