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비즈니스

버핏이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를 읽고 깨달은 가장 큰 것은 주식은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비즈니스라는 것이다. 사고파는 종이라면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주식을 비즈니스로 이해하고 오너의 마음가짐으로 비즈니스를 분석하고자 한다면 미스터마켓이 매일매일 기분에 따라 제시하는 가격 움직임에 반응할 필요는 없어진다. 사업의 퀄리티를 판단하고 오직 안전마진을 고려한 내재가치 이하의 가격에만 배트를 휘두르면 된다. 버핏은 주식 투자자의 거의 90%가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거의 매일, 매시간, 매분, 매초 배트를 휘두르고 있다.

워런 버핏


CR: 어떤 점이 가장 마음에 드시나요? 주식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를 고르는 것이죠.

WB: 네, 바로 그거죠. 하지만 11살 때는 주식을 골랐어요.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었죠. 주식에 관심이 많았고 주식은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죠. 차트를 만들었습니다. 기술적 분석에 관한 책도 읽었습니다. 에드워즈와 매기(Edwards and Magee)를 읽었는데, 당시에는 그게 고전이었던 것 같아요.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책을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읽었습니다. 거의 모든 책을 다 읽었죠. 저는 오마하 공공 도서관에 있는 주식 시장에 대한 모든 책을 정말 다 읽었습니다. 처음 8년 동안은 주식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고 주식 시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19살이나 20살 때 벤 그레이엄의 책을 읽고 제가 완전히 잘못된 방식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는 것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라는 책을 읽고 다시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그 이후로는 다른 ‘주식’을 사지 않고 상장된 ‘비즈니스’만 샀습니다. 저는 한 기업의 오너가 되었고 주식이 다음 날, 다음 주, 다음 달, 다음 해에 오르든 내리든 상관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것이 어떻게 될지 전혀 몰랐죠. 주식 시장이 어떻게 될지 몰랐어요. 하지만 저는 비즈니스를 알고 있었습니다. 몇몇 비즈니스를 알고 있었죠.

CR: 무엇이 필요하죠?

WB: 올바른 방향성이 필요합니다. 90%의 사람들은 – 제가 이 수치를 끌어낸 것이지만 – 주식을 사는 사람들의 90%는 주식을 올바른 방식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주식을 다음 주에 오르기를 바라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시장을 상승하기를 바라는 무언가로 생각합니다. 하락하면 기분이 나빠지죠. 저는 [시장이 하락하면 더 많이 살 수 있어서] 기분이 나아지죠.

CR: 어떻게 생각하세요?

WB: 저는 10년, 20년 후 회사의 가치가 어떻게 될지 생각하죠. 그러면 더 많이 사게 될 테니까요.

CR: 경쟁심이 강한 것 같네요.

WB: 네. 그렇죠. 하지만 경쟁 대상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합니다. 체스나 축구 등에는 경쟁심이 없어서 다행이죠. (웃음) 아니요, 저는 관찰자 입장입니다. 저는 그런 것을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길 수 있는 게임에서는 경쟁심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CR: 킬러 본능이 있으신가요?

WB: 아니요, 정확히는 아닙니다. 킬러 본능이라고 부르지는 않겠지만, 제가 뭔가를 하고 싶을 때는 항상 크게 하고 싶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11살 때 이미) 전 재산을 시티즈 서비스 우선주에 넣었습니다.

CR: $120.

WB: $114.75. (웃음) 전 재산을 투자한 그날(1942년 3월 11일) 이후로 저는 단 한 번도 제 돈의 80% 미만을 미국 사업에 투자한 적이 없습니다. 주식이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저는 이를 미국 비즈니스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항상 미국 비즈니스의 지분을 80% 이상 소유하고 있습니다. 저는 다른 것을 소유하고 싶지 않습니다. 집과 가족이 원하는 물건 등을 소유하고 싶지만 한 집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기 때문에 집을 다섯 채 소유하는 것은 저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모든 일에는 어느 정도는 잘못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집이 두 개라면 더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더 많은 행복을 누릴 수 없다는 것을 알아요.

“This country has unleashed human potential like no other country has in the world, It’s been a terrible mistake to bet against the United States ever since 1776 — and I think it will continue to be a mistake.”

“투기로 돈을 잃었다고 해서 투기가 현명하지 못했다고 믿는 것은 큰 실수입니다. 당연한 결론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투기란 불충분한 연구와 잘못된 판단에 근거한 경우에만 현명하지 못합니다. 저는 브리지 플레이어인 여러분에게 브리지 전문가들이 성공적인 플레이보다는 올바른 플레이를 강조하는 것을 기억합니다. 아시다시피, 제대로 플레이하면 돈을 벌고 잘못 플레이하면 장기적으로 돈을 잃게 되니까요.

부부 팀에서 가장 약한 브리지 플레이어였던 남성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그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후 마지막에 아내에게 매우 기쁜 마음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이 항상 내게 표정을 짓는 것을 봤지만, 이번 그랜드 슬램은 내가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내가 해냈어. 그거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겠어?” 그러자 그의 아내는 매우 침울하게 대답했습니다. “제대로 했으면 잃었을 거야.”

월스트리트, 특히 투기 분야에서는 신중한 계산을 통해 투자를 하려고 할 때 그런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어떤 경우에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게임의 일부일 뿐입니다. 제대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면 그것은 투기가 아니며 건전한 투기에는 이익의 기회가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공리적인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 벤저민 그레이엄

워드프레스 버전 업그레이드하면서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워드프레스 버전이 엊그제 6.7(‘롤린스’로 명명했다. 전설적인 재즈 색소포니스트 소니 롤린스를 기리기 위해서라고 한다)로 업그레이드됐다. Twenty Twenty-Five 테마도 함께 공개했다. 이렇게 버전이 올라가면 사용하던 다른 플러그인들도 그에 맞게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플러그인 개발사 입장에서는 바로 업그레이드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새로운 버전과 호환되는지 테스트는 해야 한다. 버전이 달라지면 어디까지 지원해야 하는지 문제도 발생한다. 과거 오래된 버전을 고수하는 사용자들에게 계속해서 지원을 해야 하는가. 아니면 업그레이드를 유도하기 위해 지원을 끊을 것인가. 끊는다면 어느 버전까지 정할 것인가.


엊그제 윈도우 업그레이드 처럼 사용자 입장에서도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면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업그레이드를 바로 따라가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 지켜보다가 이런 저런 자잘한 오류가 해결되고 난 다음에 업그레이한다. 물론 그럼에도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환경때문일수도 있고 고질적인 오류일 수도 있다. 개발사에서 고쳐주지 않는 오류는 본인이 해결해야 하는데 대부분 새로운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어설픈 실력으로 코드를 직접 수정하기엔 리스크가 많기 때문이다. 오류를 해결하는 플러그인이 많아지면 그로인해 복잡성이 증가하고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오류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오류도 증가하고 사이트 속도도 영향을 받아 느려지는 결과로 돌아온다. 애초에 오류가 없으면 좋은데 변화에는 이런 종류의 오류들이 동전의 양면처럼 들러붙어 있다. 오류에도 불구하고 개선으로 인한 효용을 추구하며 바로바로 업그레이드하는 사람을 진보적이라고 하고, 천천히 오류가 해결된 것이 확인될 때까지 업그레이드를 미루는 사람을 보수적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런 의미에서 나는 진보적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명저 “현명한 투자자”를 보면 먼저 투기와 투자를 구분하면서 투기자를 제외한 투자자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처음 번역은 공격적인 투자자(Enterprising Investor), 보수적인 투자자(Defensive Investor)로 개정4판에서는 공격적 투자자, 방어적 투자자1로 번역하고 있다. AI번역기에 Enterprising Investor를 번역해 보면 ‘진취적인 투자자’로 번역한다. 진취적이거나 진보적인 투자자와 보수적인 투자자. 이런 의미에서 나는 보수적이다.

진보와 보수가 정치적인 의미로 가면 첨예하게 대립하게 된다. 역시 나는 사안에 따라 진보적이기도 하고 보수적이기도 하다. 이런 나를 진보라느니 좌파라느니 혹은 보수라느니 우파라느니 하며 획일적으로 재단되는 것을 거부한다. 어떤 투자에서는 정말 진취적이면서 또 어떤 투자에서는 철저히 보수적일 수 있다. 사람이란 그런 것이다. 사람도 복잡하고 우리를 둘러 싼 시스템도 역시 아주 복잡하고 수많은 연결고리로 서로 연결돼 있어 단칼에 자르듯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과도한 이데올로기에 잠식돼 정확한 판단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이데올로기는 우리의 인식을 끔찍하게 왜곡시킵니다. 젊을 때 극단적인 이데올로기를 과도하게 받아들이고 그걸 표현하기 시작하면 두뇌를 아주 불행한 패턴에 가두게 됩니다. 그뿐 아니라 인식이 전반적으로 왜곡됩니다. 워런 버핏을 세속적인 지혜의 표본으로 삼는다면, 아주 흥미로운 사례가 있습니다. 워런은 아버지를 아주 좋아했습니다. 훌륭한 분이셨죠. 하지만 그분은 상당히 과격한 우파였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강경한 우파들과 어울렸습니다. 워런은 어렸을 때 아버지의 그런 모습을 보고 이데올로기가 위험하다고 판단했으며, 자신은 이데올로기와 멀찌감치 거리를 두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리고 평생 그렇게 했습니다. 그게 정확한 인식에 엄청난 도움을 주었죠. 저는 다른 방식으로 같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저의 아버지는 이데올로기를 싫어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버지를 따라 하면서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길에 머물기만 하면 되었죠.”
– 찰리 멍거

이제 워드프레스 업그레이드나 윈도우 업데이트는 조금 보수적으로 바꿔야 할까보다.

  1. 번역자의 고충도 충분히 이해되긴 하지만 “현명한 투자자” 본문 내용을 고려해 의역해 보면 ‘일반 투자자’와 ‘전문 투자자’가 저자의 의도에 더 적합하지 않을까 싶다. 여기서 일반 투자자라 함은 본인의 직업이 따로 있으면서 생계가 아닌 재산증식(또는 인플레이션 헤지)을 목적으로 주식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이다. 금융산업에 종사하지 않는 평범한 일반인 거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된다. 전문 투자자(글자 그대로는 진취적인 투자자지만 사업으로 투자를 하는 사람에 더 가깝다)는 투자를 본업이나 사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당시에는 제대로 된 직업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펀드매니저나 애널리스트, 투자전문가(전업투자자 포함) 등 투자를 통해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는 일군의 전문가 집단에 가깝다. 물론 일반 투자자들 중에서 좋은 성과를 내면서 전문 투자자로 옮겨 갈 수도 있다. ↩︎

포트폴리오 분산에서 고려할 점

워런 버핏은 분산투자를 무지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폄하했다. 무지하지 않고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정확하게 안다면 분산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보통 자신이 틀릴수도 있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분산을 선택한다고 하지만 버핏과 멍거는 그 위험을 분산이 아닌 안전마진으로 대비한다. 정확하게 잘 알고 있는 기업을 선택해서 충분한 안전마진을 확보한 가격으로 구매한다. 무지때문에 정확하게 틀리기 보단 지식을 통해 어렴풋이라도 맞는 쪽을 택한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현명한 투자자’ 책에서 밝힌 사업가적 투자자(가장 사업처럼 하는 투자가 현명한 투자라고..), 공격적인 투자자에 해당되는 얘기다. 나와 같은 대부분의 직업이 있는 일반인이 투자 대상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 버핏과 멍거처럼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붓기는 어렵다. 하루 대부분을 책을 읽으며 보내기는 더 힘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 방어적인 투자자에게 포트폴리오 분산은 필수적이다. 예전에 포트폴리오 적정 기업수에 대해서는 한번 얘기를 했었다. 그렇다면 포트폴리오 분산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일까?

“워런 버핏의 한탄 중 하나를 생각해 보세요. 그는 애플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사이클 초기에 있는 기술 회사에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를 살펴보면 성숙한 회사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탄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치 투자자들, 적어도 예전 가치 투자자들이 취했던 접근 방식은 거의 스스로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주가수익비율이 낮거나 장부가치가 크고 현금이 많은 주식을 사는 데만 몰두하다 보니 젊은 성장 기업을 놓칠 수밖에 없었고, 결국 그런 기업을 놓치도록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당신의 투자 철학이 당신을 라이프 사이클의 한 섹션에 집중시킬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한, 그것은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위험을 초래할 것입니다. 당신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을 모르는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투자 철학과 함께 오는 위험을 놓친다고 생각합니다.”

가치평가의 대가 애스워드 다모다란 교수가 최근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포트폴리오 분산이나 다각화를 생각할 때, 업종의 분산이나 국가 분산을 생각하기가 쉽지만 난 다모다란 교수의 말처럼 기업 라이프 사이클의 분산, 혹은 가치투자 1.0과 2.0, 그리고 3.0의 분산도 함께 고려해서 잠재적인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다각도로 분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치투자 방법론 자체가 젊은 성장 기업을 놓치도록 설계되어 있다. 버핏은 멍거의 도움으로 가치투자 2.0으로 진화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3.0으로의 진화는 더디다. 그의 후계자들은 거기에 조금 더 가까워지고 있다.

또 한 가지 고려할 점은 시점의 분산이다. 제대로 공부를 하고 주식투자를 시작한다면 시점 분산은 당연해 진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하더라도 포트폴리오에 편입할 주식 10개 내외를 한꺼번에 찾아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설령 한꺼번에 찾았다면(그럴 가능성이 아주 낮지만) 한 번에 주식을 모두 구매하기보다 시점을 나눠서 분산투자해야 한다. 역시 내가 틀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은 나를 능욕하는 미스터마켓(역시 그레이엄이 의인화 한 말이다)이다. 내가 매수하길 기다렸다가 매수하기만 하면 내리꽂아 버린다. 그런 미스터마켓에 끌려다닐 것인가, 아니면 내 말을 잘 듣는 하인으로 부릴 것인가. 시장을 내리꽂아 할인가가 됐을 때만 매수해도 좋다. 비싼 가격을 제시하면 거들떠도 안보면 그만이다. 투자에는 삼진아웃이 없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말년에 자신의 책을 뒤집는 발언을 했다. 사실 그레이엄의 뛰어난 점 중 하나는 끊임없이 자신을 부정하는 것이다. 책을 개정할 때면 항상 자신의 기존 주장을 뒤집거나 업그레이드했다. 자신이 틀렸을 때는 깔끔하게 인정하기도 했다. 그야말로 ‘지적 정직성’을 가지고 있었던 드믄 사람이었다. 말년에 그는 일반 투자자, 방어적인 투자자라면 애쓰지 말고 그냥 인덱스로 분산하는 게 낫다는 결론이었다. 버핏이 하는 말과 똑같은데 알고 보면 버핏이 하는 말의 90% 이상은 그레이엄의 말이다.

인덱스 수익률

약 10년 전에 다우(그레이엄 당시 대표 인덱스)를 샀다면 대략 145% 수익(CAGR 9.37%)이다. S&P500을 샀다면 190%(CAGR 11.23%), 나스닥을 샀다면 311% 수익(CAGR 15.18%)이다. 만약 나스닥 수익률처럼 년 15%로 꾸준히 수익을 낸다면 5년 후에 더블이 되고 50년 후에 1,000배가 된다. 복리의 힘이다. 물론 과거가 미래를 보장하진 않는다. 누누이 강조하지만 수익에서 중요한 건 기간이고, 기간에서 중요한 건 인내다. 그것이 스노우볼의 핵심이다.

주식을 공부하고 직접 선택하는 것보다 인덱스 투자는 쉽다. 쉬우면서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만 하면 전문가들보다 좋은 수익을 낼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실은 인덱스 투자자가 저 수익을 모두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성과가 떨어진다. 최근 모닝스타 연구에서 지난 10년 동안 인덱스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평균 수익률이 약 6.3%였다고 한다. 왜 그럴까? 가만히 두지 못하는 행동때문이다. 고가에 매수하고 저가에 매도하는 것처럼 인덱스도 개별 주식투자처럼 시장에 휘둘리기 때문이다. 쉽게 사고 쉽게 팔수록 수익률은 녹아 내린다.

요즘 또 글을 자주 올리고 있다. 글쓰는 것도 주기가 있나보다. 이제 다시 좀 줄여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