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는 어렵다

모든 투자가 쉽지 않겠지만 특히 주식 투자는 어렵다. 용어부터 어려워서 시작하자면 새롭게 공부해야 할 것도 많고 어떤 방법이 올바른 방법인지 현혹시키는 거짓 이론과 가짜 구루들이 넘쳐 난다. 자신을 따라하기만 하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장담한다. 그들이 제시하는 수익률을 보면 공부를 시작하기도 전에 어질어질해 진다.

다행히 올바른 투자 방법을 선택하고 공부하고 실천하더라도 많은 어려움이 곳곳에 숨어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그중에 내가 느끼는 가장 큰 투자의 어려움은 바로 ‘지연된 보상’이다. 그리고 지연된 보상을 기다리기 위해 당연히 필요한 ‘인내’다. 지연된 보상을 얻기 위한 인내가 필요한 분야가 바로 주식투자인데 시장에서 가장 찾기 어려운 것이 바로 이것이다. 그래서 주식투자는 어렵다.

남과 달리 이 인내를 가진 투자자라면 주식투자가 한결 쉬워 진다. 아래 그림을 보자.

S&P500 승률

1950년 이후 미국 S&P500을 투자했을 경우, 최소 6년 이상 주식을 보유하기만 하면 어느때 투자를 시작했더라도 수익을 볼 확률이 98%이상이다. 미국주식시장이니까 그렇겠지 싶겠지만 미국을 제외한 세계 주식의 경우도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세계주식 승률

벤저민 그레이엄이 일반투자자들에게 추천했던 주식 60 : 채권 40으로 투자하면 어떨까? 그렇게 해도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60/40 승률

최소 6년 이상만 보유하기만 하면 어떤 호황기에 주식투자를 시작했건 수익이 난다. 주식투자로 수익이 나지 않았다면 자신의 투자지식이나 IQ를 탓하지 말고 자신에게 인내가 있는지 없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어떤 투자자인지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 우리나라 주식투자자의 평균 보유기간을 한번 검색해 보면 왜 국내 주식투자자들이 수익을 얻지 못하는지가 그대로 나온다.

“2024년 6월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데이트레이딩 거래량은 총 1020억9774만주로 전체 거래량(1752억3760만주)의 58%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데이트레이딩 거래대금은 총 1111조원1139억원으로 전체 거래대금(2302조5862억원)의 48%로 집계됐다. 올해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코스닥이 57.1%로 코스피(40.1%)보다 높았다. 코스닥에서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는 주로 40%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부터 50%대로 올라섰다. 반면 유가증권시장에서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최근 5년간 30∼40%대에 머물렀다. 이러한 데이트레이딩 주체는 개인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올해 유가증권·코스닥 데이트레이딩 중 개인 비율은 71.3%로 가장 컸다. 외국인과 기관 비중은 각각 17.8%, 10.2%에 그쳤다.”

주식 투자 자체가 기본적으로 어려운 투자인데 거기에 인내심까지 없이 단기로만 주식을 사고 파는 게임을 한다면 난이도는 훨씬 올라간다. 대체로 투자자는 장기로 생각하고 투기자는 단기로 생각한다. 당신은 투자자인가 투기자인가. 당신에게 장기는 얼마의 기간인가. 지금 높은 수익을 자랑하는 주변인들을 부러워하거나 질투할 필요가 전혀 없다. 그들이 최소 2~3년, 일반적으로 5~6년 전에 뿌린 씨앗을 지금에서야 조금씩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맹목적으로 남을 부러워하느니 지금 당장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좋은 기회를 찾고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데 초점을 맞춘 올바른 투자 철학을 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충분한 인내심을 갖지 못합니다. 어떻게 하면 생각과 행동을 일치시킬 수 있을까요?

“사람들이 카지노에서 도박을 하는 방식으로 투자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것입니다. 장기적인 투자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카지노에서 도박을 할 때의 액션을 좋아하는 사람들처럼 때로는 이기고 때로는 지는 투자 행위를 좋아한다면 그런 사람들은 제 사람이 아닙니다. 저는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을 만한 것을 알아내고 그것을 사는 장기 투자자를 좋아합니다. 중국인들이 도박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더 많이 투자할수록 더 빨리 더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 찰리 멍거

벤저민 그레이엄 자서전을 읽고

증권 분석과 현명한 투자자는 오래 전에 읽었지만 벤저민 그레이엄의 자서전은 이제야 읽었다. 그레이엄의 생애에 대해선 토막 토막 대체로 아는 내용이었지만 자서전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들도 몇 있었다. 본인을 율리시스(오디세우스의 로마명), 벤저민 프랭클린, 그리고 빅토르 위고가 하나로 합쳐진 인물이라는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것과 같은,

율리시스가 보여준 불굴의 의지와 용기 그리고 고난과 역경을 이긴 호쾌한 승리를 좋아했다. 율리시스의 성격이나 운명이 그레이엄과는 완전히 달라서 그 다르다는 사실에 마음을 빼앗겼다고 생각했었지만 나이가 들어 보니 율리시스의 허물과 미덕이 자신에게도 상당히 많이 보인다고 썼다. “싸워라, 구하라, 발견하라. 그리고 절대 굴하지 마라.”

1919년부터 1929년까지 그레이엄은 놀라운 속도로 성공가도를 달렸다. 1926년 여름, 별장에서 편안한 휴가를 즐기던 어느 주말에 빅터 형이 찾아와 그레이엄에게 모든 일이 이렇게 잘 풀리니 얼마나 좋으냐고 했다. 그 말에 그레이엄은 “모든 일이 너무 잘되고 있지 그런데 또 누가 알아? 불행의 씨앗이 우리 사이에 복병처럼 숨어있을지?” 그 달콤한 순간 1927년에 첫째 아들을 잃었다. 그리고 헤이즐과의 부부사이도 삐걱거리며 결혼 생활도 흔들려 별거를 하게 되고 결국 외도까지 이르게 된다. 나중에(1938년) 헤이즐과 이혼을 하게 되고…

1929년는 모두가 다 아는 대공항을 맞이하게 된다. 이 후 1932년까지 그레이엄은 자본금(250만 달러)의 거의 70%를 잃게 되는 시련도 기다리고 있었으니 불행의 씨앗을 예감한 그레이엄이 맞았다. 1933년에는 겨우 자본금 37.5만달러로 시작해야 했지만 그 해 50%가 넘는 이익을 내면서 그레이엄은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들을 잃은 슬픔은 거기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가외의 일을 추구하던 그레이엄을 1927년 컬럼비아대학 ‘증권 분석’강의로 이끌게 되고 지금의 명성을 얻게 되는 시초가 된 셈이다. 그 강의 수강생 중 한 명이었던 데이비드 도드는 조교가 되고 7년이 지난 1934년 ‘증권 분석’의 공저자가 된다. 아들을 잃은 슬픔이 씨앗이 되어 가치투자의 아버지라는 명성의 초석이 된 셈이다.

사실 이런 긍정적인 시각은 그레이엄의 특기다. 1929년 대공항이 닥친 해에 그레이엄의 손실은 예상보다 적었다. 공매도로 헤지를 했기 때문이데 문제는 -50%를 기록한 1930년이었다. 1930년이 시작되는 겨울에 존 딕스라는 93살의 은퇴한 사업가를 만나고 당장 모든 돈을 빼라는 충고를 받았지만 이를 무시한다. 그리고 3년간 크나 큰 고통을 겪게 되는데 자서전엔 이렇게 적고 있다.

“그레이엄 씨, 이번에 본인을 위해서라도 당신이 아주 중요한 결단을 내렸으면 합니다. 내일 기차를 타고 뉴욕으로 가세요. 그리고 곧장 사무실로 가서 보유 중인 증권을 다 파세요. 부채도 다 청산하고 자본금은 파트너에게 분배하시지요. 이런 상황에 내가 지금 당신 처지라면 밤에 한숨도 못 잘 겁니다. 당신도 그래야 해요. 지금 상황이 아주 엄중합니다. 내가 나이도 훨씬 많고 경험도 많아요. 그러니 내 말을 듣는 게 좋을 겁니다.”

어른의 말을 겸손히 받아들이는 척하면서 조언 고맙다고 말하고 해주신 말씀 잘 생각해보겠다고 대답했다. 그러고는 바로 그 노인의 말은 깡그리 무시했다. 딕스라는 노인은 거의 노망난 수준이라서 내가 하는 거래를 이해는 하는지 모르겠고 당최 이치에 닿지도 않는 말을 늘어놨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딕스가 전적으로 옳았고 내가 틀렸다. 가끔 그때 그 조언을 받아들였다면 내 인생이 어떻게 됐을지 궁금할 때가 있다. 그 말대로 했다면 아마 걱정과 후회가 많이 줄어들었을 터였다. 그러나 그 호된 시련을 겪고 난 후에 형성된 성향과 활동 특성이 또 그만한 가치가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