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가 장안의 화제인가보다. 넷플릭스 시청 1위에 랭크되어 있고 SNS 이곳 저곳에도 마케팅인지는 알 수 없지만 드라마 관련 코멘트가 줄을 잇고 있다. 사실 초반에 과도하게 많이 노출되길래 마케팅인가? 하고 생각했었는데 이제는 정말 재밌게 보는 시청자들이 늘어난 게 느껴진다. 국내 2위에 랭크된 ‘소년의 시간’은 해외에서 전체 1위를 하고 있는 영국 드라마다. 내 반골기질은 1위보단 2위를 선택한다. 폭삭 속았수다는 도입부만 살짝 보다가 관뒀다.
소년의 시간은 4회로 구성된 짧은 드라마다. 이제는 뭔가를 보기전에 시간을 먼저 가늠하게 되는데 4회 분량이라면 흔쾌히 내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분량이기에 부담없이 보기 시작했다. 참고로 폭삭 속았수다는 봄 여름 가을 겨울 16회차로 순서대로 공개된다고 하니 부담스런 분량이긴 하다.
소년의 시간은 모든 회차가 단 한 번의 카메라 롱테이크로 끝나는 어찌보면 이상한 철학을 가지고 만들었다. 거의 면담실 안에서만 진행되는 3회차 내용 정도면 충분히 받아들이겠지만 공간의 이동이 있는 다른 회차에서도 굳이 왜 그렇게까지? 싶은 생각이 들수밖에 없었다. 감독이 롱테이크를 통해 극사실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은 게 있었겠지 싶은 마음으로 이상하단 생각을 꾹 눌러 담으며 몰입해서 봤다.

엊그제 영국 총리가 의회에서도 이 드라마를 언급했다고 한다. “저도 16살 아들, 14살 딸과 함께 집에서 보고 있습니다. 젊은 남성들이 온라인에 영향을 받아 저지르는 폭력은 혐오스럽고 우리는 반드시 해결해야 합니다.” 드라마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과 SNS를 통해 어떤 또래문화를 이루며 어떤 방식으로 기성세대의 문화를 자신들의 것으로 소비하는지를 도파민이 뿜붐 터져나오는 자극적인 방식이 아닌 찬찬히 들여다 보는 방식을 선택해서 관객들이 생각하게 한다. 10대 청소년들의 커뮤니티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평범한 소년이 자신도 모르게 숨겨놓은 모습을 드러내는 사진 속 3회차는 압권이다.
나이가 나이인지라 아무래도 아들을 바라보는 부모의 마음으로 보게 되는데…그래서 끔찍한 사실을 정면으로 맞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극 중 부모들의 연기(배우들의 연기력도 꽤 좋았다)에 공감할 수 밖에 없다. 극중 부모는 비록 자신은 강압적인 부모밑에서 자랐지만 아이들만은 절대로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환경에서 키우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나름 지금까지 잘 키웠다고 생각했지만 스마트폰과 컴퓨터 속 아이들 세상은 부모들이 모르는 또다른 폭력으로 가득차 있다. 공부 잘하고 말 잘듣고 조용하게 가만히 방 안에만 있으면 괜찮겠지…괜찮을까? 4회차에 부모들은 나는 무엇을 잘못했는가를 복기하게 된다. 물론 2회차에 약간의 답을 던져주긴 한다.
드라마를 끝까지 다 보고나서 든 생각은 이게 비단 아이들만의 문제일까. 갈라치기와 비난과 혐오로 가득한 어른들의 스마트폰 세상은 다를까. 영국 총리가 의회에서까지 이 드라마를 언급하는 것은 청소년들의 범죄율이 우려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한쪽에 치우친 극한 주장들에 대한 가짜 영상들을 쉽게 만들수 있는 AI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민자들에 대한 가짜뉴스로 점철된 SNS, 그리고 그런 가짜 정보에 쉽게 선동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청소년들이야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제대로 된 교육을 아직 받지 못해 그렇다고 하지만 다 큰 성인들이 제대로 팩트 체크 되지 않은 가짜 뉴스에 선동되는 것을 보면 드라마처럼 얌전한 줄로만 알았던 금쪽같은 아들이 하루 아침에 살인자로 체포되는 모습을 바라보는 부모가 되지 말란 법이 없다. 당장 내일 정치인 누군가가 살해된다고 해도 아무렇지도 않을 판이다. 영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민자들에 대한 혐오를 중국인이나 빨갱이로 치환하면 바로 우리나라와 똑같은 문제가 된다.
드라마 속 경찰이 회상하는 학교라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은 바다 건너 우리라고 별반 다르지 않다. 드라마 속 잠깐 잠깐 나오는 선생님들의 모습을 보면 역시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영상수업을 주로 하는 선생님, 음성이 소거된 모니터만 바라보고 있는 경찰, 돈 버는데 최고의 가치를 두는 부모, 무너진 공동체와 이젠 단어속에서만 살아 있는 어른…쓴소리와 사랑은 중첩이다. 하지만 쓴소리는 때때로 거부의 언어로 받아들여진다. 쓴소리는 거부가 아니라 사랑의 언어다. 쓴소리와 거부는 일견 비슷해 보이지만 맥락으로 보면 완전히 다르다. 이 드라마는 거부받은 소년의 분노에 대한 이야기다. 세상에 쓴소리가 많아졌으면 좋겠다. 아니 쓴소리가 제대로 통할 수 있는 맥락이 살아있는 세상, 그리고 몸만 큰 어른이들이 아닌 제대로 된 어른들이 더 많이 살아계시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