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내재가치

삼성전자 (본주)시총 300조 밑으로 한번 찍을 거 같아서 사진하나 찍어 둔다. 4만전자 한번 찍을거 같아서. 삼성전자가 우리나라 대표기업이긴 하지만 비즈니스모델이나 기업 분석을 해보면 내가 선호하는 기업은 아니다. 다만 이런식으로 과도하게 한방향으로 쏠린다면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면서 한번 살펴 보고 싶어진다.

삼성전자 주가


현재 PBR 0.93 수준. 수익률 관점에서 내 기준에 미치지 않아서 일견 수긍이 가는 밸류기도 하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대표기업인데 싶은 아쉬운(?) 마음도 든다.

삼성전자 PER PBR 밴드


오랜만에 10초 내재가치 계산기를 돌려 봤다. 내가 삼성전자를 별로로 보는 이유는 아래 그래프처럼 CAPEX때문에 FCF와 당기순이익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내 10초 계산기로는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아래에 있는 저평가로 나온다. 물론 10초만에 나온 결과지만 여기엔 많은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삼성전자 10초 내재가치


기 보유자들은 멘탈이 나갈 수준의 가격하락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본 것처럼 외국인들이 8월부터 줄기차게 비중을 줄여나가고 있는데(거의 월 1%p씩) 삼성전자의 주가 움직임과 정확히 일치하는 모습니다.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를 부각시키는지 개별기업의 문제로 보는지도 잘 모르겠다.1

삼성전자 외국인 매도


어쨌든 AI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과 함께 트럼프 당선후 칩스법 폐기 우려에 모두들 던지고 있다. 외국인 매도가 언제까지 계속될까? 난 모른다. 다만 내 계산으론 삼성전자가 저평가 국면에 들어와 있다는 것만 알겠다. 만일 삼성전자의 비즈니스모델이 내 기준에 맞았다면 분할 매수에 들어갔을 가격이다. 나같은 일개 개인이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을 제대로 분석할 수나 있을까 싶지만 삼성전자를 충분히 공부한 기보유자라면 지금 가격이 두려움에 떨 때일까, 용기를 가질 때일까.

국민연금 투자종목


방금 조회해 보니 국민연금이 7.68% 가지고 있다. 만약 국내 주식에 100조를 투자한다면 비중대로 삼성전자는 대략 20~25조를 담아야 한다. 국민연금이 가지고 있는 비중으로 계산해보니 본주만 약 23조 이상이다.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자산이 녹아 내리고 있다. 작년말에 비해 삼성전자에서만 거의 10조 가까이 손실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그리 허약한 기업인가?


블룸버그 자료에 의하면 올해 우리나라 GDP성장(2.2%)의 거의 반(1.1%)을 삼성전자가 기여할 것으로 봤다.

삼성전자 GDP 성장 기여도
  1. “믿었던 너마저…” 삼성전자 기초ELS, 첫 ‘녹인 상품’ 등장…이런 것들도 분명히 영향을 주고 받았으리라. ↩︎

“삼성전자 내재가치”의 한가지 생각

  1. “주식 투자자는 다른 사람들이 그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서 옳거나 그른 것이 아닙니다. 그가 옳은 것은 그의 사실과 분석이 옳기 때문입니다.”
    – 벤저민 그레이엄

    1년전 이때 용기를 가진 사람들은 지금 해피할까^^
    삼성전자가 5만원일땐 모두 외면하다가 10만원이 되니 모두 사야되나 고민한다..ㅋ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불과 1년만에 100% 이상 올라가는 게 주식시장이다.
    버핏이 마지막 편지에서 말했듯 얼마든지 50% 이상 빠질 수도 있는 게 역시 주식시장이고.

    국민연금 수익률이 20% 내외라고 한다. 물론 여기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포함된 국내 주식시장의 상승이 큰 역할을 했다. 이리되니 국민연금 국내 주식 비중이 적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한다. 그렇게 따지기 시작하면ㅎㅎ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