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 자기자본이익률

PER, PBR과 함께 주식투자자라면 다 알고 있는 개념이 ROE 자기자본이익률이다.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한 재무 성과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자기자본은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과 같기 때문에 ROE는 순자산 수익률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자기자본 조달을 통해 수익과 성장을 창출하고 있으므로 더 효율적으로 경영이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산할 때 분모인 자기자본은 순이익이 발생한 기간 동안 시작과 끝의 평균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ROE는 수익과 성장, 두 가지를 함께 볼 수 있고 계산도 쉽기 때문에 그만큼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 특히 버핏이 좋아하는 지표다. 기업이 주주의 돈을 이용해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다. 다만 일시적인 이유로 순이익이 급증해서 ROE가 좋아질 수 있으니 과거 5년 평균, 10년 평균 값과 비교해서 현재 ROE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분자가 순이익이기 때문에 시클리컬한 기업일수록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감안해서 살펴 봐야 한다.

또 ROE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부채비율이다. 순이익/자기자본 식이기 때문에 분모에 포함되지 않는 부채를 많이 사용해서 순이익이 늘어나면 ROE가 좋아지게 된다. 이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ROE를 순이익률×자산회전율×재무레버리지로 분해한 듀폰공식으로 봐야 한다. ROE 증가가 순이익률이 높아져서인지, 자산회전율이 늘어서인지, 아니면 부채가 증가해서인지를 과거 지표와 함께 꼼꼼히 살펴 봐야 한다.

그렇게 ROE를 뜯어서 자세히 분석하다 보면 기업의 경영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자본을 배치하고 있는지, 사업전망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ROE를 분석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바로 이것이다. 경영자의 자본배치와 경영자의 의도를 알아채는 것!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경영되고 있는지를 보는 점수표가 바로 ROE인 것이다.

그럼 우리나라 코스피의 ROE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먼저 구글검색에서 찾아본 매일경제신문 기사의 그림이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ROE추세를 나타내는 그림인데 2011년 14%였던 코스피 ROE가 2020년 6월 전망은 7.5%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2020년 ROE는 3.94%로 급락했다가 다음해인 2021년에 8.96%로 회복했다.

(출처 : 매일경제신문)

위에서 표시한 선행 ROE보다 최근 10년동안 정확한 코스피 후행 ROE가 궁금해서 국가통계포털 KOSIS에 들어가서 직접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 그래프로 그려 봤다.

최근 10년 코스피 ROE 평균은 7.29%, PBR 평균은 1.03이고 PER 평균 15.10(비정상적으로 높았던 2020년을 제외하면 13.66)이었다. ROE가 조금씩 내려가면서 PBR도 함께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5% 내외인 걸 감안해 보면 7% 조금 넘는 ROE가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주식투자를 해야할 지 의문을 품을 정도의 수준이다. 미국 S&P 500의 현재 ROE는 16.75% 내외로 국내 코스피 ROE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코스피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주식위험프리미엄을 포함한 ROE가 10% 수준으로 올라가야 한다. 워런 버핏은 ROE의 하한선을 대략 15% 정도로 보고 기업을 찾는다.

ROE를 끌어 올릴 수 있는 방법중 하나는 배당이나 자사주매입 소각을 하는 방법도 있다. 특히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낮은 배당수익률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코스피 시장을 외면하는 큰 이유기도 하다.

생활 속 루틴 끼워 넣기

모든 사람들은 부지불식간에 일정한 루틴을 가지고 있다. 루틴이라는 외래어보단 습관이라고 부를수도 있지만 습관은 하나하나 개별적인 느낌이 들어 일정한 수순을 밟는다는 의미가 있어 보이는 루틴이라는 말을 그대로 쓰련다. 루틴 끼워 넣기란 부지불식간 행하는 루틴에 다른 루틴을 끼워 넣어 뇌가 거부하기도 전에 자연스레 행하는 걸 도모한다.

이를테면 매일 아침 화장실에 가는 루틴이 있다면 거기에 양치질을 하는 루틴을 슬며시 끼워 넣는거다. 몇 번 하다보면 어느새 뇌가 스스로 받아들여 거부감없이 습관이 된다. 매일 아침 뉴스를 읽는 습관이 있다면 뉴스를 읽는 순간에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걸 끼워 넣는다. 뉴스를 읽으면서 의식적으로 호흡을 느끼면서 하는 것이다. 길게 들이 마시고 길게 내뱉는 걸 의식적으로 하다보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 앉는 걸 느끼게 된다.

명상


숨을 들이 마시는 것보다 2배로 길게 내 쉰다. 의식하지 않고 호흡을 하면 짧게 들이 마시고 짧게 내 쉬는 나를 발견한다. 어차피 매일 뉴스를 읽는 다면 눈은 뉴스를 따라 움직이겠지만 내 호흡은 복식호흡을 하면서 긴장을 완화하고 심신안정을 꾀할 수 있다. 복식호흡 1시간이 걷기 운동 24분, 자전거 30분의 칼로리 소모와 비슷한 칼로리를 소모한다고 한다. 물론 1시간은 힘들거고 하루에 10분씩 틈나는 대로 짧게라도 시도해 보면 좋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물 한잔을 마시는 루틴도 가지고 있다. 군대에서부터 생긴 루틴으로 일어나면 물 한 잔을 마신다. 공복에 마시는 물이 좋다는 말도 있고, 안좋다는 말도 있는데 난 좋다고 생각하고 한다.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은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 미지근한 정도가 좋다고 한다. 온도보다 중요한 것은 속도다. 너무 빨리 마시기보단 천천히 마시는 게 좋다.

루틴속에 키워 넣기도 있지만 빼야 할 루틴도 있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보는 루틴이 그 중 하나다. 꼭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이 있다. 잠자리에 들땐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게 좋은데, 그 습관을 버리기가 참 힘들다. 루틴 끼워 넣기도 중요하지만 잘못된 루틴 빼기가 더 중요한지도 모르겠다. 현재 내 루틴 중에서 뺄 것을 먼저 생각해 보고나서 끼워 넣을 루틴을 찾아 보는 게 맞는 순서다. 쓸데 없는 물건을 정리하는 미니멀리즘이 정말 필요한 것은 바로 여기가 아닐까 싶다.

채워야 비워지고 비워야 채워진다.

사진일기를 꾸준히 쓰는 사람들도 있네

어제 라디오를 듣는데 사진일기를 꾸준히 쓰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밴드로 모여서 매일 자신이 찍은 사진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하루라도 올리지 않으면 밴드에서 강퇴(?)된다고. 사진을 일기처럼 활용하는게 글로 일기를 쓰는 것보다 쉽고 편하기도 하지만 다른 장점들도 있다고 한다. 사진 주제도 사람마다 다 달라서 자신의 모습을 찍는 사람, 음식 사진을 찍는 사람, 풍경 사진을 찍는 사람…

아침에 라디오에서 들은 사진일기가 생각나서 풍경사진 한 장을 찍었다. 동트기 전 하늘 색감이 너무 아름다웠다. 시월 이맘 때 하늘이 제일 예쁘다. 자연이 공짜로 선물하는 것이니 마음껏 누리자.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