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회를 시작하며

쉬뢰딩거의 대통령이라니..산건가 죽은건가

올해 첫 송년회를 가졌다. 친위 쿠데타가 성공하고 계엄이 초기 계획대로 유지됐다면 미리 약속했던 송년회 일정이 줄줄이 취소됐을거라 생각하니 또 한번 분노가…보수라는 사람들이 입버릇처럼 앞세우던 헌법과 자유가 짓밟혔는데 바로 세울 생각을 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모습을 보자니 습관처럼 또 찰리 멍거의 말이 생각났다.

– 당신에게 이토록 엄청난 성공을 가져다 준 본인의 특성을 하나만 든다면 무얼까요?

“그토록 멋진 질문이 또 있을까요? 나는 합리적입니다. 바로 그게 대답이에요. 나는 합리적인 사람이라는 거죠.”

합리적인 대통령이라면 이런 일이 발생되지도 않았다. 합리적인 국무위원이었으면 심의에서 반대하고 사표를 쓰고 막았어야 했고 합리적인 군인들이었으면 부당한 지시를 따르지도 않았을 것이고 합리적인 국회의원이라면 이 사태를 빠르게 수습할 수 있는 탄핵 표결에서 그런 행동들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합리적인 국민들이었다면 손에 왕을 쓰고 나오고 기차에서 구두를 신고 의자에 발을 올려 두는 사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지도 않았을거다. 합리적인 언론이라면 사슴을 말이라고 우기지도 않았을 것이다.

음악과 그림


송년회에서 만난 선배님은 형식적으로는 은퇴를 하시고 인생 2막을 준비하시는 듯 했다. 좋은 소리로 음악을 듣고, 그림을 그리고, 여행을 다니고, 친구들을 만나면서 투자도 계속하실 것이다. 투자는 나이가 많아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장점이 있다. 서재에 있는 책 중에서 편하게 가져가라 하셔서 한 권씩 집었는데 내가 고른 책은 “예술의 역설”이었다. 역설이란 제목에 끌려 선택했지만 슬쩍 책을 훑어 보니 근대 이후 예술이 어떤 형식을 가지느냐가 중요해졌고, 무엇을 모방하느냐보다는 어떻게 모방하느냐가 중요해지면서 모방의 주체인 예술가가 모방의 대상보다 더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됐다는 이야기다. 책 내용은 좀 어려울 것 같다..ㅎ

예술이나 투자나 마찬가지다. 모방에서 창조가 나온다. 어떻게 전통을 유지하면서 창조성을 발휘할 것인가(이게 역설)가 중요하고 거기에는 합리성이라는 덕목이 생각보다 중요하다.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 더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가장 아끼는 아이디어를 파괴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입니다.”

“투자자는 스스로 생각해야만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이성적 상태로 유지하면, 세상 속 다른 사람들의 어리석음이 도움이 됩니다.”

– 찰리 멍거

댓글 남기기