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단상

일요일 오전에 생각나는 게 있어 조금은 긴 글 한편을 써두고는 내일 아침에 올라가도록 예약해뒀다. 휘몰아치는 스팸을 지우면서 주말을 잘 보내고 저녁 무렵이 되니까 한달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올렸는데 이제 하루가 빈다는 생각이 계속 머리를 어지럽히고 있다. 그냥 이빠진 채로 두면 좋을 것 같으면서도 또 한편으론 아쉬움도 든다. 그래서 또 이렇게 흰 백지 앞에 앉아 짧게 주말 단상을 적는다. 아무래도 취미가 블로깅이 될 것 같다..ㅋ

주말에 한강 작가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100페이지 넘게 읽다가 문득 내가 왜 그동안 소설 책을 멀리하고 있었는지를 다시 한번 깨달았다. ‘모비딕’이나 ‘모스크바의 신사’를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그 섬세한 문학적인 묘사와 비유들이 내 마음에 와 닿지가 않는다. 마치 파인다이닝의 잘 차려진 요리같달까. 젊은 시절엔 참 많은 소설들을 재밌게 읽었는데 이젠 그런 소설 속 재미를 예전처럼 쉽게 찾을 수가 없다. 유튜브와 영화나 드라마 같은 시청각 미디어에 너무 많이 노출된 탓일까. 아니면 빠르고 효율적인 것을 추구하는 습성때문일까. 느릿느릿한 전개와 지나칠 정도로 자세한 묘사와 비유들이 오히려 책장을 잡고 앞으로 나가지 못하게 방해한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책을 덮고 드라마를 집어 들었다. 요즘 새로 재미를 붙인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다. 홈페이지 이름이 ‘의심’이다..ㅋ 이야기도 재밌고 배우들의 연기도 좋고 영상미도 좋다. 하긴 드라마 소재라 봐야 형사, 변호사, 의사 같이 사건이나 대상이 계속 바뀌는 직업들이 주가 된다. 그래서 평범한 동네 사람들이 주인공인 ‘나의 아저씨’같은 드라마는 참 드믈다. 평범함 속에 특별함이 있는 법인데 한강 작가의 소설이 쉽게 진도가 나가지 않는 이유가 특별한 사건을 주제로 한다는 내 선입관이 들어가서가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소년이 온다’와 ‘채식주의자’도 주문을 넣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걸릴거 같다는 톡을 받았다. 이젠 책을 쥐면 자동으로 내 시간이 먼저 계산된다. 그래서 예전에는 한번 책을 쥐면 끝까지 읽었지만 지금은 언제든지 내 흥미를 끌지 못하면 중간에 그만 읽는다. 그래서 내겐 끝까지 읽은 책과 중간에 그만 읽은 책으로 나뉜다. 부디 한강 작가의 소설은 끝까지 읽은 책에 들어가길…

한강의 소설책을 구했다

모처럼 첫째 아이와 함께 점심을 먹고 습관처럼 동네에 있는 교보문고로 걸음을 옮겼다. 읽고 싶은 책을 고르면 사준다고 항상 서점에 들어가기 전에 얘기하지만 애들은 읽고 싶은 책이 없다고 한다. 아빠를 생각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아빠 마음은 좋은 책 한 권 사주고 싶은데.. 한강 작가가 노벨상 받았다고 온 나라가 난리인지라 덩달아 나도 한강이 쓴 책을 읽은 적이 있었나 싶어서 책장을 뒤져보니 ‘여수의 사랑’ 딱 한 권 밖에 없다.

작별하지 않는다

그러곤 한강 노벨상에 대한 뉴스를 보다가 한강의 낭독을 들을니 소설책 중에 ‘작별하지 않는다’만 읽고 싶어졌다. ‘소년이 온다’는 시대를 아는지라 읽기 힘들 것 같았고 맨부커상을 받은 ‘채식주의자’는 하도 어렵다고들 해서 복잡한 일도 많은데 굳이.. 당연히 서점에는 품절대란일테니 지금 예약해도 11월에나 받겠다는 뉴스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 오늘 서점 매대에서 읽고 싶었던 바로 그 책을 발견해서 바로 구매..러키비키(무슨 말인지..ㅎ)잖아.

한강 작가 나이를 보고 모르긴 몰라도 함께 수업을 들었을수도..라고 행복회로를 돌렸다. 하다 못해 채플이라도~ 그러고 보니 봉준호 감독이 아카데미 상 받았다는 뉴스를 봤을 때도 똑같은 생각을 했다..ㅋ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우리나라 작가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결코 벌어지지 않을 것 같은 일들이 벌어지는 게 너무 신기하기만 하다. 주식하는 사람들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관련주 상한가로 먼저 느낀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확정되고 서점 출판 관련 주식들이 급등을 했고 몇 개는 상한가로 직행했다. 말과 뉴스보다 자본의 움직임이 더 빠르다. 주말 아침에 그 중 몇개의 주가를 확인해 보면서 또 생각을 하게 된다.

한세예스24홀딩스 주가

예스24 시총 2,340억이다. 하루에만 시가총액이 700억 가까이 올랐다. 발표 후 하루동안 판매된 한강의 책이 약 30만 권, 그 중 예스24가 13.2만 권을 판매했다고 한다. 30만 권을 대략 15,000원으로 계산하면 45억 매출이고 예스24는 약 20억 남짓 판매한 셈이다. 물론 한강의 책을 찾기 위해 매장이나 사이트를 방문하는 고객수가 늘면서 자연스레 전체 매출 역시 증가했을 것이다. 실제 매출 증가와 주식 가격의 상승 사이엔 이런 관계가 있다. 사실보다 훨씬 급등한다. 물론 안좋은 뉴스에는 실제보다 훨씬 더 하락하기도 한다. 투자자는 시장의 이런 변동성에 끌려 다니기 보다는 이런 변동성을 하인처럼 이용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벤저민 그레이엄이 “현명한 투자자”에서 이야기했던 핵심 중 하나다.

한세예스24홀딩스 투자 전략 지도


습관처럼 한세예스24홀딩스 투자 전략 지도를 봤다. 국내기업 대부분이 위치한 바로 그 곳에 위치해 있다. 아무리 싸더라도(상한가 후 현재 PER 4.53) 이런 기업엔 시선이 가지 않는다. 테드 윌리엄스가 “타격의 과학”에서 말한 피해야 할 왼쪽 아래 공(아래 그림의 회색지역)이다. 나쁜 공에도 스윙을 하는 타자라는 점을 투수에게 간파당하면 타자는 절대 아무것도 할수 없다. 테드 윌리엄스는 sweet spot(아래 그림의 빨간 부분)에서 스윙을 했다.

“먼저 스트라이크 존을 77개의 작은 셀(cell)로 나눈다. 셀 하나는 야구공 한 개 정도의 크기다. 다음으로 77개의 셀 가운데 내가 가장 좋아하는 ‘3개 반’의 셀에 공이 들어올 때 타격한다.”

버핏은 이 책에서 말한 ‘타자의 선구안과 기다림의 미학’을 자신의 투자 원칙으로 삼아 이 책의 표지를 자신의 방에 걸어 놓고 끊임없이 되새겼다.

타격의 과학


나는 내 책의 마지막에 이렇게 적었다.

  1. 지나간 좋은 공은 아쉬워하지 말 것
  2. 이미 휘두른 나쁜 공은 빨리 잊어버릴 것
  3. 스트라이크 존을 최대한 좁힐 것
  4. 좋은 공이 올 때까지 기다릴 것
  5. 마침내 기다린 공이 왔을 때 배트를 힘차게 휘두를 것

투자자라면 스스로 좋은 공과 나쁜 공을 구분할 줄 알고 타석에 서야 한다. 당신의 sweet spot은 어디인가? 투자자라면 sweet spot으로 공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투자에는 삼진아웃이 없다. 당신은 기다릴 수 있는가? 선구안과 기다림은 대개 여기까지다. 정말 중요한 건 기다리던 sweet spot에 공이 들어왔을 때 정말 힘차게 휘두르는 것이다. 내 반성문의 가장 큰 부분은 바로 여기였고, 그리고 그 다음의 긴 기다림(배트에 맞은 공이 홈런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였다. 워런 버핏이 말한 기다림의 미학에는 이렇게 두 개의 기다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